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디자인의 세계 : 공간 디자인 프로듀스

책 커버 표지
목차

목차


환경디자인의 세계



     서론  환경디자인의 세계


              1  환경디자인의 시작
              2  환경디자인의 기본 이념-관계성 디자인
              3  환경디자인의 교육 목표-프로듀서 교육
              4  환경디자인 연구의 확대
              5  환경디자인의 전망

     I.  공간론

           
1  전통공간의 코스모로지
                   -  생활문화와 환경디자인
                   -  쿠로카와의 노(能)와 지역
              2  공간 변화를 읽다
                   -  공간이 변화한다_시간성
                   -  변화의 다양성
                   -  변화가 주는 이미지의 의미_심리실험
                   -  주기적 변화
                   -  장기적 변화
                   -  ‘변화’와 ‘관계’
                   -  시공간의 디자인
              3  공간의 연결과 분화
                   -  ‘체험되고 있는 공간’
                   -  ‘체험되고 있는 공간’의 연결과 분화
                   -  주택공간의 연결과 분화
                   -  주택계획의 과제

     II.  디자인론
     
              4  공생공간의 가능성
                   -  자연과 공생하는 농촌집락
                   -  도시와 농촌의 공생 가능성
                   -  이민족간의 공생 가능성
                   -  도상국의 개발계획에 있어서 환경 디자인 분야의 가능성
 
             5  혼주(混住) 커뮤니티의 형성
                    -  환경디자인 대상으로써의 농촌
                    -  혼주집락의 커뮤니티
                    -  사회적 본질로써의 ‘마을 성격’
                    -  혼주집락의 공간 패턴
                    -  혼주집락의 디자인 프레임

             6  지방 소도시의 카르테
                   -  낙후된 지방 소도시
              
-  지방 소도시의 환경개선 동향
                   -  역사적 시가지의 모습과 그 변용
                   -  역사적 시가지의 카르테

             7  대학 캠퍼스를 만든다
                   -  캠퍼스 디자인의 입지
                   -  대학과 도시의 공간적 관계
                   -  대학 캠퍼스의 공간 구성
                   -  치바대학의 캠퍼스 디자인

             8  경관디자인의 구조
                   -  왜 경관디자인인가
                   -  경관디자인과 지역의 개성
                   -  지역 경관디자인의 비옥함과 표현 방법
                   -  경관디자인 소론

             9  레저를 위한 환경 만들기
                   -  현대사회와 레저
                   -  레저환경의 디자인

             10  광역 디자인과 스케쥴

     III.  프로듀스論

             11  도시만들기의 프로듀스
                   -  프로듀스의 개념과 필요성
                   -  환경디자인의 새로운 방법

             12  레저환경의 프로듀스
                   -  정책으로써의 생활의 질과 자유시간
                   -  도시개발과 레저환경
                   -  레저환경의 컨셉
                   -  레저환경과 디자인 영역

             13  디자인교육과 프로듀스
                   -  환경디자인과 프로듀스
                   -  프로듀스 디자인에 필요한 시접
                   -  매디아의 변환을 통해 알게 되는 프로세스 기초
                   -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의 의미 디자인
                   -  커뮤니티와 프로젝트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