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자동차 제조사, 운전 지원 시스템 확충 -- 고령자 운전 중대사고 잇따라
-
- 카테고리스마트카/ 항공·우주/ 부품
- 기사일자 2019.6.24
- 신문사 일간공업신문
- 게재면 3면
- 작성자hjtic
- 날짜2019-06-30 13:00:47
- 조회수370
일본 자동차 제조사, 운전 지원 시스템 확충
고령자 운전 중대사고 잇따라
고령자 운전으로 인한 중대한 교통사고가 잇따라 자동차의 안전 대책에 대해 사회의 관심이 모이고 있다. 충돌 피해 저감 제동 및 페달 착각으로 인한 가속 제어 장치 등 운전 지원 시스템 기술은 향상되어 장비가 갖춰진 신차에 대한 구매가 있는 한편 이미 구입한 보유 차량에 대한 대책은 충분하다고 할 수 없어 과제가 되고 있다.
-- 개발 가속 --
자동차 제조사는 운전 실수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운전 지원 시스템의 개발에 힘을 쏟고 있으며 신차에서는 가속 제어 장치 및 충돌 피해 저감 제동 등의 표준 장비가 보급되고 있다.
일본에서 재빨리 대책에 나선 스바루에서는 충돌 피해 저감 제동 등의 기능이 있는 운전 지원 시스템 ‘아이사이트’의 탑재 차량은 자사의 비탑재 차량과 비교해 충돌 사고를 84% 줄일 수 있다고 한다. 2018년도에 판매한 신차의 탑재 비율은 95%로 상승했다. 다만 아이사이트는 사고 피해를 줄이는 것으로 각종 사고를 예방하는 것은 아니다. 스바루는 “기능의 한계를 파악한 다음 사용해주기를 바란다.”라며 판매원은 판매 시 시간을 들여 주의 사항을 설명하고 오해가 없는 사용 방법을 주지시킨다.
-- 안전 성능을 평가 --
운전 지원 시스템의 보급에는 국가 및 지자체, 지원기관도 나선다. 사고 방지와 피해 저감을 추진하는 자동차 사고 대책 기구는 제조사의 안전 성능을 평가해 표창한다. 2018년도는 평가항목에 ‘페달 착각 시 가속 제어 시험’을 더해 안전 기술의 향상을 촉진시키고 있다.
독자적인 대책을 추진하는 지자체도 있다. 도쿄도 히노하라촌에서는 조건에 따라 신차 구입 시에 세대 마다 최대 50만엔을 한도로 하는 ‘고령자 선진 안전 자동차 구입비 보조 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마을 안에 전철은 없고 주민의 발은 자가용이 주류인 히노하라촌에서는 “자동차가 없으면 이동이 곤란한 지역이다. 보조가 있어 자동차를 바꾸고 싶은 고령자의 자금적인 도움이 된다.”고 한다.
다만 신차로 교체를 촉진시키는 것만으로는 불충분하다. 일본의 보유차는 약 8,000만 대로 일본 자동차 공업회의 토요다 아키오 회장은 “신차로 바꾼다고 해도 불가능한 사람도 있다. 보유 차량에 수를 써야만 한다.”고 지적한다.
-- 사후 장착 도입 --
토요타는 5월 사후 장착 가능한 페달 착각 가속 제어 시스템의 대책 차종을 확대한다고 발표했다. 혼다의 하치고(八郷) 사장은 6월 19일 주주총회에서 “사후 장착 가능한 장치를 가능한한 빨리 판매할 수 있도록 하고 싶다.”고 설명했다.
한편 국가 차원에서도 보유차에 대한 대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어 이시이(石井) 국토교통상은 7일 기자회견에서 “자동차 제조사에 대해 사후 장착 장치의 개발·실용화를 추진하도록 요청한다.”고 밝혔다.
또한 도쿄도의 고이케(小池) 지사도 액셀과 브레이크를 착각했을 때에 급발진을 막는 장치의 장착 비용을 90% 정도 보조하는 방침을 표명하고 있다.
연금 생활을 비롯해 금전적인 문제로 운전 지원 시스템 탑재의 신차를 구입할 수 없는 고령자는 많다. 보유차에 장착 가능한 운전 지원 시스템을 도입할 수 있도록 민관 차원에서의 대처가 요구된다.
--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