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산업뉴스요약

중국, 첨단기술 연구에서 앞서 -- 연구개발능력 30개 테마 조사, 80% 수위
  • Category미래기술,전망/첨단산업
  • 기사일자 2018.12.31
  • 신문사 일본경제신문
  • 게재면 1면
  • Writerhjtic
  • Date2019-01-06 13:49:31
  • Pageview478

중국, 첨단기술 연구에서 앞서
30개 테마 조사, 80%에서 수위

일본경제신문은 네덜란드 학술정보업체 엘제비어(Elsevier)와 공동으로 각국의 연구 개발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전세계 연구자들이 가장 주목하고 있는 첨단기술의 연구 테마 별 순위를 정리했다. 테마로는 차세대 전기자동차(EV)와 로봇 등 새로운 사업의 핵심인 배터리와 로봇 등이 눈에 띄었고 국가별 논문 수를 살펴보면 상위 30개 테마 가운데 중국이 23개에서 1위. 미국의 수위는 7개에 불과했다. 최근 하이테크 마찰을 빚고 있는 미국과 중국의 새로운 분쟁의 화근이 될 것으로 보인다.

-- 하이테크 패권에 대한 미국 경계 --
이번 조사는 2013~2018년 엘제비어가 보유한 학술지 등의 논문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했다. 열람 수 등을 바탕으로 논문의 주목도를 점수화해 논문 테마 별로 점수를 집계. 고득점 순으로 테마 순위를 정리했다. 테마를 약 10개로 세분화해 다양한 분야 관련된 인공지능(AI)과 같은 테마는 설정하지 않았다.

조사 대상으로 한 논문의 총 수는 약 1,720만건으로 그 중, 중국이 약 290만건, 미국은 약 390만건, 일본은 약 77만건이었다.

가장 주목도가 높은 것은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라고 하는 차세대 태양전지 재료이다. 현재 주류의 배터리 재료인 실리콘 반도체에 비해 고효율이고 저렴해질 가능성이 있어 전세계적으로 연구개발이 활발하다. 페로브스카이트 다음으로 저전력∙고속 처리 반도체로 이어지는 ‘단원자층’, ‘나트륨이온전지’가 뒤를 이었다.

10위까지 살펴보면 배터리 관련이 5개 테마로 가장 많았고, 그 배경에는 휴대 단말기에서 EV까지 폭 넓은 산업에 기여했다는 점이 있다. 그 다음으로 많았던 것이 의료∙바이오테크놀로지이다. 유전자를 자유롭게 편집해 동식물의 품종 개량으로 이어지는 ‘게놈편집’(7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한 혼조(本庶) 교토대학 특별교수가 연구하는 ‘면역요법’(10위) 등 3개의 테마가 있었다.

30개의 연구 테마에 대해 어느 나라의 대학 및 연구기관이 논문을 공표했는지를 조사해 논문 수에서 차지하는 국가별 순위도 정리했다. 그 결과 4위까지는 중국이 차지했고, 30위 안에서도 23개 테마에서 수위였다. 특히 ‘광촉매’(12위)와 ‘핵산을 표적으로 한 암치료’(14위)는 전세계의 70% 이상이었다.

한편, 미국은 ‘지카바이러스에 의한 감염병’(5위)과 ‘게놈편집’(10위) 등 7개 테마에서 수위였다. 일본은 ‘면역요법’(10위)과 ‘이산화탄소의 효율적 이용’(21위) 등 3개의 테마에서의 국가 순위가 미국과 중국에 이어 3위였지만, 국가별에서 1~2위인 테마는 하나도 없었다.

중국이 상위를 독점한 배경에는 과학 기술 강화가 있다. 문부과학성 과학기술∙학술정책연구소에 따르면 2016년, 중국의 연구비는 45조엔으로 10년 전의 3.4배에 달해 연구의 층이 확대되었다. 중국 정부는 ‘중국제조 2025’라고 하는 하이테크산업의 육성 정책을 내걸어 제조업의 수준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중국의 논문은 “수준 낮은 3류들이 넓은 시장만 믿고 마구 만들어지고 있다”라는 비아냥을 듣기도 했지만 최근에는 논문 질도 높아지고 있다. 중국은 2014~2016년에 발표된 논문 중에서 인용 수가 많아 우수한 논문으로 평가 받은 논문의 비율이 10.9%. 미국의 15.1%보다는 낮지만 일본의 8.5%를 상회했다.

중국이 첨단 기술 분야에서 세력을 확대하고 있는 것에 대한 미국의 경계심은 강하다.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제조 2025에 대해서도 계속 비난하고 있다. 엘제비어는 “중국은 일본과 미국에 비해 실용화를 염두에 두고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다”라고 분석. 특히 재료 과학의 비율이 높아 “전자 디바이스와 EV를 염두에 둔 응용 과학에 주력하고 있다”라고 한다.

▶ 주목 받고 있는 연구 테마 순위

순위

주목받는 연구 테마

구분

논문 수의 국가 순위(국가별 논문 셰어%)

 

 

 

중국

미국

일본

1위

페로브스카이트

배터리

1위(41.4)

2위(21.5%)

4위(6.9%)

2

단원자층

반도체

1 (35.1)

2 (32.5)

4(6.6)

3

나트륨이온전지 

배터리

1 (58.1)

2 (17.4)

4 (7.8)

4

니켈과 철산화물 촉매

신소재

1 (54.2)

2 (19.2)

8 (3.6)

5

지카바이러스 감염병

의료바이오

3 (9.1)

1 (40.2)

20 (1.0)

6

리튬유황전지

배터리

1 (59.9)

2 (23.7)

7 (2.8)

7

게놈편집

의료바이오

2 (22.6)

1 (43.9)

3 (8.0)

8

유기박막 태양전지

배터리

1 (31.8)

2 (14.3)

6 (3.8)

9

전기이중층 콘덴서

배터리

1 (65.3)

4 (7.5)

10 (2.0)

10

면역요법

의료바이오

5 (7.8)

1 (43.3)

3 (9.2)

11

산화환원

화학

1 (63.5)

2 (14.1)

4 (5.2)

12

광촉매

신소재

1 (78.3)

2 (5.3)

8 (2.6)

13

수소발생 촉매

신소재

1 (69.4)

2 (15.7)

9 (2.5)

14

핵산을 표적으로 한 암 치료

의료바이오

1 (72.6)

2 (15.7)

4 (2.1)

15

장내세포

의료바이오

2 (16.8)

1 (31.1)

11 (3.8)

16

탄소양자점(Carbon dot)

신소재

1 (61.5)

3 (8.8)

13 (1.3)

17

플렉시블 재료

신소재

1 (36.0)

 2 (29.2)

4 (5.9)

18

방사화 분석

화학

1 (45.6)

2 (12.8)

4 (7.7)

19

세포 간 시그널 전달

의료바이오

2 (22.7)

1 (33.4)

4 (6.0)

20

광열요법

의료바이오

1 (69.8)

2 (185.0)

15 (1.0)

21

이산화탄소의 효율적 이용

화학

2 (27.9)

1 (34.0)

3 (10.0)

22

미생물연료전지

배터리

1 (37.2)

2(18.0)

9 (3.1)

23

광전기화학

신소재

1 (34.8)

2 (23.7)

5 (5.4)

24

콘덴서에서의 탄소 이용

배터리

1 (60.6)

2 (11.1)

5 (3.8)

25

유기금속구조체

화학

1 (38.4)

2 (18.8)

7 (4.5)

26

레이저 용매

신소재

2 (20.0)

1 (22.9)

12 (2.5)

27

바이오탄

환경

1 (42.1)

2 (19.3)

24 (1.3)

28

나노발전기

신소재

1 (50.9)

2 (31.5)

9 (2.0)

29

리튬이온 전지

배터리

1 (41.6)

2 (27.1)

5 (5.7)

30

셀룰로스 나노크리스탈

신소재

1 (19.5)

2 (16.4)

9 (5.3)

 -- 끝 --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