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정의 전력 데이터 활용 -- 기업 및 지자체, 상권 분석 및 재해 대응에
-
- 카테고리사물인터넷/ ICT/ 제조·4.0
- 기사일자 2019.11.20
- 신문사 일본경제신문
- 게재면 1면
- 작성자hjtic
- 날짜2019-11-27 19:56:29
- 조회수342
가정의 전력 데이터 활용
기업 및 지자체, 상권 분석 및 재해 대응에
가정에서의 전력 사용 시간 및 소비량 등의 데이터를 비즈니스나 재해 대책에 활용하는 움직임이 시작된다. 공공기관의 승인을 받은 단체가 데이터를 취급하는 것을 조건으로 기업 및 지자체로의 제공이 인정될 전망이다. 전력 이용을 분석한다면 세대의 특성을 지역별로 세밀하게 파악할 수 있다. 모든 세대를 대상으로 한 새로운 데이터비즈니스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 경제산업성, 정보은행을 통해 부정 방지 --
활용 대상이 되는 것은 전력회사가 가정에 설치해 온라인으로 연결되는 스마트미터라고 불리는 전력 측정계로 수집하는 데이터이다. 전력회사는 미터기를 통해 전기가 사용되고 있는 장소와 시간, 사용량 등을 30분마다 파악하고 있다.
전력회사가 원칙적으로 개인의 사용 상황을 외부에 제공하는 것은 전기사업법으로 금지되어 있다. 경제산업성은 전기사업법에 예외 규정을 마련해 개인이 동의한다면 익명이 아닌 형태의 데이터 제공도 가능하도록 한다. 데이터는 기업 및 지자체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데이터의 부정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IT업계 단체인 일본IT단체연맹(도쿄)이 총무성의 지침을 바탕으로 인증하는 ‘정보은행’을 이용하는 것을 조건으로 한다. 정보은행은 데이터를 관리하며 개인의 동의를 얻어 데이터를 기업에 제공한다. 전력회사 등이 새롭게 설립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전력 사용은 생활 환경을 반영한다. 예를 들어 지역별로 저녁 시간의 전력 사용 상승과 그 피크를 분석하면 점포 상품을 피크 타임에 맞춰 배송하는 루트를 설정할 수 있다. 인력부족에 고심하는 소매점에서는 영업 시간과 인원 배치 설정에 활용할 수 있다.
심야에 전력 사용이 늘어나는 지역은 젊은 세대가 많은 곳으로, 신규 출점을 위한 상권 분석이 쉬워진다. 개인을 특정한 형태의 데이터 이용의 경우, 전력 이용으로 규칙적인 생활을 알 수 있어 생명보험 등의 보험료를 싸게 하는 것과 같은 상품 개발이 가능하다. 이미 도쿄전력홀딩스와 NTT데이터를 중심으로 50개 이상의 기업∙단체가 참가하는 조직이 설립, 데이터 활용을 연구하고 있다.
지자체의 재해 방지에서의 이용도 기대되고 있다. 시간대 별로 인구 분포를 정확하게 알 수 있다면 상세한 피난 계획을 세울 수 있다.
개인이 데이터 제공에 일단 동의했어도 나중에 거부하길 원하거나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중도에 중단할 수 있도록 한다. 정부는 운용 상황을 감시할 방침이다.
스마트미터는 올 3월 말 시점에서 가정 등 저압 전력을 이용하는 장소의 60% 이상에 설치되었다. 2024년에는 모든 전력회사가 설치를 끝낼 예정이다. 거의 모든 가정이 대상이 된다면 거대한 데이터 기반이 만들어진다. 경제산업성은 20일에 열리는 전문가회의에서 안건을 제시. 2020년의 정기 국회에 전기사업법 개정안 제출을 목표로 한다.
현재는 원칙적으로 전력회사가 업무를 통해 수집한 개인의 전력 데이터를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다. 2000년대부터 전력의 소매 자유화가 추진되면서 전력회사의 송배전부문이 자사의 소매부문에게 경쟁하는 신흥 기업의 영업 정보를 누설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전력 사용 데이터는 대형 전력회사들만이 보유하고 있는 상황이다. 정부는 새로운 데이터 자원으로서 적절한 시스템을 통해 비즈니스에 활용할 수 있는 환경 구축을 목표로 한다.
--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