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산업뉴스요약

「5G」통신, 2023년 전국에 보급 -- 대형 이동통신회사, IoT 가속
  • 카테고리사물인터넷/ ICT/ 제조·4.0
  • 기사일자 2017.6.7
  • 신문사 일본경제신문
  • 게재면 1면
  • 작성자hjtic
  • 날짜2017-06-14 23:04:05
  • 조회수682

「5G」통신, 2023년 전국에 보급
대형 이동통신회사, IoT 가속

차세대 초고속 무선통신「제 5세대 (5G)」의 상업이용구역이 2023년 전국에 보급된다. NTT도코모, KDDI, 소프트뱅크의 이동통신회사 3사는 2020년에 5G 이용을 일부 지역에서 개시, 도코모는 3년 이후 전국으로 확대할 전망이다. 3사의 총 투자 금액은 5조엔 규모에 달할 전망이다. 자율주행차와 모든 사물이 인터넷으로 연결되는「IoT」 보급을 지원해나갈 것으로 보인다.

-- 이동통신 3사, 5조엔 투자 및 기지국 공유 --
이동통신 3사는 2020년 도쿄올림픽 개최에 맞춰 도심 등 일부 지역에서의 상업적 이용을 시작, 이후 점차적으로 그 범위를 확대해갈 방침이다. 도코모의 요시자와(吉沢) 사장은「개시 이후 3년 이내에 전국의 주요 지역으로 전개한다」라고 언급, 2023년에 전국으로 확대해나갈 계획을 표명했다.

5G는 현재의 4G와 비교해 실효속도가 최대 100배 정도로, 국제 규격 개요는 올해 안에 정해진다. 기기의 개발에 약 1년 걸릴 것으로 알려져 있어, 각 3사는 2019년에 설비 투자를 시작, 전국 기지국부품 및 서버, 전용시스템 등을 5G용으로 정비해나갈 계획이다.

5G 용도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자율주행차의 경우, 0.001초의 빠르기로 차량 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보다 고성능의 자율주행이 실현된다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확률은 높아질 것이다. 가상현실(VR)기술을 이용한 원격 수술 등, 의료분야에서의 이용도 추진될 전망이다.

또한, 수요가 클 것으로 전망되는 것은 컨텐츠 분야이다. 스포츠 중계 등에서 여러 대의 카메라 영상을 실시간으로 합성해 소비자가 원하는 시점에서 경기를 즐기는 등의 용도 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산업분야에서도 다양한 용도가 전망된다. 특히 기대를 모으고 있는 것이 IoT의 가속화이다. 대량의 단말기에 동시에 접속할 수 있어, 보다 많은 정보를 실시간으로 흡수해 공장의 생산성 향상 등에 도움을 줄 것이다.

3사의 5G를 위한 총투자액인 5조엔은 4G∙LTE으로의 총투자액, 6조엔이 넘는 금액보다도 낮다. 이미 전국에 있는 기지국을 일부 전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코모의 모회사인 NTT는 KDDI와 소프트뱅크에게 비용 절감을 위한 5G 기지국의 공유화를 타진하고 있다. 도심 등을 대상으로 2사 모두 이에 응할 것으로 보여, 투자액 절감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현재 호황을 누리는 이동통신 3사가 설비 공유화를 모색하는 것은 계약자 수의 증가가 둔화되어, 중장기적으로 수익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스마트폰 성장이 둔화됨에 따라 저렴한 스마트폰과의 경쟁도 격화되고 있다.

G도 국가가 할당하는 전파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동통신 3사는 저렴한 스마트폰회사에 회선을 빌려줄 의무가 있어, 가격 경쟁은 지속될 전망이다. 이동통신 3사는 실적 유지를 위해 5G 투자 비용 절감에 주력하고 있다.

주요국의 통신회사들도 5G 정비를 서두르고 있다. 미국에서는 최대기업 Verizon Communications가 2018년 초, 자체 규격을 통한 5G 실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중국 최대기업인 중국이동(中國移動)은 2020년의 상업화를 목표로 2019~2020년에 집중 투자할 방침이다. 한국에서도 KT가 2018년에 5G에 기반을 둔 방식을 시험 이용할 예정이다.

《5G로 변하는 생활∙산업》
▶ 자율주행차: 순식간에 자동차끼리, 신호기가 서로 통신하여 사고를 막을 확률이 높아진다
▶ 원격의료; 환자의 감촉을 서둘러 멀리 떨어진 장소에 있는 의사에게 전달한다
▶ 오락; 스포츠 중계로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순식간에 합성, 보고 싶은 시점에서 관전
▶ IoT; 1평방 킬로미터 당 100만대의 단말과 동시 접속∙통신이 가능해, 공장의 품질관리 및 생산성이 높아짐
▶ 인프라 원격 관리; 보수 및 메인터넌스를 세밀하게 실시할 수 있다.
▶ 고선명 영상의 전송; 4K 및 8K TV의 영상을 초고속으로 전송한다.

   -- 끝 --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