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7년에 BIM 확인 신청 전국으로 확대 -- 국토교통성의 새로운 로드맵
-
- 카테고리사물인터넷/ ICT/ 제조·4.0
- 기사일자 2023.4.21
- 신문사 Nikkei X-TECH
- 게재면 online
- 작성자hjtic
- 날짜2023-04-30 20:22:05
- 조회수179
Nikkei X-TECH_2023.4.21
2027년에 BIM 확인 신청 전국으로 확대
국토교통성의 새로운 로드맵
국토교통성은 3차원(3D) 모델에 마무리 공정 등 속성(屬性) 데이터를 첨부할 수 있는 BIM(빌딩 인포메이션 모델링) 데이터를 이용한 확인 신청을 2025년부터 시행할 방침이다. BIM 데이터에서 출력한 PDF 형식의 2차원(2D) 도면을 심사 대상으로 하는 방향으로 검토 중이다.
일부 지정된 확인 검사기관부터 시작해 2027년에 전국으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23년 3월 14일에 개최된 건축 BIM 환경정비부회에서 국토교통성은 BIM 건축 확인 실현 등을 위한 새로운 로드맵을 제시했다.
건축 확인을 담당하는 지정된 확인 검사기관이나 특정 행정청이 BIM 데이터 제출에 대응할 수 있도록 우선 전자 신청 보급을 서두를 계획이다. 독자적인 시스템이 없는확인 검사기관 등을 위한 ‘전자 신청 접수 시스템’ 정비를 추진하면서, 확인 신청에 필요한 BIM 데이터의 제출처가 되는 CDE(공통 데이터 환경)를 구축. 2025년에 'BIM 도면 심사'를 시행한다.
BIM 도면 심사에서 요구되는 것은 ‘BIM 데이터로부터 출력한 PDF 형식의 2D 도면’과 ‘3D 도면 및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IFC(BIM의 공통 파일 포맷) 데이터’이다. IFC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도면 간의 정합(整合) 확인이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심사 기간 단축으로 이어진다.
IFC 데이터 자체를 심사 대상으로 하는 ‘BIM 데이터 심사’로 단계적으로 전환하는 것도 검토. 심사에 필요한 정보를 자동으로 표시하는 시스템 등을 정비해 심사의 효율화를 목표로 한다.
-- 사회 구현 가속화를 위해 태스크포스 신설 --
이번 로드맵에서는 BIM 건축 확인 외에도 '데이터 연계 환경 정비', '유지관리·운용 단계의 디지털화'에 대해서도 2025년까지 달성한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데이터 연계 환경 정비에 대해서는 설계와 시공 등 각 단계에서 BIM을 횡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교환이 필요한 속성 정보의 표준화 등을 검토. 2025년까지 가이드라인 등을 통해 제시할 방침이다.
유지관리 및 운용 단계의 디지털화에 대해서는 BIM 데이터의 활용 방법을 신중하게 조사하면서 오픈 데이터화 검토 등을 추진한다. 국토교통성은 직접 주도하고 있는 3D 도시 모델 정비 프로젝트 ‘플라토(PLATEAU)’, 부동산 ID와 연계한 디지털 트윈 시행 개시 등을 목표로 내걸고 있다.
목표 달성을 위해 국토교통성은 건축BIM추진회의 내에 새로운 태스크포스를 설치. 지금까지는 5개의 부회가 주제별로 과제 등을 논의해 왔지만, 부회를 횡단한 태스크포스를 마련함으로써 BIM의 사회 구현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 끝 --
Copyright © 2020 [Nikkei XTECH] / Nikkei Business Publications,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