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산업뉴스요약

「애슬레틱 레저」시장 겨냥 -- 통기성 50배 증가로 착용감 높여
  • Category화학/ 신소재/ 환경·에너지
  • 기사일자 2017.6.13
  • 신문사 일경산업신문
  • 게재면 9면
  • Writerhjtic
  • Date2017-06-19 13:11:08
  • Pageview520

「애슬레틱 레저」시장 겨냥
통기성 50배 증가로 착용감 높여

-- 도레이, 의류 신소재 개발 --
도레이가 스포츠 의료섬유의 간판 브랜드「엔트란트(Entrant)」에서 새로운 노선을 구축. 쾌적한 착용감을 위해 폴리우레탄 막의 미세한 구멍을 크게 만들어 통기성을 50배 증가시켰다. 스포츠웨어의 요소를 패션에 도입한「애슬레틱 레저시장」을 겨냥해, 방수 등의 기능 경쟁에서 한발 벗어난 전략을 꾀할 방침이다.

-- 방수 기능은 낮추다 --
아사다 스포츠∙의료자재 사업본부부장은 신상품「엔트란트 고(高)통기성 타입」에 대해,스포츠웨어의 기능을 일상 생활에서도 체험할 수 있다」라고 말한다. 애슬레틱 레저는 Athletic과 Leisure의 합성어. 의류업계에서 수요가 높아지고 있어, 스포츠 의료 섬유의 새로운 용도로 떠오르고 있다. 도레이 신상품은 나이론 및 폴리에스텔 옷감에 방수 및 통기 기능을 도입한 폴리우레탄 막을 이용했다.

-- 막의 구멍 5배로 커져 --
폴리우레탄 막에는 통상적으로 통기성을 위해 무수한 미세 구멍이 있다. 특수한 성분의 물질을 막 내부에 투입, 물로 인해 물질만이 녹아 구멍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도레이는 물질의 혼합 양과 방법을 연구해 구멍의 크기를 5배로 넓혔다. 방수 성능을 높일 경우, 구멍을 극히 작게 만들어야 할 필요가 있어, 도레이는 이번 개발에서는 방수 기능을 낮췄다.

내수압(耐水壓)을 보면 그것을 이해할 수 있다. 내수압이란 옷감 위에 물을 주입해, 몇 mm일 때 옷감 안쪽에 물이 스며드는지 계측한 것을 말한다. 등산 등, 스포츠웨어용 옷감의 내수압은 최대 2만mm. 그러나 이번 신소재는 2,000~3,000mm이다.

개발팀은「2,000mm라면, 젖어있는 벤치에 앉아 있어도 방수가 된다」라는 결과에 만족, 방수 성능을 높이고 있는 업계의 기술 경쟁에서 철수했다. 내수압을 높일 경우, 옷감이 두꺼워져 활동성 및 착용감이 떨어져 도시에서의 일상생활에는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 접착 방법도 연구 --
방수소재로는 불소계 수지의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이 사용된「고어텍스(Gore-Tex)」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것에는「거의 신축성이 없다」(도레이). 도레이가 엔트란트에서 자체 개발한 폴리우레탄은 신축성이 높아 활동하기 좋다.

도레이가 신상품의 통기성을 높이기 위해 연구한 것은 또 있다. 옷감과 폴리우레탄 막을 서로 부착시키는 접착 방법을 개발했다. 기존의 소재 한 면에 접착제를 바르던 것을 개선하였다고 한다.

애슬레틱 레저 의류 시장을 겨냥한 신상품은 이미 아웃도어 브랜드「더 노스 페이스」에서 채택이 결정되었다. 패션 의류용으로도 주목을 끌고 있어, 2018년 가을 겨울 시즌부터 본격 전개될 예정이다.

-- 도쿄올림픽을 앞두고 관련 의류제품 호조 --
아스레저는 작년 초부터 젊은 여성들 사이에서 트랜드로 자리잡기 시작해, 폭 넓은 연령층에서 이용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2020년에 아스레저 의류 시장이 1천억달러(11조엔)으로 확대될 것이라는 조사 결과도 있다.

일본에서도 도쿄올림픽을 앞두고 스포츠 시장이 활성화되고 건강에 대한 인식도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관련 의류제품이 호조를 이루고 있다. Fast Retailing 산하의 GU는 전국 약 20개 곳에 한정되어 있던 여성용 아스레저 상품 취급 점포를 점차 확대해나가고 있다.

Triumph International Japan(도쿄)는 가슴의 형태를 아름답게 보이도록 하는 유럽의 스포츠 브라 브랜드를 국내에서 판매할 예정이다. 산요(三陽)상회는 신사용 브랜드에서 흡수∙건조가 빠른 커트 앤 소운(Cut and sewn) 및 셔츠 등을 2017년 봄 여름 시즌부터 판매하기 시작했다.

노무라(野村)증권은 아스레저분야에 대해 일반 상품에 재해 차별성이 뚜렷하고 패션감도 뛰어나다는 특성을 발판으로 성장하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 끝 --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