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래창생펀드, 첨단기술 40사에 투자 -- 투자 귀재 스팍스, 도요타를 안내 /
-
- 카테고리비즈니스/ 기타
- 기사일자 2018.7.19
- 신문사 일경산업신문
- 게재면 1면
- 작성자hjtic
- 날짜2018-07-25 21:48:28
- 조회수755
스타트업X
미래창생펀드, 첨단기술 40사에 투자
투자 귀재 스팍스, 도요타를 안내 / 세계를 바꾸는 힘 육성
2015년 11월에 운용을 시작한 ‘미래창생펀드’는 도요타자동차가 처음으로 참여한 본격적인 벤처캐피털(VC)이다. 운용액은 367억엔으로 국내의 VC로는 유수의 규모로, 2년반 만에 AI∙로봇∙수소 등 첨단기술을 개발하는 국내외 40사 이상에 투자하였다. 운용을 맡고 있는 곳은 스팍스 그룹(SPARX Group)이다. 상장 주식을 운용하면서 축적한 창업가의 자질을 보는 눈으로 ‘제4차 산업혁명’을 담당할 기술에 집중 투자하고 있다.
“말에 성실함에 묻어나서 만난 순간에 감동하였다”. 스팍스의 아베(阿部) 사장은 AI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PKSHA Technology의 우에노(上野) 사장과 처음 만난 날을 선명하게 기억하고 있다.
우에노 사장이 전문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간결하게 사업을 설명하자 아베 사장은 “데이터와 데이터를 파이프로 연결하는 수도공사와 같은 일이군요”라고 대응, 투자를 결단하였다. 17년 3월에 미래창생펀드는 PKSHA에 14억엔을 투자하여 주식의 8%를 취득하였다.
대기업을 고객으로 보유하고 있는 PKSHA는 자금에 불편함이 없었기 때문에 VC로부터의 출자 타진은 거절하고 외부에 정보를 거의 공개하지 않았다. 스팍스의 출자를 받아들인 것은 도요타의 신용력과 협업 가능성이 있었기 때문이다.
17년 9월에는 도요타로부터 따로 약 10억엔의 출자를 받으면서 도쿄증권거래소 마더스에 상장하였다. 시가 총액은 약 1,700억엔에 달하며 미래창생펀드의 지분 가치는 약 130억엔으로 팽창하였다.
-- 각각의 강점 --
미래창생펀드는 도요타와 미쓰이스미토모은행이 약 100억엔 씩을 투자, 스탁스를 포함한 3사가 설립하였다. 도요타는 펀드에 참가한 이유를 “미래의 자동차산업을 지원하는 새로운 이노베이션을 위한 연구개발 투자를 본격화하는 일환이다”라고 설명한다.
아베 사장에 따르면 투자처의 절반은 도요타가 소개해 준 곳이다. 해외의 약 15사를 포함한 투자처는 AI 외에도 IoT(사물인터넷), 수소 등 차세대 자동차에 관한 기술을 보유한 기업이 많다. VC는 기술 전문가를 확보하는 것이 어렵지만 “도요타의 기술진이 투자처 조사에 협력해 주는 부분이 크다. 100명의 기술자를 직접 보유하고 있는 정도의 가치가 있다”라고 말한다.
한편 도요타는 스팍스의 투자 수완을 기대하였다. 스팍스는 노무라증권 출신의 아베 사장이 중소형의 상장주에 대한 투자를 주력으로 하여 1988년에 창업. 유니클로를 운영하는 퍼스트리테일링이나 야마다전지 등 뛰어난 창업자가 이끌고 있는 회사에 장기 투자하여 2001년에 자산운용회사로는 처음으로 주식을 공개하였다.
-- 크게 길게 투자 --
아베 사장은 도요타의 도요타 아키오 사장과 미국 뱁슨대학 대학원에 유학했던 시절부터 40년 지기 친구이기도 하다. 미국의 저명한 투자가인 워렌 버핏을 모델로 하여 사내에서 워렌 버핏의 투자방법 공부모임을 만들고 직접 워렌 버핏을 만나러 가기도 하였다. “좋은 경영자를 발견하면 크게 길게 투자한다”는 것이 워렌 버핏의 스타일이다.
수천 명의 경영자와 만난 경험을 바탕으로 말투나 태도를 보고 고객을 진심으로 생각하는 경영자인지 아닌지를 알 수 있다고 한다.
명함관리 기업인 Sansan(도쿄)의 데라다(寺田) 사장은 그런 경영자 중 하나다. “하고 있는 일은 심플하지만 고객의 만족도가 높고 사업가로서의 센스가 느껴진다”. 일본경제신문사도 출자하고 있는 Sansan에는 17년 8월에 출자하였다. IoT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SORACOM(도쿄, 다마가와(玉川) 사장)에는 서비스를 개시한 지 1년도 지나지 않은 16년 7월에 7억엔을 투자하였다.
미래창생펀드는 금액이 공개된 안건에서 1건당 5억엔 이상을 투자하고 있다. 일반재단법인인 벤처엔터프라이즈센터의 조사에 따르면 일본의 VC가 18년 1월~3월에 국내에서 실행한 투자액은 1건 평균 1억 1,010만엔이다. 상장주 운용과 마찬가지로 거액을 투자한다. 일정한 주식을 갖고 경영에도 관여하기 위해서다.
미쓰이스미토모은행이 융자 정보를 바탕으로 신용 리스크를 판단. 스팍스의 차세대성장투자실의 데미치(出路) 실장을 필두로 상장주에 대한 분석 경험자나 사업회사 출신자로 구성하는 약 10명의 팀이 운용 실무를 담당한다.
출자처에 경영에 대한 조언을 하는 것도 팀의 역할이다. 물류용 로봇을 개발하는 Kyoto Robotics(시가현)는 16년 5월에 2억 5,000만엔의 출자를 받은 후 간부 사이에서 의견이 대립하였다. 사외이사에 취임한 데미치 씨는 조고(徐剛) 사장에 반발하는 간부와의 사이를 조정하면서 사장의 경영에 도움을 주었다.
▶’하늘 나는 택시’ 공동 출자
미래창생펀드, 대학과도 사업 창출
미래창생펀드는 최근에 도요타의 미국에서의 스타트업 전략과도 협력하고 있다. 도요타가 17년 7월에 미국 실리콘밸리에 만든 CVC(기업주도형 벤처캐피털)인 도요타 AI 벤처즈와 정보를 공유하고 자금도 같이 출자하고 있다.
18년 2월에는 수직이착륙기를 사용한 ‘하늘 나는 택시’를 개발하는 미국 Joby Aviation에 공동 출자하였다. 도요타 AI 벤처즈의 출자처에는 도요타가 16년 1월에 실리콘밸리에 설립한 AI 분야 연구개발 자회사인 도요타 리서치 인스티튜트 (TRI)가 기술 부문에서 협력한다.
미래창생펀드의 1호 펀드 운용기간은 10년이다. 이미 80% 이상을 투자하였으며, 스팍스는 500억엔 규모를 목표로 2호 펀드를 마련할 방침이다.
아베 사장이 2호 펀드의 주력 분야의 하나로 선정한 것이 양자컴퓨터다. “방대한 데이터를 자율주행 등의 의사 결정에 사용하려 해도 기존 컴퓨터로는 처리 속도가 따라가지 못한다”
양자컴퓨터는 캐나다의 스타트업 기업인 D웨이브시스템즈가 세계에서 가장 먼저 상용 판매를 시작하였지만 일본에서는 기술을 구사할 인재 육성이 뒤쳐져 있다. “아카데미아와 협력하여 사업을 프로듀스하고 싶다”라고 말한다.
스팍스는 18년 3월에 도호쿠대학의 오제키(大関) 교수에게 수천만 엔을 지원하기로 결정하였다. 양자컴퓨터 분야의 연구개발이나 인재육성을 가속화시키기 위해서다. 오제키 교수는 정부의 보조금도 받고 있지만 연구에 직접 관련된 경비로 용도가 한정되어 있었다. “속도감을 갖고 대담하게 연구를 추진할 수 있게 되었다”라며 스타트업 기업 설립도 고려하고 있다.
미래창생펀드는 500억엔 규모의 2호를 계획하는 이유 중 하나로, 현 시점에서 투자 리턴을 보여주는 내부수익률(IRR)이 원래 목표한 20%를 크게 웃돌고 있다는 사실을 들었다.
그러나 아직 운용을 시작하고 그렇게 많은 시간이 지나지 않았고, 투자처 중에 유일하게 주식을 공개한 PKSHA Technology의 시가 총액이 증가한 효과도 크다. 스팍스가 상장 주식 투자로 실적을 올렸듯이 앞으로는 장기적∙계속적으로 주식을 공개할 수 있는 기업을 만들어 내는 것이 요구된다.
● 미래창생펀드의 주요 출자처
분야 |
스타트업 |
사업 내용 |
출자액 (출자 발표) |
AI∙IoT |
JapanTaxi |
택시 배차 앱 |
15.5억엔 (18년 2월) |
PKSHA Technology |
AI 알고리즘 개발 |
13.8억엔 (17년 3월) |
|
SORACOM |
IoT 통신 서비스 |
7억엔 (16년 7월) |
|
freee |
AI를 사용한 회계 소프트 |
비공개 (16년 12월) |
|
Kymeta (미국) |
자동차∙비행기용 안테나 |
800만달러 (16년 1월) |
|
Autotalks (이스라엘) |
자동차용 통신 부품 개발 |
비공개 (17년 6월) |
|
로보틱스 |
GROOVE X |
가정용 로봇 개발 |
18.6억엔 (17년 12월) |
QPS연구소 |
소형 우주 위성 개발 |
7.5억엔 (17년 11월) |
|
자율제어시스템연구소 |
산업용 드론 개발 |
5억엔 (18년 1월) |
|
Joby Aviation (미국) |
‘하늘 나는 택시'의 설계∙제조 |
비공개 (18년 2월) |
|
수소 |
Exergy Power Systems |
수소 배터리 개발 |
5억엔 (16년 3월) |
--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