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케이 오토모티브 2025/08 디스플레이 조작에 불만 테슬라 사이버트럭의 HMI
Nikkei Automotive요약
Nikkei Automotive_2025.8
디스플레이 조작에 불만
테슬라 사이버트럭의 HMI
“도대체 이 자동차는 어떻게 움직이게 할 수 있는 거야?” 테슬라의 ‘사이버크럭(Cybertruck)’을 분해하기 전, 주행 테스트를 해보기 위해 테스트 코스를 방문한 분해반의 기자들. 교대로 운전석에 올라탄 기자 전원은 당혹감을 감출 수 없었다. 필자에게 가장 당황스러웠던 것은 조종석에 시프트 레버가 없다는 것. 어떻게 해야 드라이브 모드에 들어갈 수 있는지 알 수 없었다.
사이버트럭에서 시프트 조작은 대시보드 중앙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해야 한다. 정차한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거나, 화면 왼쪽 끝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스와이프하면 '드라이브 모드 스트립'이라고 테슬라가 명명한 조작 영역이 표시된다.
이 드라이브 모드 스트립을 위로 스와이프하면 드라이브, 아래로 스와이프하면 리버스(후진)로 시프트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고장 등으로 인해 디스플레이를 조작할 수 없는 경우에 대비해, 오버헤드콘솔 버튼으로도 시프트를 조작할 수 있다. 이 버튼은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보이지 않게 되어 있으며, 사용할 수 있을 때 내부의 LED가 발광하여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방향 지시 레버도 없다. 그 대신 핸들 위 화살표가 그려진 버튼을 사용한다. 상부 우측 화살표 버튼을 누르면 오른쪽 방향, 좌측 화살표 버튼을 누르면 왼쪽 방향으로의 방향지시등이 깜빡인다. 헤드램프의 점등이나 와이퍼 같은 기능도 핸들 위 버튼으로 조작할 수 있다.
-- 디스플레이에는 표시 영역이 고정 --
2019년에 분해해 조사한 ‘Model 3’에서는 속도계를 대형 디스플레이에 집약한 한편, 시프트 레버는 남겨놓았었다. 사이버트럭에서는 이것을 디스플레이의 터치 패널에 조작을 집약해 새로운 통합화를 추진했다. 소프트웨어 개발 툴 등을 제공하는 핀란드의 Qt Group 일본법인의 오야마다(小山田) 제2 영업 부장은 “전기자동차(EV)에서 엔진이 없어지게 됨으로써 지금까지 엔진으로 자동차의 특징을 표현해온 제조사들이 디지털 콕핏으로 차별화를 도모하는 움직임이 있다”라고 말한다. 그 최전선에 있는 것이 테슬라이다.
사이버트럭의 센터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에서는 1개의 화면을 2개로 분할해 표시하는 방식을 채택. 전체의 표시 영역 중 운전석 측의 약 40%의 영역이 현재 차량의 상황 표시에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주행 중에 카메라에 포착된 차체 주변의 장애물 및 차선 정보가 차체의 3차원 그래픽과 함께 표시된다.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을 사용할 때에는 그 상황도 표시된다. 속도나 경고등 등 일반 차량에서 미터기에 표시되는 정보도 운전석 측 화면에 표시. 또한, 차량이 정차하고 있을 때에는 각종 개구부나 서스펜션 등의 현재 상태가 표시된다.
차량의 상황이 표시되는 운전석 측과는 달리, 조수석 측 화면은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 영역이다. 정상 주행 시 내비게이션이 표시되지만, 차량 설정이나 엔터테인먼트 앱, 카메라 영상 등도 표시가 가능하다. 한 개의 디스플레이가 두 개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지만, 체감 상 두 장의 디스플레이가 나열된 것에 가깝다.
하지만, 운전석 측 화면은 차량 상황, 우측 조수석 측 화면은 다양한 앱 사용이라는 구조는 실제 운전 시 조금 불편하게 느껴졌다.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조작 등을 위해서는 조수석 측 화면을 향해 손을 뻗어야 했다.
테슬라도 이 점을 과제로 보고 있는 것 같다. 테슬라가 2020년에 신청한 GUI에 대한 특허에는 조작하기 직전의 동작에 의해 GUI를 변경하는 것이 있다. 화면을 조작하려고 하는 사람이 운전석에 앉아 있는지, 조수석에 앉아 있는지를 차내 카메라 등을 통해 판단해 터치 패널상의 표시를 변경하는 구조이다. 디스플레이를 조작하기 위한 동작인지, 드링크 홀더 등 디스플레이 외 다른 것을 사용하기 위한 동작인지는 기계학습을 사용해 판별한다.
-- 끝 –
Copyright © 2025 [Nikkei Automotive] / Nikkei Business Publications, Inc. All rights reserved.
목차
Nikkei Automotive 25.08
Close-up
로보택시를 이용한 배차 사업 개시한 테슬라, E2E로 웨이모 추격
VOICE
도요타 그룹은 도요타 가문의 것이 아니다
Disassembly Report
디스플레이 중심의 조작에 불만
사이버트럭의 HMI
Automotive Report
- 닛산 공장 폐쇄했지만 '임팩트 없어', 재건 대책에 대해 전문가의 반응은 ‘냉랭’
자동차 부품 관세 협상에서 원가 부담이 ‘교섭의 승부처’, 국내 부품 11개 사의 전망
- 혼다가 E2E 자율주행 내제, EV 판매 목표는 30만 대 감소로 하향 조정
- 혼다가 최초로 국내용 양산차에 고속도로에서의 핸즈오프 기능 도입, E2E로 가는 가교 역할
- ADI가 G비트급 통신 표준화 단체 설립, 지리·덴소 참여
- 마쓰다의 EV 전용 플랫폼, 소규모 플레이어에 맞는 유연성
- 정보계와 ADAS에 '통합의 운명', 파나소닉오토모티브시스템이 타사와의 협업 모색
New Car Report
도요타 신형 RAV4에 아린 첫 탑재, PHEV에는 SiC
다이하츠가 2년 만에 신형 경차 무브 발매, 부품 60% 공용을 통해 150만엔 이하로
Cover Story
SDV를 둘러싼 경쟁
중견 자동차 및 메가 공급업체의 전략
- Part1: SDV는 선도 고객 전략
볼보, 최첨단 기술을 가진 테크 거인들을 철저히 활용
- Part2: EyeSight를 답습한 SDV 전략
스바루, SoC는 오직 AMD에서만 조달
- Part3: 부품 대기업의 강점 활용
보쉬, 차량 움직임 전체를 제어
- Part4: SDV 앱 개발 기반 구축
덴소, 차량에 도커 컨테이너
인터뷰
반도체·EV 동결로 자율주행에 집중, 자체 생산∙판매 고집하지 않아
튜링의 야마구치 최고기술책임자(CTO) 겸 Director of AI
Features
중국산 SoC가 세계로
유럽의 채택으로 일본업체들도 검토
소재 산업을 뒤흔드는 유럽의 폐차 규제 파문
News Digest
마쓰다가 국내용 EV에 테슬라 충전 규격 NACS 채택, 2027년 이후에 판매되며 다른 규격용 어댑터도 마련
Market Watch
'N-BOX'가 2개월 만에 선두, '라이즈' 급상승, 짐니' 시리즈는 '짐니 노마드'가 수주 일시 정지에도 호조
독자로부터
스즈키의 선견지명은 어디서 왔나?
편집실에서
--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