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상의 과학 : 어떻게 그들은 노벨상을 수상하였는가?
ノーベル賞の科学 : 化学賞編목차
노벨상의 과학_어떻게 그들은 노벨상을 수상하였는가?
<화학상 편>
목차
◼ 노벨 화학상 수상자•권두 인터뷰
○ 해롤드 크로토 교수(1996년 수상)
종교와 “과학의 마음”_젊은이에게 보내는 메세지
○ 노요리 료지 교수(2001년 수상)
일본의 고등교육 시스템을 바꾸지 않으면 안 된다
제1장 2008년 노벨 화학상
시모무라 오사무_해파리의 발광물질의 발견이 이끈 생화학의 신시대
제2장 2007년 노벨 화학상
게르하르트 에르틀_「표면화학」을 단숨에 전진시킨 남자
제3장 2003년 노벨 화학상
피터 아그레, 로더릭 매키넌
_세포막의 「수분통로」와 「이온채널」을 발견
제4장 2002년 노벨 화학상
다나카 코이치_생명의 기본 「단백질」의 질량을 측정하다
제5장 2002년 노벨 화학상
쿠르트 뷔트리히_거대한 단백질 분자의 입체구조를 그리는 새로운 NMR
제6장 2001년 노벨 화학상
노요리 료우지_「키랄촉매」로 화학산업을 변혁한 일본인
제7장 2000년 노벨 화학상
시라카와 히데키_전기가 통하는 플라스틱의 발견자
제8장 1996년 노벨 화학상
해롤드 크로트, 리처드 스몰리, 로버트 컬_“풀러린”을 발견한 남자들
제9장 1993년 노벨 화학상
캐리 멀리스_DNA 연구를 단숨에 전진시킨 PCR법을 발견
제10장 1989년 노벨 화학상
시드니 올트먼, 토마스 체크
_ 「RNA」의 새로운 이해를 이끈 젊은 생화학자
제11장 1988년 노벨 화학상
하르트무트 미헬, 요한 다이젠호퍼, 로베르트 후버
_광합성 단백질의 입체구조를 처음으로 포착하다
제12장 1981년 노벨 화학상
후쿠이 켄이치, 로알드 호프만
_「프런티어 궤도이론」으로 화학반응의 프로세스를 설명
제13장 1977년 노벨 화학상
일리야 프리고진_「산일구조」와 「복합계」의 진정한 선구자
노벨 화학상•전수상자 일람(1901~2009년)
인명색인
용어색인
주요 참고 문헌•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