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 테크놀로지의 동향 및 트렌드
IoT, 로봇, 인공지능 등 차세대 기술을 모든 산업 및 사회생활에 도입함으로써 이노베이션을 창출. 개개인의 니즈에 알맞은 형태로 과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사회가 ‘Society 5.0’이다. 과학기술기본법의 제5기(2016년도~2020년도)의 기본 이념을 나타내는 키워드 중 하나로서 등장했다.
‘Society 5.0’에서는 가정, 공장∙사무실, 환경∙에너지, 자동차, 건강∙의료, 금융 등 모든 사회 영역에서 새로운 비즈니스가 출현하고 있으나, 그것을 뒷받침하는 기반 기술이 바로 나노테크놀로지이다.
2017년 4월에 과학기술진흥기구∙연구개발전략센터가 발행한 ‘연구개발의 부감(俯瞰)보고서 나노테크놀로지∙재료분야(2017년판)’(이하 ‘부감보고서’)에 있어서 중요한 메시지로서 전달된 것은 “앞으로 다가올 IoT, AI시대에 활약하는 디바이스 및 구성 요소는 첨단 나노테크놀로지의 집합체가 될 것이다”라는 것이었다.
실제, 현재는 AI 칩, IoT 센서, 클라우드, 차세대 자동차 및 운송기기, 로봇, 에너지 변환 디바이스, 진단∙치료∙계측 등의 하드웨어 영역에서 이미 최첨단의 나노테크놀로지에 의해 경쟁력이 좌우되고 있다. 일본∙미국∙유럽의 선진국이 잇따라 나노테크놀로지를 중시한 과학 기술정책을 내세운 지 15년. 그 동안에 축적된 각각의 요소기술이 융합을 통해 제품 및 시스템화되어 시장에 침투해 가는 시대가 드디어 도래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