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캐시리스화의 이면 -- SNS 파생 기능과 현금 신용상 문제로 급진전
-
- Category핀테크/웨어러블/3D프린터
- 기사일자 2019.5.10
- 신문사 일간공업신문
- 게재면 4면
- Writerhjtic
- Date2019-05-19 14:01:52
- Pageview417
글로벌의 눈
중국 캐시리스화의 이면
SNS 파생 기능과 현금 신용상의 문제로 급진전
나는 자주 지방도시에서 강연을 할 기회가 있지만 기업 경영자로부터 빈번히 받는 질문에 “중국에서는 이제 정말 현금은 쓰지 않나요?”라는 것이 있다. 중국에서는 스마트폰을 사용한 모바일 결제가 주류가 되고 있다는 이야기가 일본에서 자주 보도되고 있기 때문이지만 실제로는 그렇지는 않다.
약 14억 명의 인구를 가진 중국에서 모바일 결제를 하고 있는 것은 약 8억 명이라 여겨진다. 대표적인 결제 기능은 알리페이와 위챗페이라는 두 가지로 두 개 모두 스마트폰 앱에 넣어 사용하고 있는 사람이 많지만 연해부, 내륙부에 상관 없이 고령자의 사용은 비교적 낮고 중국 전체가 완전히 캐시리스 사회로 이행되었다고 하는 것은 지나친 비약이다.
실제로 빈번히 중국에 취재를 가는 나 자신도 현금도 사용한다고 설명하면 많은 일본인은 안심한 표정을 짓는다. 하지만 동시에 다음 질문으로 “왜 중국에서는 급격히 캐시리스화가 실현된 건가요?”라는 질문도 자주 듣는다.
중국이 캐시리스화로 방향 전환한 것은 2014년 후반 정도다. 2013년부터 2014년에 걸쳐 스마트폰 이용자가 급속도로 증가해 2014년에 텐센트라는 중국을 대표하는 IT 기업이 위챗페이를 개시했다. 알리페이는 그 이전부터 있었지만 위챗페이는 위챗이라는 중국의 SNS에서 파생해 탄생한 결제 기능으로 이로 인해 중국의 모바일 결제는 순식간에 확산되었다.
물론 중국 정부의 지원도 있다. 중국 정부는 인터넷 플러스라는 정책을 내걸고 IT를 사용한 비즈니스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텐센트 및 알리바바 등은 중국 정부와 손을 잡음으로써 단기적으로 이 기능을 사회에 침투시키는 것이 가능했다.
하지만 그것만이 아니다. 급속도로 캐시리스화를 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중국 특유의 사회 사정이 있다. 첫 째로 립프로그 현상이 일어난 것이다. 후발주자 이익이라고도 하지만 기존의 사회 인프라가 거의 정비되어 있지 않았던 것이 관계하고 있다.
다음으로 현금이 신용할 수 없는 사회였다는 것이다. 중국에서는 위조 지폐가 많아 현금의 신용도는 원래 낮았다. 고액 지폐가 존재하지 않아 많은 돈을 가지고 다니는 것도 불편했지만 신용카드는 여신관리 문제로 중국 사회에는 보급되지 않았다.(중국에서 자주 사용되는 카드는 대부분이 체크카드) 이러한 여러 이유가 있었기에 중국은 단기간에 캐시리스화에 성공할 수 있었다고 할 수 있다.
--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