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산업뉴스요약

EU, 합성연료 사용 엔진차 판매 허용 -- EV 시프트의 어려움을 완화하려는 의도인가?
  • 카테고리스마트카/ 항공·우주/ 부품
  • 기사일자 2023.4.27
  • 신문사 Nikkei X-TECH
  • 게재면 online
  • 작성자hjtic
  • 날짜2023-05-08 17:14:22
  • 조회수298

Nikkei X-TECH_2023.4.27

EU, 합성연료 사용 엔진차 판매 허용
EV 시프트의 어려움을 완화하려는 의도인가?

‘EU(유럽연합)은 3월, 2035년 이후 금지하기로 한 승용 엔진차(하이브리드차(HEV) 포함)의 신차 판매에 대해 합성연료만 사용하는 경우에 한해 신차 판매를 허용한다고 방침을 바꾸었다. 그 목적은 과연 무엇일까?’ 이에 대해 PwC컨설팅의 가와하라(川原)파트너는 “EV(전기자동차)화로 인한 산업 구조의 전환과 전력 구성비 전환의 어려움을 완화하려는 의도가 있다”라고 말한다.

EV 시프트를 통해 CO2 배출량을 효율적으로 저감해나가기 위해서는 EV에 사용되는 전력의 대부분이 재생에너지 또는 원자력발전 유래일 필요가 있다. 화석연료 유래 전력일 경우 주행 시 CO2 배출량은 제로이지만, 발전 시에 CO2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즉, EV에 사용되는 전력이 어떤 전력 구성비로 공급되는지가 중요해진다.

최근 여러 보도에 따르면, EU의 이번 방침 전환을 위해 움직인 곳은 독일이다. 가와하라 파트너는 “독일의 전력 구성비 가운데 재생에너지의 비율은 프랑스에 비해 낮고, 프랑스와 일본의 중간이지만 일본에 더 가깝다”라고 지적한다 이러한 독일이 전력 구성비를 EU가 추진하는 속도로 전환해나갈 경우, 뒤처진 만큼 큰 어려움을 동반하게 된다.

이번 EU의 방침 전환은 합성연료를 사용하는 경우에 한하며, 다른 탄소중립(CN) 연료인 바이오연료를 사용하는 경우는 대상에서 제외된다. 단, 부분적이라고는 하지만 2035년 이후에도 엔진차의 신차 판매가 허용됨에 따라 EV 시프트를 향한 페이스를 늦추고 고충을 완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EV화로 인한 산업구조의 전환에 있어서도 수준 높은 엔진차 기술로 엔진차의 개발·제조·판매를 리드해온 독일은 상대적으로 큰 아픔을 겪게 된다. 하지만 이번 방침 전환을 통해 그 페이스를 늦출 수 있다면 고충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 이번 방침 전환도 EV화의 기본 노선은 유지 --
‘그렇다면 이번 방침 전환으로 인해 승용차의 EV 시프트를 대담하게 추진하려는 EU의 전략은 바뀔 것인가?’라는 물음에 대해 가와하라 파트너는 “EU에 있어서 EV화는 기본 노선으로, 이것이 바뀌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한다.

이번 방침 전환에 대한 그의 견해는 다음과 같다. 우선 2030~2035년에는 EU에서의 EV 비율이 지금까지 상정한 것보다 조금 줄어들게 될 것이다. 지금까지 상정했던 EV화의 페이스는 굉장히 빨랐지만, 그것도 조금 늦춰질 것이다. 하지만, 2035년 이후에는 단번에 빨라질 것이다.

가와하라 파트너에 따르면, 합성연료 가격은 현재 5달러/L 정도. 떨어져도 3달러/L 정도라고 한다. 휘발유에 비해 비싸지만, “초저연비의 고급차라면 문제가 되지 않는다”라고 한다.

하지만, 대중차의 경우에는 “초저연비로 하려고 하면, 시스템 코스트가 높아진다”(가와하라 파트너)라고 한다. 즉, 대중차 가격대에서는 초저연비 자동차가 구현되기 어렵다는 것이다. 초저연비가 아니라면 가격이 비싼 합성연료는 주행 코스트 측면에서 사용하기 어렵다.

이번 방침 전환은 초저연비 고급차에 있어서의 엔진차 신차 판매에 관한 여지를 남기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반면 대중차에 대해서는 기존의 EV화 노선을 바꿀 정도의 영향력은 없어 보인다.

가와하라 파트너는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PHEV)의 일종인 발전 내연기관(Range Extender)에 사용되는 연료로써 합성연료를 사용하는 선택지도 있다”라고 지적한다.

-- ‘EU 배터리 규칙안’의 이면엔 자원 안전 정책 --
대담한 EV 시프트의 기본 노선을 유지할 의지를 고수하고 있는 EU의 진정성을 보여주는 것 중 하나가 ‘EU 배터리 규칙안’(2022년 12월의 잠정적 정치적 합의)이다. 이 규칙안은 배터리에 재활용재 사용 등을 요구하는 것이다.

가와하라 파트너에 따르면, 이 EU 배터리 규칙안은 EU 내에서의 배터리 생산을 위해 끌어온 배터리 자원을 EU 내에 머물도록 하려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그 이면에는 EU의 자원 안전 정책이 관련되어 있다”(가와하라 파트너)라고 한다.

 

EU에서는 EU 배터리 규칙안과 병행해 에너지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고 화석연료 산출국 의존도를 낮추는 방안도 추진되고 있다. 한편, EU 내에서 배터리를 생산함으로써 배터리에 강한 중국이나 한국, 일본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려는 대응도 실시되고 있다.

또한, EU가 배터리 자원을 EU 내에 머무르도록 함으로써 재생에너지와 배터리를 통한 지속가능한 구조 구축을 노리고 있다고 가와하라 파트너는 지적한다.

 -- 끝 --

Copyright © 2020 [Nikkei XTECH] / Nikkei Business Publications, Inc. All rights reserved.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