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동차 강국 목표로 하는 중국 -- 차세대 기술 구축 중시, 부품산업과 브랜드
-
- 카테고리스마트카/ 항공·우주/ 부품
- 기사일자 2017.5.16
- 신문사 일경산업신문
- 게재면 4면
- 작성자hjtic
- 날짜2017-05-22 09:25:36
- 조회수459
「자동차 강국」을 목표로 하는 중국
차세대 기술 구축 중시, 부품산업과 브랜드 육성
중국정부는「중국제조 2025」(중국판 4차 산업혁명)를 통해, 제조업의 경쟁력 향상을 국가전략으로서 추진하고 있다. 중에서도 저변 기술의 향상을 견인하는 자동차산업에 있어서는 2017년 4월에「자동차산업 중장기 발전계획」이 발표,「2025년 세계 자동차 강국 입성」이라는 목표를 내걸고 있다. 정책 주도에 의한 자동차산업 발전의 실태를 소개하고 싶다.
중국은 8년 연속으로 신차판매 세계 1위를 유지하며,「자동차 대국」의 지위를 굳히고 있다. 그러나 뒤처진 부품 기술, 연구개발력의 발달 부진 등의 과제를 안고 있어, 일본이나 미국, 유럽을 따라잡기에는 여전히 갈 길이 멀다.
이러한 상황의 배경으로는, 중국정부가 1980년대부터 완성차의 합병사업과 산업보호를 우선하여, 부품산업의 육성에 충분한 노력을 투자하지 않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는「자동차 강국」으로 전환하는 장애물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실제로 중국계 제조업체는 외국자본계 제조업체와 정면 경쟁이 어려웠고, 오랫동안 저가 자동차 분야에 집중하는 공존 전략을 취해 왔다.
중국정부는 기존의 가솔린차 컨셉을 초월한 새로운 시장의 형성은「백 년에 한 번」있는 기회이며, 차세대 자동차기술의 구축이「자동차 강국」으로 가는 유일한 길이라고 단언하였다.「자동차산업 중장기 발전계획」에서는 추격 전략을 그렸다. 이 계획에서는 저변∙부품분야를 포함하는 산업 체인의 발전, 코어기술의 획득, 중국 브랜드 육성 등의 6지표를 제시하고 있다. 세계 자동차산업 및 부품업계의 톱10에 들어갈 수 있는 기업들을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신에너지 자동차, 자율주행 기술 및 커넥티드카 등의 스마트카 분야를 중점에 두고 관민 전체가 연구개발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차세대 자동차기술에서 우위성을 획득할 수 있으면, 부품∙저변산업의 기술 진척도 예상되며, 자동차산업의 경쟁력 향상도 실현할 수 있다.
중국은 2016년의 신에너지 자동차 판매가 50만 대 이상으로 세계 시장의 50%를 점하고 있으며, 2020년에 200만 대, 2025년에는 700만 대라는 시장 규모를 목표로 하고 있다. 동시에 에너지절약 기술의 고도화를 추진, 2025년에는 Idling Stop 기능을 탑재한 자동차를 보급시켜, 평균 연비 기준을 현행의 100km 당 6.7리터에서 4.0리터로 올린다. 2025년까지는 중국제조업체의 신차 품질이 글로벌 기업과 동등한 수준까지 따라잡는 것을 요구하고 있다.
한편, 「자동차산업 중장기 발전계획」에는 중국∙외국합병 완성차 제조업체에 대한 외자출자 비율 조건의 완화가 제시되었다. 그러나 중국 자동차산업의 경쟁력의 충분한 향상이 전제되어 있다고 판단되어, 구체적인 내용은 명시하지 않고 당면은 현행 규정을 유지할 공산이 크다.
중국정부는 신에너지 자동차 및 스마트카 분야를 중심으로 하는 차세대 자동차 기술의 진척을 추진하며, 자동차 시장의 향후 발전 방향을 시사하고 있다. 한편, 소재나 부품을 포함하는 기술의 향상은 하루아침에 실현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기초연구의 축적이나 이노베이션 환경의 정비가 필요하다.
앞으로 8년에 걸쳐 중국의 기술 추격이 어떻게 추진될지 지속적으로 주목하고 싶다. 일본을 포함한 외자계 자동차관련 기업도 정책 동향에 유의하며, 차세대 자동차 부재∙시스템 관련 사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중국 자동차산업 중장기 발전계획의 개요
6개의 지표 |
2025년 |
코어기술의 획득 |
o중국 주요 에코카 기업의 세계 점유율 확대 |
저변∙부품제조업체의 육성 |
o중국 부품제조업체들의 세계 톱10 입성 |
완성차 브랜드 육성 |
o중국 브랜드(생산판매대수)의 세계 톱10 입성 |
새로운 시장 육성 |
o자동차산업에서 차지하는 애프터서비스 비율을 55% 이상으로 |
글로벌 전개 |
o세계 시장에 있어서 중국 브랜드의 지명도 향상 |
에코 수준의 향상 |
o평균 연비에서 승용차 100km 당 4리터 |
--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