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산업뉴스요약

게놈혁명 (하) : 고령화 사회의 해결책 -- 누설과 유전자 차별에 대한 체제정비
  • 카테고리바이오/ 농생명/ 의료·헬스케어
  • 기사일자 2017.8.18
  • 신문사 일본경제신문
  • 게재면 1면
  • 작성자hjtic
  • 날짜2017-08-24 22:41:31
  • 조회수660

게놈 혁명 (하):
고령화 사회의 해결책
누설 및 유전자 차별을 막을 수 있을까?

정부가 이번 달에 국무 회의에서 결정하는 제 3기 암 대책 추진기본계획의 핵심 사항에「게놈 의료」가 포함되었다. 앞으로 환자의 게놈(전체 유전자 정보)을 철저히 조사, 최적의 치료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암이 작아져 희망이 보이고 있다」. 도쿄 시내에 사는 50대 여성은 2년 전, 폐암 판정을 받고 수술했다. 이후, 뇌와 부신으로의 전이가 발견되었지만, 지금은 큰 불편함 없이 일상생활을 하고 있다. 국립 암 센터 중앙병원(도쿄)이 추진하는 게놈 의료 프로젝트에 참가한 그녀는 게놈 치료로 인해 병세가 호전되었다

-- 암에 대한 최적의 치료 --
프로젝트에서는 차세대 시퀀서(Sequencer)라고 불리는 장치를 통해 그녀의 발병 원인이 되는 조직을 조사한 결과, 특수한 유전자 이상이 발견되었다. 이 유전자 이상을 표적으로 암 세포를 공격하는 항암제를 사용한 결과, 암이 거의 사라졌다고 한다.

암은 유전자 이상으로 인해 발생한다. 폐암이라도 이상이 발생하는 유전자는 복수이기 때문에, 환자에 따라 제 각각이다. 그러나 기존에는 이들 환자에게 같은 항암제를 사용해왔다. 유전자 이상에 초점을 맞춘다면 효과가 크고 부작용도 적은 약을 고를 수 있게 된다. 「궁극의 오더 메이드 의료」라고 불리는 이 치료 방법은 암 치료를 근본적으로 바꿀 수 있을 것으로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도하라(藤原) 부원장은「누구나 보험으로 이와 같은 진찰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싶다」라고 말한다. 후생노동성은 게놈 의료 보급을 위해 올해 안에 핵심 병원을 7곳 정도 지정. 수 년 후에는 도(都)∙도(道)∙부(府)∙현(縣) 별로 늘릴 계획이다.

게놈 데이터는 암 이외의 질병 예방에도 활용된다. 「일본이 고령화 사회를 극복해나가기 위해 꼭 필요하다」라고 미국 시카고대학 개별화 센터의 나카무라(中村) 부센터장은 주장한다. 개개인의 게놈을 조사하면 당뇨병이나 뇌졸증, 심장질환의 위험성을 알 수 있어, 생활 지도 및 약물 치료 등, 다양한 형태로 대처할 수 있다. 「정부의 의료비 증가도 낮출 수 있다」라고 강조한다.

게놈 의료를 보급하기 위해서는 분석 결과 및 치료법 효과 등을 수집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해, 병원 및 제약회사가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 꼭 필요하다. 이를 통해 신약 개발이 추진된다면, 많은 환자가 효과를 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질병 위험 등을 알 수 있는 게놈 데이터는 궁극의 개인 정보이다. 외부에 누설되거나, 차별 받지 않도록 하는 등, 체제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

-- 일본의 대응 늦어 --
일본에서는 5월, 개인정보 보호법 개정이 시행, 새롭게 게놈이 대상에 포함되었다. 누설 및 개인정보의 특정이 엄격히 규제된다. 도쿄대학의 무토(武藤) 교수는「유전적인 특징에 의한 차별을 금지하는 법 정비도 검토해야 한다」라고 지적한다.

무토 교수가 대표를 맡고 있는 후생노동성의 연구팀은 6월, 약 만 명을 대상으로 한 의식 조사를 발표. 자기 자신이나 가족의 병에 관한 유전자 정보로「차별적 대우를 받은 경험이 있다」라고 대답한 사람은 3.2% 있었다. 보험 가입이나 취직, 승진, 결혼 등에서 불공평한 대우를 받았다고 한다.

EU는 2000년, 기본권에 유전적 특징에 따른 차별 금지를 포함시켰고, 미국에서는 2008년에 이에 대한 법률이 성립되었다. 하지만 일본의 대응은 이제 막 시작되었다. 차별 금지로 사람들이 게놈 분석을 안심하고 받을 수 있게 되어, 의료 기술이 극적으로 진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게놈 치료에 대한 이와 같은 관점도 꼭 필요할 것이다.

 -- 연재 끝 --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