AI를 이용한 말웨어 생성 가능성 급부상
미국의 오픈 AI가 공개한 인공지능(AI) 챗봇인 '챗(Chat)GPT'가 화제가 되고 있다. 일본어에도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시도해본 사람도 많을 것이다. 챗GPT는 다양한 장르의 질문에 답할 뿐만 아니라, 조건이나 요구 등을 항목으로 나누어 작성하는 것만으로 그럴듯한 장문을 생성해준다. 예를 들어, 이야기의 줄거리나 메일의 문구를 생성할 수 있다. 언어로 내린 지시를 처리하는 프로그램도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문제가 되는 것은 사이버 공격에 악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피싱 메일이나 말웨어 등도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2022년 12월 이후, 보안 벤더와 보안 연구자들은 입을 모아 챗GPT의 악용 가능성을 언급하고 있다. 실제로는 어떨까?
-- 자연스러운 피싱 메일 생성 --
이스라엘의 체크포인트소프트웨어테크놀로지는 2022년 12월 19일, 챗GPT를 사용해 피싱 메일이나 악용 가능한 매크로를 간단하게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체크포인트 소프트웨어테크놀로지가 제시한 피싱 메일의 예는 영어이지만, 일본어로도 그럴듯한 메일이 생성되었다.
예를 들어, '가공의 앱 호스팅 서비스 회사를 가장한 피싱 메일을 작성해주세요'라고 입력하면 패스워드 변경 의뢰를 가장해 피싱 사이트로 유도하는 자연스러운 일본어 메일이 생성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