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자동차 보급 위한 프랑스의 결단 -- 가솔린 차량 2040년 판매 금지
-
- Category스마트카/ 항공·우주/ 부품
- 기사일자 2017.7.8
- 신문사 일본경제신문
- 게재면 3면
- Writerhjtic
- Date2017-07-15 22:29:35
- Pageview425
전기자동차 보급 위한 프랑스의 결단
가솔린 차량 2040년 판매 금지
프랑스 정부가 2040년에 가솔린, 디젤 차량의 판매를 국내에서 금지하는 방침을 내놓았다. 세계적인 에코카 추진 흐름에 앞서서 자동차 제조사의 전기자동차(EV) 개발을 지원할 전망이다. 20개 국가∙지역(G20) 정상 회담에 맞춘 정보발신은 파리 협정 이탈을 표명한 미국 트럼프 대통령에게 대항하는 목적이 있다고 인식되고 있다.
“긍정적인 소식이다. 프랑스 자동차 제조사는 이미 전동화를 도입하고 있다.” 프랑스 자동차 공업회(CCFA)의 홍보담당자는 프랑스 정부의 발표를 보고 프랑스 AFP 통신에서 밝혔다. EV의 가격도 1대 2만 유로 정도까지 낮추어 보급을 촉진할 것이라고 한다.
유럽 에콜로지 장관은 6일 기자회견에서 구체적인 규제의 스케줄과 내용 아직이라고 밝혔다. 실제로는 EV의 구매를 보조금으로 촉진시키면서 가솔린 차량 등의 생산과 판매에 단계적으로 규제를 가해 최종적으로 금지한다고 보여진다.
프랑스 자동차 제조사는 7일 현재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하지만 정부주도로 EV의 보급이 추진된다면 급성장하는 시장을 차지하기 위해 개발의 우선순위를 올리는 것은 확실하다.
이미 르노는 소형전기차 ‘Zoe’의 주행거리를 400km까지 늘리고 더욱 개량을 추진하고 있다. PSA 그룹도 2023년까지 80%의 모델을 전기차로 한다는 목표를 내걸었다. 두 회사 모두 프랑스 정부가 대주주인 만큼 이번의 목표설정으로 전기차 도입이 가속화 될 가능성이 있다.
다른 나라의 유럽기업도 EV 시장을 노린다. 스웨덴의 볼보는 2019년 이후에 출시하는 모든 차량을 전동차로 한다. 독일의 폭스바겐도 2025년까지 30차종 이상의 EV를 출시할 생각이다. 조사회사 블룸버그뉴에너지파이낸스(BNEF)에 따르면 전세계 승용차 판매에 차지하는 EV 비율은 2020년에 3%, 2040년에 54%가 될 거라 한다.
보급에는 공공 충전 스테이션의 정비가 필수적이다. 2014년 프랑스는 국내에 700만 충전 스테이션을 2030년까지 설치하는 목표를 내걸었지만, 현상은 약 1만 6천에 그친다. 주행거리가 늘어도 소비자가 불편하다고 느끼면 보급으로는 이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보조금도 6일 기자회견에서 명확히 하지 않았다. 프랑스는 공공부문의 누적채무가 국내총생산(GDP)에 필적하는 액수까지 쌓여 재정적인 여유가 없다. 대규모 보조는 어렵고 보급에 있어서 발목을 잡을 가능성이 있다.
프랑스 정부는 지구온난화 대책의 파리 협정의 목표달성을 위한 이산화탄소(CO₂) 배출 삭감 계획의 일환으로 삼고 있다. 프랑스 마크롱 대통령은 취임 이후 파리 협정 이탈 표명과 보수주의적인 주장을 이어가는 트럼프 대통령에 대항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고, G20에 맞추어 발표하는 것으로 주목을 끌려는 목적이 있다고 보여진다.
유럽에서는 네덜란드, 노르웨이에서도 가솔린 차량 판매 금지의 움직임이 나오고 있는 등, 인도도 2030년까지 프랑스와 같은 규제도입을 목표로 할 생각이다. 파리 협정의 목표달성을 위해 추종하는 나라가 나올 가능성도적지 않다. 자동차 제조사에 있어서 탈 화석연료 차량의 미래를 내다본 경영전략이 필수가 되고 있다.
--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