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A용 카메라 센서 기기 판매 -- 샤프, 미세한 상처도 고속 감지/ 8K 기술이
-
- 카테고리스마트카/ 항공·우주/ 부품
- 기사일자 2018.7.11
- 신문사 일경산업신문
- 게재면 4면
- 작성자hjtic
- 날짜2018-07-18 00:01:21
- 조회수525
FA용 카메라 센서 기기 판매
샤프, 미세한 상처도 고속 감지/ 8K 기술이 열쇠
샤프는 노동력 부족으로 인해 확대되고 있는 팩토리 오토메이션(FA) 분야에서 시장 개척을 서두르고 있다. 정밀부품 등의 결함을 사람을 대신하여 고속 감지할 수 있는 카메라센서 기기를 판매한다. 액정 분야 등에서 축적한 이미지처리 기술을 활용하여 기존 업체에 대항한다. 매뉴팩처링 시스템 사업부의 스기모토(杉本) 엔지니어에게 물었다.
Q: 개발 배경은 무엇입니까?
“이 카메라센서의 원류에 해당하는 이미지처리 기기를 업계에서 처음으로 개발한 것은 1994년이다. 그러나 당시는 공장 등 생산 현장에서의 검품은 대부분 사람이 실시하였다. 2010년 이후에 노동력 부족이 심각해지면서 자동화 수요가 급속하게 높아지기 시작했다”
“액정 등으로 축적해 온 이미지처리 기술을 활용하여 화소수를 2,500만 화소까지 높였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화면이나 전자기판 등 정밀기기용에서 특히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미세한 결함에 대해 충분히 대응하지 못했기 때문에 성능 향상을 추진해 왔다”
Q: 어떻게 사용합니까?
“카메라, 렌즈, 조명 등과 함께 사용한다. 이미지처리 속도는 기존 대비 2~5배로 하였다. 2,500만 화소의 이미지를 1초당 30프레임 처리할 수 있다. 촬영한 이미지를 카메라센서 기기가 처리한 후, 컴퓨터 모니터 등에 이미지가 표시되는 구조다. 공장 라인에서 제품 결함을 사람은 불가능한 속도로 감지할 수 있다”
“특수한 모양을 촬영할 수 있는 라인카메라라는 기기도 탑재하였다. 예를 들면 원주 모양 부품의 곡선 부분의 상처는 일반적인 카메라로 1장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것만으로는 확인하기 어렵다. 그러나 라인카메라의 경우는 원추형 부품을 회전하면서 이미지를 반복 촬영, 여러 장의 이미지를 붙여서 1장의 이미지로서 감지한다”
Q: 어떤 기업에 판매를 상정하고 있습니까?
“우선은 액정을 비롯한 전자부품 관련 업계다. 중국 등 해외에서 생산 공장이 많이 세워지고 있고 인건비의 급등으로 자동화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최대 시장인 중국에서는 모회사인 대만의 홍하이정밀공업이 보유한 네트워크를 활용한 판로 확대도 기대할 수 있다”
“자동차 부품용 카메라 센서 기기도 확대해 나가고 싶다. 샤프 자체는 자동차업계와의 관계는 깊지 않다. 우리 사업부는 16년에 샤프의 하나의 사업본부 속으로 편입되었지만, 그때까지는 자회사로서 전자부품보다 자동차업계 대상 비즈니스가 많았다. 샤프가 익숙하지 않은 분야를 성장시켜 나가고 싶다”
Q: 타사 제품과 비교하여 강점은 무엇입니까?
“화소수 등 이미지기술에 관계되는 성능에서는 뒤지지 않는다. 액정으로 축적해 온 기술에는 자신이 있다고 자부하고 있다. 이번 2,500만 화소도 현시점에서는 업계 최고 수준이다. 한편, 국내 점유율을 보면 대형 2사가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우리는 10%에도 미치지 못한다. 앞으로는 인지도를 높여 고객의 작은 수요에 대응하여 점유율을 높여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Q: 향후 방침은 무엇입니까?
“’(초고정밀이미지) 8K 에코시스템(생태계)’이라고 부르는 회사 슬로건에 따라 성능을 높여 나간다. 텔레비전이나 카메라 등 모든 화소수를 8K 수준으로 높이는 것을 의미한다. 이 슬로건에 부합하는 하나의 벤치마크로서는 3,300만 화소. 카메라센서 기기로서도 아직 세상에 없는 성능을 계속 제공하고 싶다”
▶기자의 눈: 점유율 확대, 8K 기술이 열쇠
생산 현장의 노동력 부족으로 카메라센서 기기의 수요는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샤프는 케이스형 카메라센서 기기의 점유율은 1위 키엔스, 2위 오므론에 크게 뒤처져 있다. 상위 2사를 따라잡기 위해서는 액정으로 축적한 이미지 관련 기술이 반드시 필요하다.
8K이미지기술의 응용이 하나의 열쇠가 된다. 예를 들면 카메라센서의 화질을 8K수준까지 향상시키면 지금까지 확인할 수 없었던 상처나 결함 등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강점인 이미지 관련의 선진 기술을 활용하여 새로운 용도를 제안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지의 여부가 성패를 가를 것이다.
--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