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빅데이터 법안을 통일 -- 정부, 2020년에 데이터 베이스 기반 구축
-
- Category사물인터넷/ ICT/ 제조·4.0
- 기사일자 2018.11.25
- 신문사 일본경제신문
- 게재면 7면
- Writerhjtic
- Date2018-12-02 20:25:30
- Pageview299
데이터의 세기
빅데이터 법안을 통일
정부, 2020년에 데이터 베이스 기반 구축
정부는 기업 및 행정기관이 보유한 데이터를 수집해 누구나가 이용할 수 있는 데이터 베이스 기반을 구축한다. 소유자에 따라 다른 데이터 서식 및 읽어 들이는 방법 등을 통일. 날씨와 구매 데이터를 정리해 매출 상황을 예측하는 등, 다른 분야의 정보 및 데이터를 조합해 서비스 개발에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빅데이터 법안을 통일해 구미(歐美)에 비해 뒤처져 있는 데이터 이용 기반을 정비해나갈 방침이다.
-- 서로 다른 분야 간의 이용 촉진 --
내각부와 경제산업성은 2020년, ‘분야 간 데이터 연계 기반’이라고 하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시시각각 달라지는 기상 정보와 센서가 감지하는 자동차의 주행 기록 등, 모든 데이터를 시간 등 가로 축으로 연계해 검색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데이터를 가로축으로 연계하기 위해서는 서식을 통일해야 한다. 예를 들어 같은 건물의 주소라도 ‘1정(丁) 5번지’와 ‘1-5’라는 데이터가 혼재할 경우 컴퓨터가 다른 건물이라고 인식할 가능성이 있다. 기반에 실리는 데이터는 서식 등이 동일한 규칙을 바탕으로 관리되며 ‘카탈로그’처럼 목록으로 정리되는 형태가 되는 것이다.
데이터가 같은 규칙으로 통일되어 기록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간단히 검색할 수 있게 된다. 카탈로그의 목록을 기반으로 필요한 데이터를 찾아내는 형태이다. 기업뿐만 아니라 개인도 원하는 데이터가 있으면 제공 기업에 따라 무상 혹은 유상으로 취득할 수 있다.
빅데이터를 다루는 곳은 개인 정보를 취급하는 ‘정보 은행’ 외에도 업무용 데이터를 매매하는 민간 ‘데이터 거래소’ 등이 있다. 최근 전문 기업 등이 설립되고 있지만 데이터의 서식 및 입력 방식이 각각 다를 경우, 거래 시 번거롭다. 데이터의 유통 기반은 데이터 거래를 위한 토대라고 할 수 있다.
우선 신에너지∙산업기술종합개발기구(NEDO)에서 기본적인 사양을 정해 11월 안에 운영기업을 선정한다. 내각부와 경제산업성 등 관계부서에서 ‘데이터 연계 기반 추진회의’를 발족. 2020년의 시험 운용과 2022년의 정식 가동을 목표로 한다.
지금까지는 데이터 집약이 업계 별로 추진되어온 결과, 각각 고립되어있는 경향이 있었다. 예를 들어 자율주행용 지도 및 차량 정보는 젠린과 미쓰비시, 도요타자동차 등이 ‘다이나믹 맵 기반’을 만들어 공유. 농업에서는 기상 및 수확 정보의 집약이 추진되었지만, 다른 업종 간의 데이터 유통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구미에서는 기업과 행정기관이 공동으로 데이터를 활용하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미국에서는 정부 주도로 2005년에 ‘NIEM’이라는 시스템이 시작. 무역과 농업, 군사 등의 데이터를 포함, 용어도 통일해 기업 간 데이터 유통의 토대가 되고 있다. 유럽도 ‘SEMIC’라는 비슷한 시스템이 있다.
미국 조사회사 IDC 등의 조사에서는 2017년에 외부에 데이터를 제공한 기업은 미국이 약 30만개 사, EU가 약 28만개 사인데 반해 일본은 약 10만개 사였다. 데이터 유통에서의 뒤처짐을 해소하고자 일본 정부는 6월, 미래투자전략에서 “행정기관과 기업 간에 산재하는 데이터를 모두 연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라고 밝혔다.
사업에 도움이 되는 시스템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민간 데이터를 늘릴 필요가 있다. 정부는 기업의 데이터 등록 촉진을 위한 정책 지원을 검토. 데이터의 제공자와 이용자가 서로 평가하는 시스템도 도입해 품질이 나쁜 데이터의 등록이나 부적절한 이용을 차단할 방침이다.
데이터의 유통 기반은 잘 가동된다면 일본 전체에서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되고 새로운 비즈니스로 이어지는 인프라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