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의 스타트업(2): 포효하는 중국 자금 -- 성공자가 만들어 내는 투자 순환
-
- 카테고리비즈니스/ 기타
- 기사일자 2018.10.18
- 신문사 일본경제신문
- 게재면 1면
- 작성자hjtic
- 날짜2018-10-28 05:51:42
- 조회수383
중국 스타트업의 분류(奔流) (2)
포효하는 중국의 자금
성공자가 만들어 내는 투자의 순환
‘75점’,’81점’,‘90점’. 스크린에 점수가 비춰지자 연회장으로부터 환성과 탄식이 섞여 나왔다. 9월 8일, 중국 저장성(浙江省) 항저우(杭州). 7명의 기업가가 자사의 강점을 빠르고 강한 어조로 어필하자 투자가들이 평가를 내렸다.
-- 6분동안 5,000만엔 --
과거의 일본 인기 방송인 ‘돈의 호랑이(マネーの虎)’를 떠올리게 하는 화려한 스타트업 투자 이벤트가 중국에서는 매주 열린다. 이 날은 전기자극 기기를 몸에 붙이고 운동하는 짐(Gym), ‘K-EMS(快马仕科技健身)가 6분간의 프레젠테이션을 통해 모은 돈은 약 5천만엔.
투자를 그 자리에서 결정 받은 리우(劉) 씨는 자신의 힘으로 홍콩상장을 일궈낸 기업가이다. 창업한지 얼마 안 된 텐센트(腾讯)에도 투자해, 거대한 부를 거머쥔 대부호가가 새로운 투자 기회를 탐욕적으로 노리고 있다.
중국의 미 상장 기업은 1월~9월에 9조엔이라는 자금을 거둬들였다. 스타트업 대국인 미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규모이다. 리우 씨와 같은 엔젤 투자가는 그저 일각에 불가하다. 정부 및 해외 벤처캐피탈(VC)로 부터 자금이 쏟아지게 된다. 더욱 존재감을 키우고 있는 것은 창업을 성공으로 이끈 인터넷 대기업의 투자이다.
맥킨지 앤드 컴퍼니(McKinsey & Company)에 따르면, 미국의 벤처 투자에서 구글 등 미국 인터넷 대기업 4사가 차지하는 비율은 2016년에 5%였다. 그런 반면, 중국에서는 알리바바 그룹, 텐센트, 바이두(百度)의 국내 3강이 벤처 투자에 차지하는 비율은 42%에 달했다.
알리바바는 9월에 의료품을 택배로 빌려주는 이얼싼(衣二三)에 수 천만 달러를 투자했다. 유행의 변화가 빠른 어패럴(의류 산업)에서 렌탈 가능성에 주목한 것이다. 자사의 결재 서비스의 이용 확대 등 상승 효과를 노린다.
대기업이 자금력을 활용해 벤처 포섭을 서두르고 있어 시장이 과열되고 있다. 1월~9월에 투자액은 1건당 평균 64억엔으로, 2017년에는 다른 해에 비해 45% 증가. 상하이 Gao Tejia Investment Group의 왕(王) 파트너는 “유망 기업에 자금이 쇄도해, 투자액이 급상승하고 있다”라고 지적한다.
넘치는 자금이 불충분한 조사를 거치지 않은 체, 투자되고 있는 사례도 눈에 띈다. 인터넷 관람 소프트웨어의 혁신적인 기술을 앞세워 약 40억엔을 모집한 기업이 실제로는 구글의 기술을 사용하고 있었던 것이 폭로된 경우도 있다.
윤택한 자금은 인재를 모이게 한다. 중국인 해외유학생은 60만명. 80%가 귀국을 선택해 그 중 창업을 목표로 하는 변화의 물결이 새롭게 만들어진다.
-- 불편함이 창업의 ‘씨앗’으로 --
명문인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고(高) 씨와 동(童) 씨. 중국 푸젠성(福建省) 푸저우(福州)에서 화상정보를 순식간에 압축, 확대하는 기술을 가진 Imperial Vision Technology를 설립했다. 방송국 및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기업을 고객으로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 인텔도 당사의 기술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중국에서 창업한 이유는 현지 정부의 지원을 얻은 것과 ‘통신 속도가 느려 압축 기술의 수요가 크다는 것’(고 씨). 개발도상국의 중국이 안고 있는 불편함은 창업의 ‘씨앗’이 된다. 항공기의 운항 상황을 전달하는 앱, 페이창준(飛常準)은 지연 및 결항이 많기 때문에 이용자가 급속도로 증가했다.
구미(歐美)의 대학 및 기업에 들어간 중국인이 스파이 행위를 의심받는 경우도 있다. 7월에는 미국 애플의 자율주행 기술 정보를 훔친 의혹으로 중국으로의 귀국 직전에 기존 사원이 체포되었다. 구미에서 높아지는 중국으로의 경계심은 인재 및 자금의 흐름에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창업을 뒷받침 하는 돈(자금), 사람, 수요가 넘쳐 흐르는 중국. 전력 질주하는 ‘차이나 드림’에는 위험도 따른다.
-- (3)으로 계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