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EV 데이터 확보에 집중-- 업체에 제공 의무화/ 위치정보, 사용상황 등
-
- 카테고리스마트카/ 항공·우주/ 부품
- 기사일자 2018.12.1
- 신문사 일본경제신문
- 게재면 9면
- 작성자hjtic
- 날짜2018-12-10 10:06:48
- 조회수399
중국, EV 데이터 확보에 집중
업체에 제공 의무화 / 위치정보, 사용상황 등 60 종류
중국 당국이 자동차업체로부터 전기자동차(EV) 등 신에너지차의 위치나 배터리 사용 등 실시간 차량 정보를 제공받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자동차산업은 시진핑 지도부의 산업정책 ‘중국제조 2025’의 중점 분야다. 데이터가 경쟁력을 좌우하는 자율주행 시대의 도래에 맞춰서 국가 차원에서 빅데이터를 수집하여 일본, 미국, 유럽을 맹추격하고 있다. 그러나 개인정보보호 측면에서 국제적인 논쟁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신에너지차의 차량 정보의 실시간 제공은 중국의 공업정보화성이 17년 7월에 시행한 ‘신에너지차 생산기업 및 제품참여 관리규정’에서 정하고 있다. 당시에는 신에너지차의 고장이 많았기 때문에 안전대책이나 품질 개선을 위해 도입한 것으로 보인다.
차량 정보는 신에너지차의 배터리, 모터, 핸들, 엑셀, 브레이크 등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ECU(전자제어유닛)에서 각종 조작이나 배터리 사용 정보 등을 상시 송신하는 구조다. 일부 미디어는 60 종류 이상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주행 위치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신에너지차를 제조 판매하고 있는 모든 기업에게 규정 준수를 의무화하고 있다. 관계자에 따르면 신에너지차의 차량 정보는 우선 업체의 서버에 축적된다. 그 후에 베이징시 등 지역 별로 지방 정부가 감독하는 신에너지차 데이터수집모니터링센터로 보내지고 최종적으로 베이징에서 전국의 데이터를 통합할 수 있다.
중국 당국에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에 대해 외국 기업 간부는 “중국에서 사업을 하기 위해서는 중국 정부의 규정에 따를 수 밖에 없다. 단, ECU의 데이터이기 때문에 운전자 등의 개인정보를 파악할 수 없고 포함되지 않는다”라고 지적한다. 그러나 신에너지차 소유자는 쉽게 알 수 있기 때문에 당국의 운용에 따라서는 개인정보에 접근할 수 있어 개인정보보호에 민감한 유럽과 미국에서 비판이 나올 우려도 있다.
자동차산업은 시진핑 지도부가 15년에 발표한 ‘중국제조 2025’의 중점 10개 분야 중 하나다. 자동차산업이 가솔린차와 디젤차에서 EV나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PHV)를 중심으로 하는 신에너지차로 이행하는 상황에서 가솔린차로는 대항이 어려웠던 중국 기업이 신에너지 분야에서 일본, 미국, 유럽에 도전하는 구상을 그린다.
그 때문에 중국 정부는 신에너지차의 보급을 위해 판매가격의 최대 60%에 달하는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으며 중국은 EV에서 세계 최대 시장이 되었다. 차량정보의 제공이 의무화된 17년 7월부터 18년 10월까지 100만대 이상의 신에너지차가 판매되었으며 중국은 방대한 데이터를 수집했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 정부는 19년부터 자동차업체에게 일정 비율의 신에너지차의 생산을 의무화하는 제도를 도입한다. 일본, 미국, 유럽의 자동차업체는 세계 최대 시장인 중국에서 사업을 키우기 위해 신에너지차의 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중국 정부는 25년에 일본의 시장 규모를 웃도는 700만대의 신에너지차 판매를 목표하고 있다고 한다.
중국 당국은 수집한 데이터를 신에너지차의 안전이나 품질 향상에 이용한다고 한다. 정부의 각 부처에서 적절한 요구를 한다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지금까지 차량 화재의 원인 분석 등에 데이터가 사용된 적이 있다고 한다.
자율주행에서는 미국 구글 등 미국 기업이 빅데이터를 해석하는 인공지능(AI) 기술력에서 앞서고 있다. 중국은 미국을 따라잡기 위해 국가의 강한 통제를 통해 수집한 방대한 데이터를 자율주행 기술의 개발 등에 사용할 가능성도 있다. 중국의 인터넷기업 바이두가 추진하는 자율주행 기술의 개발에 대해 중국 당국은 국가 프로젝트라고 인정하고 있다.
시진핑 지도부는 강한 공산당의 권한을 활용하여 자율주행 개발을 가속할 전망이다. 중국 당국이 해외를 포함한 업체 측에 더 많은 주행이나 차량 관련 상세 데이터를 요구할 가능성도 있다. 중국 측의 신에너지차 데이터 이용의 투명성 확보가 중요해질 것이다.
--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