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가솔린차 규제로 번호판 취득 곤란 -- ‘어쩔 수 없이 EV’ 선택
-
- Category스마트카/ 항공·우주/ 부품
- 기사일자 2017.10.22
- 신문사 일본경제신문
- 게재면 7면
- Writerhjtic
- Date2017-10-27 16:01:30
- Pageview612
중국, 가솔린차 규제로 번호판 취득 곤란
‘어쩔 수 없이 EV’선택, 보조금∙규제 면제 지원
중국이 정부차원에서 전기자동차(EV)로의 선회를 추진하고 있다. 외국의 생산공장을 유치하여 차세대자동차 기술을 자국으로 불러모아 산업 패권을 획득하고자 하는 야망이 엿보인다. 그러나 지금 EV시장이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는 이유는 대기오염이나 도시의 교통정체를 완화하고자 정부가 가솔린 차를 규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항속거리가 짧은 EV를 어쩔 수 없이 구입하고 있는 소비자가 중국을 세계 최대의 EV대국으로 만들고 있다.
‘가솔린 차를 구입할 기회는 거의 없다’. 베이징 시내의 인터넷 기업에서 근무하는 왕걸(35) 씨는 이렇게 말한다. 교통정체가 심각한 베이징은 2011년부터 승용차 구입에 필요한 번호판 발급에 추첨제도를 도입하였다. 왕 씨는 3년 전부터 10회 이상 신청했지만 아직까지 좋은 소식은 없다.
베이징에서는 8월에 열린 번호판 추첨에 285만 9천 명이 응모하였고, 당첨자는 1만 4천 명이었다. 당첨 확률은 불과 0.5%다. 추첨제도는 톈진(天津), 광둥성 광저우(廣州), 선전(深圳) 등 6개 도시로 확대, 당첨 확률은 모두 1% 이하다. 상하이는 번호판을 경쟁하는 제도를 채용하고 있으며, 번호판 가격은 9만 위안(약 150만 엔)이 넘는다.
가솔린 차나 디젤 차의 번호판 취득난이 EV와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PHV)를 한데 묶은 ‘신 에너지자동차’의 구입으로 소비자를 불러모으고 있다. 신 에너지자동차의 경우는 번호판의 발급 제한이 3개의 도시에 한정되며 내용도 엄격하지 않다. 베이징에서는 1~2년 기다리면 확실하게 발급받을 수 있다. 가솔린 차와 비교하면 EV는 압도적으로 구입하기 쉽다.
구입 보조금도 보급을 지원하고 있다. 신 에너지자동차에서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는 BYD의 EV ‘e5’의 가격은 약 20만 위안이다. 그러나 베이징에서는 약 6만 위안의 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 베이징이나 톈진 등 10개 이상의 도시에서는 교통정체 완화를 위해 번호판의 마지막 숫자에 따라 요일 별로 주행을 제한하고 있다. 그러나 신 에너지자동차의 대부분은 이 규제도 면제된다.
2016년의 중국의 신 에너지자동차의 판매 대수는 50만 대를 돌파하여 세계 1위를 차지하였다. 그 중 승용차는 약 33만 대에 달했다. 지역 별로 보면, 베이징, 상하이, 광둥성과 같이 번호판 발급 제한을 도입하고 있는 지역이 상위 3위를 차지하고 있다.
가솔린 차는 좀처럼 구입하기가 쉽지 않다. 그리고 어렵게 구입을 해도 일부 도시에서는 승차한 채로 진입하는 것을 제한한다. 한편 EV는 한번 충전으로 달릴 수 있는 거리가 짧다. 가정 등에서 충전하는데도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편리하다고는 할 수 없다. 차종이 적고 디자인에 대한 평가도 가솔린 차와 비교하면 낮다. 그래도 ‘자동차를 구입할 수만 있다면’이라는 생각으로 소극적으로 EV를 선택하는 소비자는 앞으로도 늘어날 것이다.
중국 국민들은 배기가스 등에 의한 대기오염에 불만을 갖고 있으며, 공산당이 가장 중시하는 사회 안정에 우려가 나오고 있다. 가솔린 차에 대한 규제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한 정부는 중국에서 사업을 전개하는 자동차회사에게 19년부터 일정 비율의 신 에너지자동차의 제조∙판매를 의무화하는 제도를 발표하였다.
시진핑 국가주석도 18일에 시작된 공산당대회의 모두 활동보고에서 ‘클린에너지산업을 크게 발전시킨다’라고 강조하였다. 대기오염과 교통정체의 완화라는 사회적인 사정과, 자국의 거대 시장을 백으로 기술 이전을 촉구하고자 하는 정부의 의도가 중첩되었다. 판매와 제조의 양면에서 중국은 EV대국을 향해 매진하고 있다.
--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