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이버 보안 인재 8만명 부족 -- 일본, 법 정비 등 서두른다
-
- 카테고리사물인터넷/ ICT/ 제조·4.0
- 기사일자 2017.6.29
- 신문사 일간공업신문
- 게재면 1면
- 작성자hjtic
- 날짜2017-07-05 10:27:21
- 조회수610
사이버 보안 인재 8만명 부족
일본, 법 정비 등 서두른다
전세계에 걸친 대규모 사이버 공격이 잇따르고 있다. 27일에는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유럽 등이 공격받았고, 우크라이나에서는 정부기관과 금융기관에서 업무가 마비되는 상황에 빠졌다. 대형 해운사인 덴마크의 머스크와 프랑스의 Saint-Gobain 등도 영향을 받았다. 일본에서는 아직 대규모 공격은 많지 않지만 앞으로의 공격에 대비해 사이버 보안 인재의 육성이 시급하다.
이번 사이버 공격은 5월에 사용되었던 ‘랜섬웨어’라 불리는 컴퓨터 바이러스가 원인이라 보여진다. 우크라이나에서는 정부기관의 시스템이 다운되었다. 은행과 항공회사 및 전력회사 등이 피해를 받았다고 보여진다.
머스크는 시스템의 다운으로 웹 사이트 및 일본 국내 서비스 센터의 전화도 불통이 되었다. 이 회사는 일본에서 출발하는 항로는 적지만 시스템 다운의 영향은 아시아 지역 항로를 담당하는 자회사 MCC 쇼핑에도 미쳤다. 해운관계자에 따르면 컨테이너 터미널을 사용할 수 없으면 선적은 물론이고 입항도 어려운 상태라고 상정된다고 한다.
일본 IBM 보안 사업부의 도쿠다 부장은 “이번에도 시스템의 취약성이 악용되었다.”고 분석한다. 일본을 노린 대규모 사이버 테러가 언제 일어나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이다.
일본에서는 보안 인재가 8만명 부족한 상태라는 추산도 있다. 정부는 사이버 보안 전략본부를 사령탑으로 대응을 서두른다.
경제산업성은 4월에 정보처리추진기구(IPA)에 중요 인프라를 지키는 ‘산업 사이버 보안 센터’를 설립했다. 총무성은 정보통신연구기구(NICT)에 보안 인재의 육성을 담당하는 ‘내셔날 사이버 트레이닝 센터’를 설립했다.
경제산업성은 국가전략으로서 ‘정보처리안전확보지원사’제도를 4월에 창설했다. NICT는 중앙관청에서 실시해온 실천적인 보안 연습을 4월부터 지자체로도 확대한다.
정부는 발전소 등의 중요 인프라에 대한 사이버 공격에 사이버 수법으로 반격할 수 있는 법 정비도 추진한다. 다양한 수단으로 사이버 보안 대책에 시도한다.
--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