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중국제조 2025' 지원 -- 첨단연구 랭킹과 중점분야 중복/산업화 목표
-
- Category미래기술,전망/첨단산업
- 기사일자 2018.12.31
- 신문사 일본경제신문
- 게재면 5면
- Writerhjtic
- Date2019-01-06 13:44:36
- Pageview399
중국, '중국 제조 2025' 지원
첨단연구 랭킹과 중점분야 중복/ 산업화를 목표로 투자 가속
배터리나 바이오 등 첨단기술의 연구 테마별 랭킹에서 80%의 분야에서 1위에 올라선 중국은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를 가속하고 있다. 첨단연구가 5~20년 앞의 산업경쟁력으로 이어진다고 전망한다. 주력 연구 테마는 하이테크산업 육성 정책인 ‘중국제조2025’와도 중복된다. 중국이 다양한 연구분야에서 시장을 독점할 가능성도 있어 미국의 경계는 더욱 높아질 것이다.
문부과학성의 과학기술∙학술정책연구소에 따르면 중국의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액은 2016년에 약 45조엔으로 미국의 약 51조엔에 육박한다. 학술지에 투고된 논문 수도 정보분석 기업인 엘스비어의 조사에 따르면 중국은 17년에 51만건으로 5년 전보다 27% 증가하였다. 미국은 56만건이지만 5년 전보다 5% 증가하여 거의 답보상태다.
중국은 산업정책 ‘중국제조2025’에서 차세대 정보기술이나 신에너지차 등 10개의 중점 분야를 설정하고 있다. 연구능력을 강화하여 25년에 세계의 제조 강국의 일원이 되고, 49년에 세계 최고 수준이 되는 것을 목표하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 밝혀진 중국이 독점하고 있는 연구 테마를 보면, ‘중국제조2025’에서 제시한 중점분야를 전망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배터리 관련 연구는 신에너지차인 EV나 휴대단말, 미래의 인프라망을 지원하는 센서나 기기 등의 전원이 된다. 반도체 연구는 차세대통신규격 ‘5G’의 통신기기 등에도 도움이 된다.
신재료 연구는 항공우주 등 다양한 제조업의 저비용화나 고기능화를 지원한다. 의료 연구는 획기적인 암치료 등으로 이어진다. 전자기기나 의약품, 항공우주 등의 하이테크 분야에서의 제조강국의 실현을 위한 연구개발의 중점화라고 말할 수 있다.
현재의 중국은 가전이나 자동차 등을 생산하는 ‘세계의 공장’이며 부품 등 기간기술은 유럽이나 미국, 일본이 쥐고 있다는 견해도 많다. 중국 정책에 정통한 다이와총연의 사이토(斎藤) 연구원은 “중국은 수입 의존도가 높은 분야에서도 스스로 조달할 수 있도록 하이테크 산업의 연구 등에 집중 투자하고 있다”라고 지적한다.
이처럼 연구개발부터 주력하고 있는 이유는 대학이나 기업이 착수하는 연구가 신산업의 싹이 되기 때문이다. 학술적인 기초연구부터 시작하여 실용화를 염두에 둔 응용연구를 거쳐 제조나 서비스로서 보급한다. 오랫동안의 연구개발로 특허나 기술력을 취득하여 힘을 축적하는 것이 산업화의 발판이 된다.
폭넓은 산업에서 보급되는 인공지능도 5~10년을 투자한 견실한 연구가 꽃을 피운 분야다. 논문은 10년 전후부터 증가하여 번역이나 자율주행, 의료 등에 대한 응용연구가 폭발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번 조사에서 상위를 차지한 배터리 분야도 마찬가지다. 휴대단말이나 전기자동차(EV)에 채용되고 있는 리튬이온 배터리는 1980년 무렵에 최초의 성과가 나오면서 논문이 증가하여 2000년대에 본격적으로 보급되었다.
18년에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한 혼조 타스쿠(本庶佑) 교토대학 특별교수가 90년대에 발견한 연구성과도 14년에 항암제로서 상품화되었다. 다른 모든 분야도 연구개발 단계에서 특허 등의 기술력을 보유한 기업이 산업에서도 힘을 발휘하는 시스템이다.
미국은 첨단연구의 패권을 길게 쥐고 있었던 만큼 중국의 존재감이 높아지는 것에 대한 경계심이 강하다. ‘중국제조2025’에 대한 비판을 강화하고 있다. 중국의 통신기기 기업 화웨이에 대한 압력 등 신흥기업도 견제한다. 또한 5~10년 앞의 시장화를 전망한 연구분야에서도 독점당할 우려가 높아지면 미중의 ‘하이테크 마찰’은 한층 격해질 것이다.
한편, 일본은 차세대기술에서 존재감이 없다. 30개의 테마 전체에서 논문 점유율이 10% 이하다. 연구비 총액은 16년에는 18.4조엔으로 40조엔이 넘는 미국과 중국과는 차이가 크다. 연구비에서 차지하는 정부부담 비율도 17.4%로 20% 이상인 미국과 중국보다 낮다. 국제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라도 차세대기술을 지원하는 정부예산의 확충이 요구된다.
--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