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선 LAN의 전파를 가시화 편리한 -- WiFi Analyzer와 Wi-Fi Mireru의 사용법
-
- 카테고리사물인터넷/ ICT/ 제조·4.0
- 기사일자 2020.4.9
- 신문사 Nikkei X-TECH
- 게재면 online
- 작성자hjtic
- 날짜2020-04-22 10:19:29
- 조회수452
Nikkei X-TECH_2020.4.9
무선 LAN의 전파를 가시화
편리한 WiFi Analyzer와 Wi-Fi Mireru의 사용법
무선LAN은 케이블 부설이 필요 없기 때문에 많은 기업이 도입하고 있다. 통신 속도가 고속화되면서 유선LAN에 필적하는 통신속도가 가능해졌다. 최신 규격인 IEEE802.11ax(Wi-Fi6)의 경우, 통신속도는 IEEE11ac의 약 1.4배에 해당하는 최대 9.6기가비트/초로 향상됐다. 앞으로 기업들도 주요 통신 수단으로서 점점 많이 도입할 것이다.
그러나 무선LAN 전파는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전파 강도나 혼잡 상황을 파악하기 어렵다. 전파가 약한 채널을 이용하면 통신 속도가 저하되면서 업무 효율에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이용하려는 것이 무선LAN을 관리하는 무료 소프트웨어다. 방대한 무선LAN 관리소프트 중에는 무선LAN 채널 별로 액세스 포인트(AP)의 전파 강도를 가시화할 수 있는 것이 있다.
-- ‘WiFi Analyzer’: 무선LAN의 전파 상황을 조사 --
WiFi Analyzer는 무선LAN의 채널 별로 전파 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다. 윈도우 스토어에서 구입할 수 있고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을 갖고 있다면 몇 번의 클릭으로 인스톨할 수 있다.
소프트를 가동시키면 접속 중인 AP의 전파 강도를 체크할 수 있다. 전파 강도는 dBm이라는 단위로 표시한다. 무선LAN의 인터페이스가 대응하고 있다면 링크 속도를 계측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파 강도 표시 밑에는 개선해야 할 포인트를 4개 아이콘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면 방패 마크의 아이콘 색이 바뀐 경우는 패스워드가 미설정된 AP와 접속해 있을 가능성이 있다. 별 마크의 아이콘 색이 바뀐 경우는 접속해 있는 채널보다 전파가 강한 채널과 접속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화면 윗부분의 ‘해석’ 버튼을 누르면, 5GHz대와 2.4GHz대의 주파수대 별로 채널의 전파 강도가 표시된다. 화면 밑을 클릭해 대역을 바꿀 수 있다. 비어 있는 채널에는 ‘★’ 마크가 붙는다.
사무실 층 전체의 전파 강도를 지도 위에 나타내는 ‘히트맵’을 제작할 수 있는 것이 ‘Wi-Fi Mireru’다. 네트워크 기기 벤더인 I-O DATA DEVICE가 제공하는 무료 스마트폰 앱이다. 그러나 I-O DATA의 제품 이외의 무선LAN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사용법은 간단하다. 스마트폰으로 사무실 도면 등을 촬영하고, 그 화면 위에서 자신이 지금 있는 위치를 터치하기만 하면 전파 강도가 기록된다. 전파 강도는 0~100으로 표시된다. 전파가 강하면 ‘녹색’, 약해지면 ‘노란색’, 더 약해지면 ‘적색’으로 표시된다.
사무실 도면을 보면서 몇 개의 지점에서 전파 강도를 계측하면 결과를 히트맵으로 표시할 수 있다.
히트맵은 스마트폰에서 PNG형식의 파일로서 컴퓨터 등에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히트맵을 보면 도면 위에서 전파 강도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AP를 새로 설치할 장소를 검토할 때 도움이 된다.
-- ‘스마트 홈 스캐너’: 자택 네트워크 기기를 진단
스마트 가전이나 중계기 등의 보급으로 다양한 기기가 무선LAN에 연결되게 됐다. 사무실이나 자택의 어디에 있어도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무선LAN은 편리하다. 반면에 설정 미비 등의 취약성 문제가 있으면 부정 접속의 우려가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기기의 관리 화면은 벤더 별로 다르기 때문에 모든 것을 파악해 설정을 확인하는 것은 수고스럽다.
스마트폰 앱 ‘스마트 홈 스캐너’를 사용하면 그 수고를 줄일 수 있다. 앱을 가동하면 화면 중앙에 ‘스캔’ 버튼이 표시된다. 버튼을 터치하면 스캔이 시작되고, 취약성이 있는 기기를 표시한다. 유선과 무선을 포함해 동일 세그먼트 위에 있는 네트워크 기기의 취약성을 한번에 확인할 수 있다.
검출 후에 ‘상세한 내용을 확인한다’를 터치하면 기기 별로 비어 있는 포트 등이 표시된다.
-- 끝 --
Copyright © 2020 [Nikkei XTECH] / Nikkei Business Publications,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