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안적 사고 의 권유 : 조화가 필요한 변혁의 시대를 맞이하여

책 커버 표지
목차

목차


 [ 목 차 ]

  序章 複眼的思考とは何か

  第1章 科学に目覚めた少年時代

  第2章 科学研究と複眼的視点

  第3章 二〇世紀を振り返る

  第4章 「調和の文明」を創造する

  第5章 日本人の意識

  第6章 学校教育を見直す

  第7章 未来を担う子どもたちへ





 [ 책 소 개 ]


 복안적 사고란 어떠한 것을 한 면만 보는 것이 아니고 서로 다른 두 가지 면에서 보고, 상반하는 또는 양립되지 않는 요소의 조화를 생각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복안적 시점의 중요성을 나타내는 예는 자연과학의 세계에 무수히 많지만 우리들의 생활에 깊이 관련이 있는 하나의 예를 들면, 자동차 배기가스의 일산화탄소는 환경오염의 악역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것이 순환기계에서는 정보전달분자로서 혈압의 조정, 면역, 장기기억에 관계되어 인간의 생명유지에 불가결한 중요한 역할을 알게 되었다. 이 일산화탄소의 생리적 중요성을 발견한 두 사람은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이러한 의외의 발견의 중요성이 자연과학연구에 있어서의 복안적 시점이 끼치는 역할이 크다는 것을 알게 된다.

 과거, 일본인은 근대과학과는 다른 많은 사고들을 가지고 있었고, 그 것도 복안적 시점이었다고 생각이 된다. 기본적인 면에서 모든 존재의 근본이 되는 곳에는 상반되는 요소가 모여 있을 수 있다고 생각되며, 그 요소가 한 쪽은 많고 다른 쪽은 작은 형태로 나뉘어지지 않고 하나로만 되어 있는 경우도 있겠지만, 엄밀히 말하면 대체적으로 두 개의 집합으로 되어 있다고 생각 된다. 예로서 상반하는 말을 보면, 제일 간단한 것이 ‘Yes’’No’로 시작하여 등 수도 없이 많은 것에 놀랄 정도이다.


 경제사회 시스템의 기본이 되는 것이 자본주의사회주의. 현재 우리 사회가 자본주의의 나라라고는 하지만 실제로는 두 가지 면이 혼합되어 있다. 실제로 사회보장, 복지 등에서는 사회주의적인 요소가 들어가 있다. 사회주의인 중국에서도 실제로 이제는 엄밀한 이분화가 안 되는 것이다.


 상반되는 요소가 모여서 하나의 실태가 이루어 지는 것인데, 우리는 종종 한 쪽 면만 보는 좁은 시야로 살고 있는 것이다. 이제부터는 하나로만 되어 있다고 생각하는 것을 다른 측면에서도 보는 양면적 시각으로 보자는 것이 복안적 시점을 주장하는 출발점이다.

 복안적 시점이 중요한 것은 연구분야에만 국한되지 않고 자연 현상뿐만이 아닌 이 책에서 제시하는 여러 사회현상, 경제문제, 교육문제 등의 해결책을 고려할 때도 우선은 이 시각이 중요하게 될 것이다. 더욱이 새로운 가치관에 기초하여 문명을 창조해 나갈 때 조차도 복안적 시점에 서서 대립하는 요소나 양립되지 않는 요소의 병존과 병용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생각하며, 모순 되는 듯한 요소를 조화시켜 나가야 새로운 전개와 진보가 태어날 수 있을 것이다.


 이제부터 정치, 경제, 교육, 문화 등의 여러 가지 과제해결에도 복안적 시점에 서서 사회전체의 문제로서 임해나가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이러한 복안점 관점이 미래를 꿈과 희망이 넘치고 조화와 안정에 기여하는 키워드가 되어 여러분의 지혜를 통해 새로운 세계의 창조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