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정규직에도 연금∙퇴직금 지급 -- 인재 확보와 정착률 향상
-
- 카테고리비즈니스/ 기타
- 기사일자 2018.7.15
- 신문사 일본경제신문
- 게재면 2면
- 작성자hjtic
- 날짜2018-07-21 10:09:05
- 조회수436
비정규직에도 연금∙퇴직금 지급
인재 확보와 정착률 향상
기업이 연금∙퇴직금 제도를 보다 유연하게 운영하고 있다. 오랫동안 정사원이 중심이었지만 시간제나 아르바이트와 같은 비정규직 사원과 시니어로 대상을 확대하는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의 근저에 있는 것은 노동력 부족이다. 복리후생의 확충으로 직장의 매력을 높여 정착률을 향상시키려는 목적이 있다.
“당사의 스태프는 국적이나 성별 등 다양성이 풍부하다. 고용 형태를 불문하고 같은 연금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좋은 근무 환경으로 이어진다고 생각했다”. 4월부터 선택형 확정거출연금(DC)을 도입한 저가항공사(LCC)인 피치항공(Peach Aviation)의 담당자는 이렇게 말한다. 정사원에 상당하는 무기계약 사원은 물론 비상근이나 유기계약 사원도 대상으로 한다.
중견 물류기업인 시모하나물류(히로시마현)는 4월에 시간제 사원을 대상으로 하는 퇴직금 제도를 도입하였다. 회사는 1인당 월 1,000엔을 적립, 퇴직 시에 이자를 포함한 적립액을 일괄 지불하는 구조다. 시모하나(下花) 사장은 “보다 일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 정착률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숙련자를 늘려 생산성을 높이고 싶다”라고 설명한다.
제도 운영에 있어서는 오릭스의 기업연금기금을 활용한다. 근속 1년 이상으로 사회보험에 가입하는 사원이 대상이며 임의로 급여에서도 거출할 수 있다고 한다.
비어홀을 운영하는 Kirin City(도쿄)도 4월부터 정사원뿐 아니라 시간제 사원과 아르바이트도 대상으로 하는 퇴직금 제도를 도입하였다. 기린시티는 “인재 확보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가운데 오랫동안 근무한 사원에 대한 복리후생을 충실화하여 정착률을 높이고 싶다”라고 설명한다.
작년 9월에 도토루커피가 비정규직 대상의 퇴직금 제도를 도입한 이래 이와 유사한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다. 배경에는 비정규직 고용 확대가 있다. 총무성에 따르면 17년의 임원을 제외한 비정규직 고용자수는 2,036만명으로 회사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37%대로 고공행진을 하고 있다.
--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