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산업뉴스요약

르노, 무인 택시 연구 가속화 -- 차량 비소유 시대에 미리 대비
  • 카테고리스마트카/ 항공·우주/ 부품
  • 기사일자 2018.3.26
  • 신문사 일경산업신문
  • 게재면 17면
  • 작성자hjtic
  • 날짜2018-04-01 21:41:00
  • 조회수587

르노, 무인 택시 연구 가속화
차량 비소유 시대에 미리 대비

프랑스의 자동차회사 르노가 무인 택시 등 차세대 배차 서비스 사업에 대한 연구 개발을 가속화하고 있다. 올 봄, 쥬네브 국제자동차쇼에서 무인 택시인 커넥티드카 ‘EZ-GO’를 발표, 앞으로의 방침을 명확히 했다. 르노는 차량 보유를 전제로 하지 않는 서비스의 수요가 특히 도시 지역에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이에 대한 대비를 앞서 추진하려는 것이다.

-- 취향의 변화∙환경 의식 반영 --
3월의 쥬네브국제자동차쇼에서 르노가 공개한 EZ-GO는 무인 전기자동차(EV)이다. 전체가 은색으로 높이는 약 180cm. 경관을 해치지 않도록 잘 눈에 띄지 않은 색과 사이즈로 제작되었다.

차내는 벤치와 같은 좌석이 배치, 차량 뒷부분을 열어 타도록 되어 있다. 이용자는 버스 정류장에 해당하는 장소에서 타고, 자율주행을 통해 원하는 장소에서 내린다. 동승, 개인, 여성 전용 등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고, 요금은 온라인으로 지불한다. 버스와 택시의 중간 사이즈라고 할 수 있다.

르노의 한 간부는 “도시 인구가 늘어나면서 더욱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는 서비스가 필요하게 될 것이다”라고 EZ-GO의 의의를 강조했다. 아직 실용 단계에 이르진 않았지만, 시험을 본격화하고 있는 상황이다. 발전 상황을 보며 각 도시에 제안해나갈 계획이다.

르노는 차량의 소유를 전제로 하지 않는 서비스 확대에 주목하고 있다. 카셰어링 사업은 남프랑스 마르세이유에서 2015년에 시작된 것을 게기로 코펜하겐(2016년), 마드리드(2017년) 등 거점을 확대하고 있다. 운용 차량 대수는 세 개 도시에서 1천 대 이상이다.

그 배경의 하나는 선진국을 중심으로 한 소비자의 취향의 변화이다. 다른 르노 간부는 “자동차를 갖는 것에 대한 동경이 없는 세대가 늘어나고 있다”라고 한다. 필요할 때 차를 이용할 수 있다면 살 필요가 없다는 생각인 것이다.

또한 높아진 환경 의식도 배경에 있다. 지구온난화 대책을 위해 각국∙도시는 앞으로 공공교통기관 이용을 한 층 더 촉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개인의 자동차 소유에는 다양한 세금이 부가될 가능성도 있다.

PwC Consulting의 조사에 따르면, 2030년까지 무인 택시와 카셰어링이 구미(歐美)에서 자동차 이동 거리의 30% 이상을 차지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구미에서의 차량 대수는 현재보다 25%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르노에게는 이에 대한 대비책이 꼭 필요한 것이다.

르노의 중기 경영계획에서는 2022년까지 매출을 2017년 대비 약 20% 증가한 700억유로(약 9조 2천엔)로 늘릴 계획이다. 배차 서비스와 무인 택시 사업은 중기 경영계획의 최종 연도 즈음에 시작하고, 그 수익은 2022년 이후 증가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같은 PwC 조사에서는 새로운 시장의 확대로 ‘치열한 경쟁’ 및 ‘거액의 설비 투자 지출’ 등이 발생할 것으로 지적. 결과적으로 자동차 제조사 등의 ‘정리∙통합’이 일어나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 각 기업에게 소모전이 될 가능성도 있다.

자율주행 법규 미 정비
사회의 공통 이해도 부족

무인 택시 등 차세대 배차 서비스 보급의 열쇠는 자율주행차 개발이다. 그 기술은 하루가 다르게 진보하고 있지만, 법규 정비 및 이용자의 이해 등의 과제가 지적되고 있어, 각 자동차회사들은 시장 성장 속도를 가늠하기 어려워하고 있다.

자율주행은 자동차에 운전을 맡기는 정도에 따라 레벨 1~5까지 분류된다. 무인 택시 등에서는 이용자가 운전에 전혀 관여하지 않아도 되는 레벨 4 이상인 고도의 자동화가 요구된다.

레이더, 카메라, 인공지능(AI)의 성능 향상 등으로 자동차 주변 상황을 파악∙판단하는 능력은 비약적으로 높아져 기술적으로는 거의 완성에 가까워지고 있다. GM은 레벨 4의 자율주행차를 2019년에 실용화한다고 표명했다.

하지만 한편에선 법제도 측면에서의 장애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프랑스는 우측에서 오는 차량이 우선시 되고 있지만, 이것이 어느 정도 무시되어야 자동차의 흐름이 원활해지는 교차로가 있다. 현실적으로 법정 속도는 많은 나라에서 완벽하게 지켜지지 않고 있다. 자율주행차에도 ‘법률은 지키지 않아도 된다’라고 가르쳐도 될 것인지에 대한 법률 제정은 아직도 추진 중이다.

앞으로 자율주행차가 사회 속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할 것인가에 대한 이용자들의 공통적 이해가 형성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과잉으로 신뢰해 위험하게 이용하는 사람이나, 반대로 불필요하게 무서워하는 사람도 나올 수 있다고 지적되고 있다. 우버테크놀로지의 사망 사고 등도 원인 규명과 과제 공유가 반드시 필요하다.

 -- 끝 --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