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산업뉴스요약

범죄, 빅데이터로 방지 -- 10만 건을 분석, 지역∙시간 예측
  • 카테고리사물인터넷/ ICT/ 제조·4.0
  • 기사일자 2017.1.7
  • 신문사 일본경제신문
  • 게재면 1면
  • 작성자hjtic
  • 날짜2017-01-13 17:10:30
  • 조회수762

범죄, 빅데이터로 방지
10만 건을 분석, 지역∙시간 예측

경찰 조사나 범죄에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시도가 가동하기 시작하였다. 과거의 수사정보를 바탕으로 범죄가 발생하기 쉬운 지역이나 시간을 예측한다. 교토부경찰(京都府警察)은 지난 가을에 날치기 등을 예측하는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경시청이나 후쿠오카현경(福岡県警)도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미 실시하고 있는 해외에서는 범죄가 줄어든 지역도 있다. 의료나 방재(防災)에 이어 공공분야에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방법의 하나로 주목 받고 있다.


「이 거리에서 날치기 사건이 발생한 것 같다. 노인들에게 주의를 주자」. 작년 12월, 교토 시내의 파출소에서 경찰관 2명이 노트북을 보며, 거리 순찰 작전을 세우고 있었다. 화면에 비친 것은「예측형 범죄 방어 시스템」이다.

교토부경과 NEC가 공동 개발하고, 10월부터 운영을 시작하였다. 과거 10년 동안 관내에서 발생한 약 10만 건의 사건 정보가 축적되어 있다. 날치기나 치한 등 여러 종류의 범죄에 대해 경향을 분석하고, 시간∙장소에 따른 발생 확률을 분류하여 제시한다.

작년 11월에는, 절도 사건의 발생이 예상될 가능성이 높다고 표시된 주차장을 순찰하고 있었던 경찰관이, 오토바이를 훔치는 남자를 발견하고 절도 용의로 현행범 체포하였다.

일본에서는 1년 동안에 100만 건이 넘는 범죄가 발생하였다. 전국의 경찰서에는 대량의 수사 정보가 축적되어 있지만, 유효하게 활용되어 왔다고는 할 수 없다. 순찰 등은 경찰관의 경험이나 직감에 의지하는 부분이 많다. 교토부경의 다나카(田中) 정세분석지원 실장은「시스템과 공조하여, 범죄를 줄이고 싶다」고 말한다.

경시청은 12월, 아이들과 여성을 노리는 범죄 데이터를 활용하여 대책을 세우는 방법 연구를 시작하였다. 피해를 당한 사건의 발생 장소나 시간, 사건 전의 피해자나 가해자의 행동을 분석한다. 후쿠오카현경도 편의점 강도나 성범죄 등의 범죄 발생 상황이나 용의자의 진술 등의 데이터를 외부의 전문가에게 제공한다. 과거의 사건 정보를 방범에 활용하는 사업을 추진한다.

축적한 수사 정보를 방범에 활용하는 시스템은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약 30개국에서 운용되고 있다고 한다. 미국에서는 약 60개 지역이 이러한 시스템을 이미 도입하고 있다. 로스앤젤레스에서는 2012년에 운용을 시작한 후, 4개월 만에 범죄 발생 수가 13% 감소한 지역도 있다.

해외에서는 범죄 발생 확률이 높은 지역이 반발하는 문제도 발생하고 있고, 국내에서 시스템을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주민의 이해를 얻는 것이 과제가 된다. 시스템 전문가인 쓰쿠바대학의 아메미야(雨宮) 교수는「예측 근거를 제시하여 효과를 공개하는 등 사회가 받아들일 수 있는 노력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개정 개인정보보호법이 5월에 전면 시행되면, 개인을 특정할 수 없도록 가공한 정보가 본인의 동의 없이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작년 12월에는 관민이 보유한 빅데이터의 활용 확대를 핵심으로 하는「관민 데이터 활용 추진 기본법」도 성립하여, 법률 정비도 진행되고 있다.

의료분야에서는 2017년도에 전국적으로 환자의 데이터를 병원이나 진료소가 공유하는 시스템을 총무성이 정비한다. 암 대책에 환자 데이터를 활용하는 지자체도 있다. 방재 분야도 주민의 피난 장소를 특정하거나, 지진에 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건물 붕괴의 위험성을 예측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공공분야에서 확대되는 빅데이터 활용

의료

• 총무성이 2017년도에 전국의 15개 지역에서 환자정보의 공유 시스템 정비

•요코하마시가 Rezept(진료보수명세서) 데이터를 바탕으로 암 대책

•총무성이 2018년도까지 구급차 출동 데이터를 바탕으로, 출동요청 예측 시스템 도입

방재

•야후가 피해자의 긴급피난 장소 등을 파악하는 기술을 개발

•SAP재팬이 건물 흔들림 데이터를 바탕으로 붕괴 위험성을 예측하는 기술 개발

마을 정비

•국토교통성이 철도 등의 운행 정보를 바탕으로, 사람들의 이동을 분석하는 소프트

개발

       -- 끝 --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