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산업뉴스요약

정부 주도의 안전안심 드론, 21년에 이륙 -- 중국제 드론의 시장 석권에 위기감
  • 카테고리AI/ 로봇·드론/ VR
  • 기사일자 2021.4.16
  • 신문사 Nikkei X-TECH
  • 게재면 online
  • 작성자hjtic
  • 날짜2021-04-25 18:10:48
  • 조회수269

Nikkei X-TECH_2021.4.16

정부 주도의 안전안심 드론, 21년에 이륙
중국제 드론의 시장 석권에 위기감

NEDO(신에너지산업기술총합개발기구)는 21년 4월 13일, 재해 대응이나 인프라 점검과 같은 정부 조달을 위한 ‘안전안심 드론 기반기술 개발’ 사업의 진척 상황에 대해 기자설명회를 개최했다.

이 사업은 정부∙공공부문이나 인프라사업자 등의 업무 수요에 대응하는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한 표준 드론의 설계∙개발이나, 일본의 드론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에코시스템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이번 설명회는 표준 드론의 시작기 완성을 기념해 열린 것으로, 앞으로는 양산을 위해 개발을 추진, 21년도 내의 사장 도입을 목표한다.

NEDO는 20년 1월 27일에 공모를 시작해 4월 27일에 실시 기업 5사를 발표, 5월부터 개발을 시작했다. 19년도의 정부보정예산 16.1억 엔을 할당했다. 사업기간은 당초에는 21년 2월까지를 설정했지만 코로나19의 영향으로 21년 11월 30일까지 연장했다.

이번 사업을 기획한 경제산업성 제조산업국의 가와카미(川上) 실장은 “개발 시작부터 1년 미만이라는 단기간에 개발했다. 드론이 취미에서 항공 촬영, 그리고 산업 용도나 정부의 각종 업무 용도로 확대되는 가운데 ‘보안은 안전한가?’라는 의문이 각 곳에서 들리기 시작했다. 경제산업성은 각 부처에 의견을 청취해 드론 사양에 포함시켰다”라고 말했다.

또한 이번 사업은 ‘위탁사업’(21년 7월 31일 종료 예정)과 ‘조성사업’(21년 11월 30일 종료 예정)으로 나뉜다. 위탁사업의 목적은 정부 조달을 상정한 표준 기반을 설계∙개발하는 것이다. 조성사업은 주요 부품의 설계∙개발 지원이나 양산 체제의 구축 지원 등이 목적이다. 실시 기업 5사 중에 전자는 자율제어시스템연구소(ACSL), 야마하발동기, NTT도코모가 담당, 후자는 ACSL, 야마하발동기, Xacti(오사카시), 첨단역학시뮬레이션연구소(도쿄)가 담당하고 있다.

-- 배경에는 중국 리스크 --
본 사업의 핵심은 개발 성과를 공개하고 실시 기업 이외의 기업의 참여를 독려해 산업 드론이라는 성장 시장에서 국내의 에코시스템을 구축하는 점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플라이트 컨트롤러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나 주요 표준 부품의 인터페이스를 공개함으로써 다른 업체도 기체나 부품의 개발에 참여할 수 있게 되고, 드론 산업의 저변이 확대된다”(가와카미 실장). 플라이트 컨트롤러 자체는 ‘블랙박스’지만 API를 통해 서치라이트 등 개별 수요에 대응한 기능의 추가나 드론이 취득하는 이미지나 데이터를 해석하는 다양한 앱 개발 등이 가능해진다고 한다.

산업조사기관인 임프레스종합연구소의 조사에 따르면, 19년도에 약 1,400억 엔이었던 국내 드론 시장은 25년도에는 약 6,400억 엔까지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분야에서의 드론 활용의 확대, 그리고 22년도에 도시 지역을 포함한 유인 지대에서의 비가시권 비행(제3자 상공)을 가능하게 하는 ‘레벨4’ 해금(解禁)의 영향이 크다.

한편 지금까지는 세계시장에서 약 70%의 점유율을 차지하는 드론 거인, 중국 DJI의 제품이 정부업무에서도 다수 사용되어 왔다. 국내의 한 드론업체 간부는 “국토교통성이 비행 허가를 내준 리스트를 보면 DJI의 드론이 90%를 차지한다는 것이 실태였다. 그에 위기감을 느낀 것이 이번 개발의 계기다”라고 말한다.

중국제 드론에 대해서는 몇 년 전부터 미국 정부가 보안 우려를 지적하고 있으며, 20년 1월에는 내무성이 외자계 기업 또는 외국제 부품으로 만들어진 드론을 중앙행정기관 내에서 사용하는 것을 금지했다. 그리고 20년 12월에는 상무성이 DJI를 ‘거래제한명단(금수 대상)’에 추가했다. 일본 정부도 20년 9월에 ‘소형무인기에 관한 관계부처연락회의(제10회)’에서 정부기관에서의 드론의 조달 방침을 제시, 21년 4월 이후에 필요한 대책을 세우지 않은 드론의 조달을 금지했다. 사실상의 DJI 배제로, 역으로 말하면 국내 기업에게는 큰 기회가 도래한 것이다.

-- ISO에 준거한 보안 대책 --
공개된 시작기는 자율비행에 대응한 멀티콥터형 소형 항공촬영 드론이다. 무게는 1.7kg, 폭은 65cm, 비행시간은 30분이다. 표준카메라로서 4K에 대응한 1인치, 2000만 화소 제품을 탑재한다. 방진∙방수 성능은 IP43 상당. 주로 재해 상황의 확인이나 인프라 점검 등에서의 사용을 상정하고 있다. 항공법 개정으로 의무화된 식별 정보의 리모트ID는 Bluetooth 5.0으로 대응한다. 3방향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충돌회피 기능도 탑재한다.

보안에 관해서는 탈취나 도촬, 데이터 도난 등을 방지하기 위해 ‘ISO/IEC14508’에 준거한 보안 대책을 세웠다. 구체적으로는 통신암호화 외에 드론이 취득한 데이터를 암호화한 후에 플라이트 컨트롤러, 비행 등을 관리하는 소프트인 GCS(Ground Control Station), 클라우드에서의 데이터 교환에 상호인증 시스템을 넣었다. 또한 비행기록은 국내의 클라우드에 보관한다.

개발한 드론은 21년도 내에 시장에 도입될 예정이다. “정부기관 도입은 앞으로 조정해 나간다. 드론의 완성은 21년 가을 이후로, 21년도 내에 입찰할 예정이다”(가와카미 실장).

한편 정부 조달 이외에 인프라 점검 등을 담당하는 민간 사업자에게도 판매된다. 이번 사업의 리더를 맡고 있는 ACSL의 와시야(鷲谷) 사장은 “사업 종료 후에 ACSL의 브랜드로 제품화하는 것을 계획하고 있다. 싱가포르, 인도 등 해외 시장에 대한 전개도 포함해 검토하고 있다”라고 말한다.

가와카미 실장은 보급을 위한 과제로서 ‘비용’을 들었다. DJI의 강점은 패키지로서의 완성도와 함께 타사를 압도하는 코스트 퍼포먼스에 있다. 정부 조달이라면 어느 정도의 높은 비용은 간과되지만 민간의 눈은 엄격하다. 정부 주도로 탄생한 ‘국산 드론’이 앞으로 급성장할 산업분야에서 DJI를 위협할 존재로 성장할지 여부는 이번 프로젝트가 목표하는 ‘에코시스템 양성’의 성공에 달려있다.

 -- 끝 --

Copyright © 2020 [Nikkei XTECH] / Nikkei Business Publications, Inc. All rights reserved.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