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암 게놈 의료, 의료 정보 등록 의무화 -- 후생노동성, 보급 촉진 위해 데이터
-
- Category바이오/ 농생명/ 의료·헬스케어
- 기사일자 2018.8.25
- 신문사 일본경제신문
- 게재면 6면
- Writerhjtic
- Date2018-08-31 21:44:11
- Pageview437
암 게놈 의료, 의료 정보 등록 의무화
후생노동성, 보급 촉진을 위해 데이터 집약
후생노동성은 암 환자의 유전 정보에서 최적의 치료약을 선택하는 ‘암 게놈 의료’에 대해서 약효 등을 판단하는 환자의 유전 정보 등록을 의무화 할 방침을 발표했다. 환자의 유전자를 조사한 의료기관이 국립 암 연구 센터에 등록한다. 암 게놈 의료는 2019년도에 보험 적용될 전망이다. 의무화로 정보를 집약하여 보급에 속도를 내려는 것이 목적이다.
등록하는 것은 도쿄대학 및 홋카이도대학, 교토대학 등의 전국 11개 ‘암 게놈 의료 핵심 거점 병원’, 각 거점 병원과 연계하는 100개 병원이다. 국립 암 연구 센터에 있는 ‘암 게놈 정보 관리 센터(C-CAT)’에 등록한다.
등록에서는 한 번에 여러 개의 유전자 이상을 조사하는 ‘유전자 패널 검사’의 데이터 및 약의 효과 등의 임상 정보를 수집한다. 어느 유전자 이상에 어떤 약을 투여하면 효과가 나왔는지 등의 정보를 분석하고 각 병원과 공유하여 치료약의 선택에 활용한다. 다양한 유전자 이상을 가진 환자가 어디에 있는 지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신약 개발에 필요한 임상시험에 참가하는 환자를 모집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유전자 패널 검사는 4월부터 국립 암 연구 센터 중앙병원이 보험진료와 보험 외 자비 진료를 병용하는 선진 의료를 시작했다. 최대 350명을 대상으로 암에 관련된 114개의 유전자 이상 등을 조사하여 최적의 치료약을 찾는다. 교토대학 등도 독자 패널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다만 약이 개발되어 있지 않은 질환에서는 사용 가능한 약은 적고 유효한 치료를 얻을 수 있는 것 은 환자의 10% 정도에 그친다. 때문에 국립 암 연구 센터에 집약된 정보를 토대로 유망한 후보가 되는 약이 발견된 경우에는 보험 적용을 앞당기는 조건부 조기 승인 제도를 활용할 방침이다. 일정의 유효성 및 안전성이 확인된다면 보험을 적용해 사용 가능한 치료약을 늘린다.
일본은 암 게놈 의료에서 구미와 비교해 뒤쳐져 있다. 후생노동성은 게놈 의료를 국민건강보험제도로 제공하여 암 연구를 추진해 따라잡으려 하고 있다.
앞으로는 환자의 병력 및 희소 암 환자의 주소 등의 개인정보 보호와 암 게놈 정보 활용과의 양립이 과제다. 후생노동성은 전문가 회의에서 논의 등을 거쳐 양립을 위한 체제 구축을 추진한다.
의료비 부담도 문제다. 패널 검사의 환자 부담은 50~100만엔 정도가 소요되어 보험 적용 후에 보급된다면 일시적으로 의료 재정을 압박할 우려도 있다. 게이오기쥬쿠대학은 검사 비용을 몇 만 엔으로 줄인 신기술을 개발했으며 곧 임상연구를 시작한다. 환자의 유전자 이상을 저렴하고 정확하게 분석하는 기술의 보급도 요구된다.
--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