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산업뉴스요약

ICT 세계의 흐름 : 새로운 사회 시스템 구축 -- IoT∙AI와 네트워킹 (1)
  • 카테고리사물인터넷/ ICT/ 제조·4.0
  • 기사일자 2017.6.30
  • 신문사 일간공업신문
  • 게재면 2면
  • 작성자hjtic
  • 날짜2017-07-06 10:45:21
  • 조회수526

ICT 세계의 흐름 (11)
새로운 사회 시스템 구축
IoT∙AI와 네트워킹 (1)
NEC 국제사회경제연구소 주임연구원 Noriyuki Matsunaga

-- 가능성 확대 --
지금, 첨단 기술을 표현하는 언어에 IoT∙AI가 있다. 3년 정도 전까지는 IoT라고 하는 단어가 단독으로 사용되고 있었지만 최근에 AI가 더해져 두 가지 단어가 한 묶음으로 생각되고 있다.

IoT란 정보통신기술의 한 가지로 등장한 단어이다. 지금까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지 않았던 사물까지 연결된다고 하는 사물의 연결의 더욱 확대를 표방한 개념이다.

AI는 컴퓨터에게 인간과 같은 지능을 실현시키려고 시도하는 현재 가동되는 대다수의 컴퓨터와는 질이 다른 기반기술이다. 이러한 IoT와 AI가 함께 다루어지게 된 것으로 지금까지 없던 정보통신기술의 가능성이 확산되고 있다.

컴퓨터 네트워크는 더욱 다양한 사물과 연결되는 것과 생각하는 것을 한 가지 시스템 상에서 일체화하는 새로운 국면에 돌입하려고 하고 있다. 고도로 사고하는 컴퓨터가 연결되는 IoT∙AI 네트워킹이 새로운 사회 시스템을 구축한다.

-- 표현하는 조명 --
예를 들어 조명의 영역에서는 역동적이며 다채로운 조명을 실현하는 IoT 시대를 주시한 검토가 추진되고 있다. 조명기구는 기존에 전구와 형광등과 같이 스위치로 점등과 소등을 하는 기기였지만 살아있는 것처럼 조명기구가 네트워킹화되어 자율적으로 환경을 인식하고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면, 어떻게 비출지 나아가서는 어떤 존재의 빛이 될지를 표현 가능한 조명기구가 된다. 새로운 개념의 조명이 차세대 도시에 새로운 형태로 설치하는 구상도 나오게 될 것이다. IoT∙AI 네트워킹의 개념이 확산된다면 이러한 검토가 조명기기만이 아닌 대다수의 사물로 전개될 것이다.

-- 인간을 뛰어넘다 --
한편 이러한 정보기술의 발전 속에서 많은 일자리와 서비스를 AI가 맡게 되어 많은 사람이 실직하는 것은 아닌가라고 우려하는 논의가 사회경제의 문제로서 다루어지게 되었다. 방대한 배경정보를 인지하여 인간과 같이 혹은 인간 이상의 퍼포먼스를 발휘하는 IoT∙AI 시스템이 비즈니스 안에 도입되게 된다.

정보사회는 어디로 향하는 가. 차례차례 등장하는 새로운 키워드는 어디에서 탄생하는 것인 가. 이것을 관찰하는 중요한 관점에 네트워킹이 있다. 사회의 구석구석까지 정보망이 확산되는 새로운 정보공간을 활용한 사회의 구조를 어떻게 파악하면 좋을지, 이번의 연재에서는 네트워킹의 관점부터 혁신의 본질을 파악하면서 풀어본다.

-- 끝 --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