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G 보급위한 기술 개발 착수 -- 정부, 민관 협력 대용량 데이터 전송 지원기술
-
- 카테고리사물인터넷/ ICT/ 제조·4.0
- 기사일자 2017.8.25
- 신문사 일본경제신문
- 게재면 1면
- 작성자hjtic
- 날짜2017-09-01 08:22:46
- 조회수905
5G 보급위한 기술 개발 착수
정부, 민관 협력으로 대용량 데이터 전송 지원기술
정부는 차세대 무선통신「제 5세대(5G)」의 본격적인 보급을 위해 대용량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할 기술 개발에 착수한다. 2020년대 후반에는 고화질 동영상 전송 등을 주고 받을 시, 현재의 1,000배의 송수신 능력이 필요할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민관 협력을 통해 초고속 회선망에 사용되는 광섬유의 기능 향상을 위한 연구 및 기술 개발에 착수. 모든 사물이 인터넷으로 연결되는「IoT」등의 서비스 기반을 정비해나갈 방침이다.
총무성 소관의 정보통신연구기구(NICT)는 광섬유의 기초 기술에 대한 연구를 추진. 이와 동시에 민간 기업과도 연대해 수 년 안에 대용량 데이터 전송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한다. 또한, 기술 개발에서 공사까지를 감안한 예산 편성도 정부 내에서 추진한다.
5G로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량은 매초 10기가비트로, 적어도 지금의 10~100배의 속도가 필요하다. IoT 및 고화질 4K 동영상의 송수신 등이 보급되면서, 통신량은 현저하게 늘어날 전망이다. NICT는 향후 방대한 데이터량을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기술 확립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국내 대형 전자기기 제조사 등과 공동으로 광섬유 1줄 당 데이터 전송 능력을 크게 향상시키거나, 한데 묶어 보다 고속화하는 등의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부설해 놓은 광 케이블 회선 교체 공사와 정부가 일부 담당하는 것도 검토하고 있다.
인터넷의 고정 고속통신망은 NTT동일본∙NTT서일본을 중심으로 민간이 정비해왔다. 전국 규모의 설비 경신이 이루어진다면,「정비 비용이 5조엔 이상이 될 가능성도 있다」(정부 관계자)라고 알려져 있어, 민간에서도 정부에 지원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아베(安倍)정권은 5G를 성장 전략의 핵심인「제 4차 산업혁명」의 축으로 지정, 초고속 고정 통신망 정비를 국가 프로젝트로 지정하고 있다.
--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