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EF, 지자체와 연계해 스마트시티 검증 -- 자율주행 및 건강 데이터를 활용
-
- Category사물인터넷/ ICT/ 제조·4.0
- 기사일자 2018.10.30
- 신문사 일간공업신문
- 게재면 2면
- Writerhjtic
- Date2018-11-07 08:14:17
- Pageview349
WEF, 지자체와 연계해 스마트시티 검증
자율주행 및 건강 데이터를 활용
세계경제포럼 제4차산업혁명 일본센터는 자율주행 및 건강 데이터 등을 활용하는 스마트시티의 구상을 검증하기 위해 지자체와의 연계에 나선다. 이미 스마트시티화를 추진하고 있는 지자체에 더해 과소화로 인프라가 약체화되고 있는 지역과도 연계한다. 민관의 전문가가 모이는 이 센터의 지식을 살려 국가의 규제개혁 및 특구정책에 반영시키는 등 지역이 안고 있는 사회과제의 해결로도 연결한다.
세계경제포럼 제4차산업혁명 일본센터는 세계경제포럼(WEF)가 경제산업성과 8월에 설립한 차세대 정책의 검토조직이다. 중점 3개 분야인 이동혁명, 건강장수, 데이터 정책이 모두 도시 전체를 시스템으로 만들어 에너지 관리 등을 최적화하는 스마트시티의 개념과 직결되기 때문에 새로 스마트시티를 중요 테마 중 하나로 삼는다.
이미 지바현 가시와시, 후쿠시마현 아이즈와카마쓰시 등 전국에서 스마트시티화의 시도가 추진되고 있다. 이 센터는 각 지자체와 과제의 공유를 추진해 자율주행 및 건강 데이터에 관한 정책 제언으로 연결한다. 나아가 예를 들어 철도회사가 철수해 교통 편의성이 극단적으로 악화된 지역 등, 사회 과제가 심각해지고 있는 소규모 지자체와도 연계하려고 한다. 자율주행 등 첨단기술의 유용성 및 도입 장벽을 현장의 실정을 토대로 검증한다. 또한 인적 자원이 열악한 소규모 지자체에 대한 지원으로도 연결한다.
해외에서는 중국정부가 베이징시 근교에 정비하는 신도시 ‘슝안신구’의 계획에 IT 대기업 바이두가 깊게 관여하는 등 자율주행, 인공지능(AI), IoT라는 제4차 산업혁명 기술을 이용한 스마트시티화의 움직임에 속도가 붙고 있다. 일본에서는 2000년대 후반부터 각지에서 스마트시티화의 시도가 시작되었다. 현재 관심도가 조금 줄었지만 첨단기술의 수용 시설로써 다시 주목 받을 가능성이 있다.
--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