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생 에너지 비용의 하락 -- 풍력과 태양광, 규모확대로 석탄화력 수준
-
- 카테고리화학/ 신소재/ 환경·에너지
- 기사일자 2017.1.28
- 신문사 일본경제신문
- 게재면 6면
- 작성자hjtic
- 날짜2017-02-05 14:13:46
- 조회수572
재생 에너지 비용의 하락
풍력과 태양광, 규모확대로 석탄화력 수준으로
세계에서 재생 가능한 에너지의 발전(發電) 비용이 급속하게 낮아지고 있다. 유럽의 해상풍력발전의 입찰에서는 1㎾/h당 약 6엔까지 하락. 아랍에미리트(UAE)에서는 태양광발전으로 3엔대를 끊는 세계 최저가의 프로젝트가 가동되기 시작했다. 일부 재생에너지는 석탄화력 수준의 가격 경쟁력을 가지고 있으며, 보급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 UAE에서 최저가 계획 --
재생에너지는 발전비용이 높은 것이 풀어야 될 과제였으나, 2000년대에 지구 온난화 대책 및 전원 다양화를 통해, 각국 정부가 보조제도를 시행하여 보급을 촉진시키고 있다. 시장확대에 따라, 원자재 가격 및 건설비용이 낮아졌다. 유럽 등에서는 최근, 입찰제로 시행되면서 가격하락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재생에너지의 발전 비용의 저하로, 유럽과 미국의 IT(정보기술) 및 유통, 철도업계에서는 사용전력 전부를 재생 에너지로 충당하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안정전류로써 기대를 받고 있는 것이 해상풍력이다. 멀리까지 수심이 얕고 강풍이 계속 불어대는 유럽의 북해나 발트해에서는 대형 프로젝트가 이어지고 있다. 스웨덴 최대 전력회사인 바텐폴(Vattenfall)은 작년 11월에 덴마크 정부가 실시하는 해상풍력(용량 60만㎾)의 입찰에서, 1㎾/h 당 4.99유로센트(약 6.1엔)로 낙찰되었다.
바템폴은 해상풍력발전 업체 중, 세계 2위를 차지하고 있다. 작년 7월에 업계 선두인 DONG에너지(덴마크)가 네덜란드 앞바다의 해상풍력 입찰에서 기록한 7.29유로센트의 최저가를 갱신했다.
국제석유공사도 성장시장으로 해상풍력에 주목하고 있다. 영국ㆍ네덜란드의 로열더치셸그룹(Royal Dutch-Shell Group)은 작년 12월, 네덜란드 앞바다의 70만㎾ 사업의 입찰에서 5.45유로센트로 낙찰되었다. 이 사업에는 미쓰비시(三菱)상사도 소수주주권자로 참여했다.
태양광은 더욱 하락세이다. UAE의 두바이 수전력청(DEWA)의 입찰에서는 2016년에 들어와서 1㎾/h당 미국달러 기준으로 2센트대가 등장했다. 중국의 태양전지업체의 기업연합이 35만㎾의 대규모 태양광발전소(메가솔라)를 2.42센트로 낙찰 받았다.
DEWA는 작년 11월말, 아부다비정부측 기관의 아부다비 미래에너지공사와 1㎾/h 당 2.99센트로 전력을 구입한다는 계약을 체결했다. 중동은 일조시간이 길며, 안정적으로 태양광의 전원을 쉽게 확보할 수 있다.
국제 에너지 기관(IEA)에 따르면, 과거 5년간, 태양광의 발전 비용은 80%, 육상풍력은 70% 정도 떨어졌다. 육상풍력 비용도 1㎾/h당 10센트 아래로 떨어졌다. 석탄 화력은 지역 및 연료가격에 따라 좌우되지만, 1㎾/h당 5~7센트 선으로 예상된다.
스페인의 최대전력업체인 이베르드롤라(Iberdrola)는「남미나 멕시코,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태양광은 보조제도 없이도 석탄화력 보다 저렴하다」고 한다. 원유가 상승으로, 화석연료의 발전비용이 오르게 되면, 재생 에너지의 경쟁력도 한 층 높아진다.
IEA의 조사에 따르면, 2015년에 재생 에너지의 발전용량은 1억5,300만㎾에 달해, 누계로는 처음으로 석탄화력을 넘어섰다. 발전효율은 세계전체의 14%에 머무르지만, IEA는「2021년에는 유럽 미국의 수요를 감당할 수 있을 정도의 규모가 될 것이다」라고 예측한다. 발전량이 변동되기 쉬운 과제를 안고 있으나, 유럽과 미국에서는 전력을 축적시키는 축전시스템으로의 투자도 이어지고 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미국 국내의 석탄 및 석유 등의 이용추진을 내세워, 지구온난화 대책에 소극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의 온난화 관련의 비즈니스에 역풍이 될 가능성이 있으나, 재생에너지 자체는 경제성을 동반한 전원(電源)이 되려고 한다. 유럽의 전력 업계에서는「미국의 정책변경과는 상관없이, 세계적인 보급은 계속될 것이다」(프랑스 엔지니어)라는 견해가 많다.
--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