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케이 모노즈쿠리_2024/09(1) 국제 핵융합 실험 ‘ITER’용 다이버터

책 커버 표지
목차

도전자
유일무이한 틈새 시장을 노리고 세계로 진출
스기노머신의 스기노 부사장


뉴스 심층
도요타에만 부과된 시정 명령의 미스테리, 인증 부정 판단에 국토교통성과의 괴리
“노벨상보다 기쁘다”, 시마즈제작소의 질량분석계가 IEEE Milestone에 인증
일본 기업의 금형은 '일촉즉발', 예견되었던 트러블 잇따라 발생

요약

Nikkei Monozukuri_2024.9 (p32~33)

국제 핵융합 실험 ‘ITER’용 다이버터
미쓰비시중공업, 완성된 프로토타입 공개

미쓰비시중공업과 양자과학기술연구개발기구(이하, QST)는 핵융합발전 국제 프로젝트 ‘ITER’의 계획용으로 개발한 다이버터의 외측 수직 타겟(OVT: Outer Vertical Target)의 프로토타입이 완성했다고 발표했다. 프로토타입이 완성됨으로써 핵융합로에 필수인 핵심 부품의 양산화를 위한 준비가 갖추어졌다.

ITER는 토카막형 핵융합로 실현을 위한 대형 국제 프로젝트. 일본, 유럽, 미국, 러시아, 중국, 인도, 한국 등 7개 국이 참가해 2034년경의 가동 개시를 목표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다이버터는 이 토카막형 핵융합로에 있어서 플라즈마 내의 불순물 이온을 배제하고, 플라즈마로부터의 고열 부하를 제열(除熱)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토카막형 장치 중에서 플라즈마에 직접 노출되는 유일한 기기이다. 가해지는 최대 열부하는 소행성 탐사선이 대기권에 진입할 때  는 것과 맞먹기 때문에 높은 내구성이 요구된다.

-- 다이버터 개발 포인트인 두 가지 신기술 --
이번 OVT 개발을 위해 QST 등은 내열성·제열성이 우수한 텅스텐 재료와 이를 냉각하기 위한 열전도성이 높은 크롬 지르코늄 구리 합금제 냉각관을 개발했다.

그러나, 텅스텐 재료와 구리 합금을 이용한 다이버터 개발은 1개의 기술로는 불가능했다. 개발의 포인트가 되는 기술은 2가지. 첫 번째는 텅스텐 모노블록를 고정밀도로 조립 및 굽히는 공법이다. OVT는 약 3,300개의 텅스텐 모노 블록을 조립해 제작. ITER 전체에서는 58기 분, 약 20만 개의 텅스텐 모노 블록을 마련했다.

텅스텐 모노블록 간의 단차가 크면 블록의 끝 부분에 플라즈마로부터의 열이 집중되어 텅스텐이 용해되어 버린다. 그래서 각각의 블록(플라즈마 대향재)의 형상을 고안해 엣지부의 열부하를 억제했다.

또한 굽힘 가공에 있어 미쓰비시중공업은 윤곽도(1mm)와 굽힘부의 텅스텐 모노블록의 틈새 공차를 ±0.2mm로 억제하는 엄격한 요구에 부응하는 고정밀 굽힘 공법을 개발했다.

두 번째는 새로운 이재(異材) 조인트 용접 기술이다. 냉각관에 사용하는 크롬 지르코늄 구리 합금은 매우 열전도율이 높아 용접 난이도도 높다. 그래서 미쓰비시중공업은 새로운 이재 이음 용접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스테인리스 합금제 배관과 크롬 지르코늄 구리 합금제 냉각관 사이에 니켈(Ni) 합금을 매개로 사용해 양자를 용접하는 기술이다. 미쓰비시중공업 원자력세그먼트핵융합추진실의 마에다(前田) 팀리더는 이번 기술 개발에 대해서 “기존의 기술과 함께 현장 인력들의 능력이 기술 개발로 연결되었다”라고 말했다.

-- 실제 기기의 양산화 추진 --
이번에 공개된 OVT는 ITER 기구의 인증 시험에 합격했다. OVT에 관련된 세계 최초의 인증이다. “다이버터는 핵융합로의 경제성을 결정하는 중요 기기이다”라고 QST의 ITER 프로젝트부 스즈키(鈴木) 차장은 말한다. 그는 “다이버터의 양산 준비에 대한 전망을 세움으로써 핵융합발전 실현에 한 걸음 다가갔다고 말할 수 있다. 실제 기기 크기의 프로토타입이 완성되었다. 향후에는 실제 기기의 양산화를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라고 포부를 밝힌다.

 -- 끝 --

Copyright © 2024 [Nikkei Monozukuri] / Nikkei Business Publications, Inc. All rights reserved.

TOP

목차

Nikkei Monozukuri_2024.9

도전자
유일무이한 틈새 시장을 노리고 세계로 진출
스기노머신의 스기노 부사장


뉴스 심층
도요타에만 부과된 시정 명령의 미스테리, 인증 부정 판단에 국토교통성과의 괴리
“노벨상보다 기쁘다”, 시마즈제작소의 질량분석계가 IEEE Milestone에 인증
일본 기업의 금형은 '일촉즉발', 예견되었던 트러블 잇따라 발생
‘스터드리스 수준으로 효과 있다’라는 스미토모고무의 전천후 타이어, 신중한 판매 자세에 의문


REPORT
- '저렴한 가격에 고위험'의 비순정 배터리, 잇따르는 사고에 경제산업성 등이 주의 환기
- 국제 핵융합 실험 ITER용 다이버터, 미쓰비시중공이 완성된 프로토타입 공개
- 어디에서나 발전이 가능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파나소닉이 2026년에 판매
- 원자력 벤처가 증기 보일러 개발, 흑연으로 축열과 방열을 동시에 처리


특집
탈탄소로 추진되고 있는 석유화학 재편
Part1. 석유화학 재편의 10가지 의문
중국 증산으로 크게 흔들리는 석유화학 업계, 지금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
Part2. 목적과 전략
동서의 대형 화학 업체가 협력, 탈탄소에 대한 대응으로 재도약
Part3. 화학의 힘으로 도전
CO2를 자원으로 전환, 연료-원료 전환으로 탄소순환형 추진


파나소닉의 '키나리' 개발 이야기
좀더 많이 섞는다면?
- 제2회: 또 하나의 용도, 정해진 룰을 셀룰로오스로 깨다


사고는 말한다
12번의 사고 끝에 문닫는 후지큐 '도도돈파', 차량과 승객의 머리 부분이 공진


숫자로 보는 현장
'비슷한 이야기를 들었다'가 70%, 공정위를 지지하는 의견이 대부분
- 조사 테마 ‘금형의 무상 보관 문제’


PICK UP
US스틸 인수는 미국 대선 후 연말이 승부, 일본제철 부회장이 700명과 대화


생산성 높이는 웰빙이란?
인재 확보를 강점으로, 프랑스 로레알
- 최종회


도요타류의 사람 만들기, 당신의 고민에 응답한다
제123회 : 룰을 준수하도록 하려면


EDITORS' ROOM
일본 제조업의 정체에 메스를


편집부가 추천하는 책
탈탄소화의 비장의 카드가 될 것인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