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봇 도입 실증의 대상 확대 -- 일반 사회에서의 활용 가속화
-
- 카테고리AI/ 로봇·드론/ VR
- 기사일자 2017.6.26
- 신문사 일간공업신문
- 게재면 1면
- 작성자hjtic
- 날짜2017-07-01 20:46:54
- 조회수473
로봇 도입 실증의 대상 확대
일반 사회에서의 활용 가속화
일본의 경제산업성은 로봇 도입 관련 비용의 일부를 보조하는 ‘로봇 도입 실증 사업’을 쇄신한다. 보조 대상에 시스템 구축(SI) 기업과의 연계, 공공 장소에서의 로봇 활용이라는 2개 항목을 추가하여 모두 3개 항목으로 실시한다. SI 육성과 일반 사회로의 로봇 도입 등, 중점 분야를 명확화한다. 26일에 공모를 개시하여 9월 하순을 기준으로 채택할 예정이다. 로봇 활용의 촉진 등을 통해 노동생산성의 신장률을 2020년에 연간 2% 이상을 목표로 한다.
3개 항목과 함께 3,000만 엔을 상한으로 필요 경비를 보조한다. 신설된 2개 항목 중 ‘코스트 삭감을 위한 SI 프로세스 실증 사업’은 SI 기업과 은밀히 연계하여 추진하는 산업용 로봇의 도입 안건이 대상이다. 경제산업성이 책정한 SI 기업과 유저와의 거래에 관한 지침 ‘RIPS’에 따르는 것을 조건으로 한다.
동시에 신설하는 ‘공공 장소에 있어서 로봇 사회 실장 프로젝트’로는 시가지, 공항, 호텔 등에서의 로봇 도입 안건을 상정한다. 로봇 혁명 이니셔티브 협의회(RRI)가 작성한 안전에 관련된 지침에 적합한 것을 조건으로 한다.
보조율은 2개 항목과 함께 중소기업이 3분의 2, 대기업이 2분의 1이다. SI 육성과 일반사회로의 로봇 도입을 가속화하기 위해 구조 개정에 나섰다.
기존 제도의 연장선이 되는 ‘미활용 영역에 있어서 도입 실증∙FS사업’은 보조 대상을 식품, 의약품, 화장품의 제조 혹은 서비스업에서의 도입 안건으로 한정한다. 보조율은 중소기업이 3분의 2, 대기업이 3분의 1이다. 그 외의 제조업에 대해서는 SI 연계의 틀에서 신청을 받는다. 공모 창구는 일본로봇공업회가 담당한다.
--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