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산업뉴스요약

독일, 디젤차의 굴레 -- 무상 수리, 담합 의혹, EV로의 전환
  • 카테고리스마트카/ 항공·우주/ 부품
  • 기사일자 2017.8.13
  • 신문사 일본경제신문
  • 게재면 7면
  • 작성자hjtic
  • 날짜2017-08-19 10:59:36
  • 조회수1153

독일, 디젤차의 굴레
무상 수리, 담합 의혹, EV로의 전환


독일의 자동차 산업이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배출가스 규제 대책인 무상 수리뿐만 아니라, 중기적으로 거액의 벌금 부가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는 담합 의혹, 장기적으로는 전기자동차(EV)로의 전환 등의 문제가 산적해있다. 이것들 모두 환경 오염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디젤차와 관련되어 있다. 폭스바겐(VW)의 배출가스 조작이 발각된 이래,「디젤차의 굴레」가 업계를 옥죄고 있다.

-- 증가되는 부담이 제조사의 고뇌 --
VW의 2017년 1~6월의 순이익은 전년도 같은 기간 대비 87% 증가한 64억 7,400만유로(약 8,300억엔)으로, 배출가스 조작 이전인 2015년 1~6월을 상회했다. 다임러는 36% 증가, BMW는 21% 증가해, 전체적으로 호조를 보였다. 하지만 수뇌부의 표정은 밝지만은 않다. 「디젤에 대한 논의 여부는 아직까지 불투명하다. 기술적으로도 법적으로도 매우 복잡하기 때문이다」. 7월 말, 전화 기자회견에서 다임러의 젯체 사장은 초조함을 보였다.

8월 2일, 독일의 자동차 대기업은 디젤차 530만대를 무상 수리하는 것으로 정부 및 지자체와 합의했다. 친환경차로의 교체를 촉진하기 위한 장려금 지급과 총액 5억유로의 펀드 설립도 결정되었다. 한편, 복수의 도시가 검토하고 있던 디젤차의 시가지 주행 금지는 철회되어, 실질적으로 자동차 업계의 승리로 돌아갔다.

그러나 그 직후부터 합의 내용에 비판의 목소리가 쏟아져 나오기 시작.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뮈헨 시장은「시민의 건강을 보호하기에는 불충분하다」라고 발언, 슈투트가르트 시장은「더욱 강력한 대책이 필요하다」라며 불만을 토로했다.

또 하나의 어려움은「독일 산업 역사상 최대」라고도 일컬어지고 있는 단합 의혹이다(슈피겔지). VW그룹 3사와 다임러, BMW가 디젤차의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정화제 탱크를 작게 만들려는 목적 등, 광범위한 범위에서 단합이 이루어졌다라고 보도되었다. 단합이 사실로 밝혀질 경우, EU로부터의 벌금이 2016년의 트럭 단합 때의 29억유로를 상회할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또한, 최대의 난제로 대두되고 있는 것이 세계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EV로의 전환이다. 영국과 프랑스는 2040년까지 가솔린∙디젤차의 판매 금지를 표명했다. 소비자에게「디젤차는 없어지지 않는다」라는 메시지가 발표된 2일의 정부와의 합의는 자동차 개발 방침의 대담한 변경을 어렵게 하고 있다.

디젤차의 개량과 EV뿐만 아닌, 자율주행에 대한 대응도 필요해, 개발 부담은 계속해서 증가되고 있다. 비용을 추렴하기 위해 VW는 이탈리아의 고급 이륜차 제조사인 Ducati의 매각을 모색. 다임러도 조직의 재편을 검토하고 있다.

테슬라와 비교해 개발이 뒤쳐져 있다는 것을 VW의 간부도 인정하고 있을 정도가 된 독일의 자동차 제조사. 고품질의 대명사였던 독일의 자동차는 스마트폰 시대에 대응하지 못했던 노키아(핀란드)의 전철을 밟게 될 수도 있을 것이다.

 -- 끝 --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