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산업뉴스요약

'슈퍼 시티'가 사회 DX의 기폭제 -- 도시OS는 전국 전개
  • Category사물인터넷/ ICT/ 제조·4.0
  • 기사일자 2020.1.4
  • 신문사 Nikkei X-TECH
  • 게재면 online
  • Writerhjtic
  • Date2021-01-08 21:30:45
  • Pageview368

Nikkei X-TECH_2020.1.4

'슈퍼 시티'가 사회 DX의 기폭제
'도시OS'를 전국 전개

AI(인공지능)나 빅데이터를 활용해 지역의 과제를 해결하는 도시를 실현하려는 정부의 ‘슈퍼 시티 구상’. 2020년 12월에 공모가 시작되었고 2021년 봄에는 전국에서 5곳 정도가 선정될 예정이다. 슈퍼시티와 슈퍼시티를 지원하는 ‘도시OS’는 사회의 디지털변혁(DX)의 기폭제가 될 것이다.

ICT를 활용한 살기 편한 도시인 스마트시티는 세계적으로도 주목을 받고 있다. 예를 들면 스페인의 바르셀로나는 2000년 무렵부터 쓰레기통에 센서를 설치해 효율적으로 쓰레기를 회수하거나, 주차장의 공차 상황을 센서로 감지해 정체 완화에 활용하는 등의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일본에서도 도요타자동차가 21년 2월에 시즈오카현 스소노시에서 스마트시티 ‘Woven City’를 착공한다. 파나소닉은 14년 4월에 조성된 가나가와현 후지사와시의 ‘Fujisawa Sustainable Smart Town’에서 20년 3월부터 ‘데이터 연계 기반’을 도입했다.

정부가 추진하는 슈퍼시티 구상은 이러한 스마트시티의 모습을 ‘탑다운’으로 단번에 실현하는 어프로치다. 기존의 스마트시티는 개별 분야에 대해 가능한 곳부터 ‘버텀업’으로 추진하는 경우가 많았다. 슈퍼시티는 행정 절차나 이동, 의료, 교육 등 생활 전반에 걸친 5개 이상의 분야에서 첨단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것들을 실현하기 위해 데이터 연계 기반을 통해 다양한 데이터를 연계∙공유한다. 동시에 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규제 개혁을 일체적으로 추진한다.

20년 10월 22일의 국가전략특별구역자문회의에서 스가 총리는 “대담한 규제 개혁은 스가 내각의 중요 과제 중 하나다. 국가전략특구제도를 활용한 규제 개혁을 더욱 가속하기 위해 일치단결해 대응해 나간다”라고 말했다. “슈퍼시티에서 풀린 규제는 상황을 평가한 후에, 효과가 높은 것은 전국적으로 전개해 나갈 계획이다”(내각부 지방창생추진사무국).

-- 아이즈와카마쓰시의 도시OS를 횡단 전개 --
스마트시티나 슈퍼시티를 지원하는 디지털 기반은 도시OS라고도 한다. IoT(사물인터넷) 등의 데이터를 수집∙분석하거나 도시 내부 또는 도시와 도시 사이에서 서비스나 데이터를 연계시킨다.

후쿠시마현 아이즈와카마쓰시의 사례를 통해 도시OS의 실상을 살펴보자. “아이즈와카마쓰시의 도시OS 구축이 어느 정도 가시화됐기 때문에 다른 4개 도시에서도 전개하고 있다”. 액센추어가 아이즈와카마쓰시에 만든 ‘이노베이션센터 후쿠시마’에서 공동 총괄을 맡고 있는 나카무라 씨는 이렇게 말한다. 액센추어는 아이즈와카마쓰시나 아이즈대학 등과 함께 도시OS 구축에 관여해 왔다. 나라현 가시하라시에는 이미 도입했다. 지바현 이치하라시, 미야자키현 쓰노초, 오키나와현 우라소에시에 21년 봄에 도입할 예정이다.

아이즈와카마쓰시의 도시OS의 입구가 되는 것이 포털사이트 ‘아이즈와카마쓰+(플러스)’다. 시내의 공립유치원이나 초등학교, 중학교 등의 정보를 보호자에게 발신하는 ‘아이즛코+’나, 제설차의 주행 상황을 지도 위에 표시하는 ‘제설차 내비’ 등의 서비스를 전개한다.

아이즈와카마쓰시의 인구는 약 12만 명이지만 아이즈와카마쓰+에는 약 14만 명의 연간 순 방문자(Unique User)가 있다. 또한 ID 등록이 필요한 서비스도 준비했다. 이용자로부터 옵트인으로 동의를 얻은 후에 개인정보를 받고 있다. ID 등록자는 1만 1,000명이 넘는다. 주민은 퍼스널라이즈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개인정보 관리도 포함한 사업운영∙실시는 시내의 기업이나 병원 등이 설립한 ‘일반사단법인 스마트시티 아이즈’가 담당한다.

“스마트시티를 구축하는 데 있어서는 시민 개개인에게 퍼스널라이즈한 보다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수다. 그를 위해서는 개인정보를 일개 기업이 아니라 공적인 존재에 가까운 조직이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나카무라 씨).

재해 시의 정보관리서비스 ‘My Hazard’의 개발도 그러한 대응의 일환이다. 스마트폰의 위치정보를 재해 시에 취득하는 것에 대해 사전에 동의를 구하고, 동의를 얻은 사람에게는 재해 발생 시에 스마트폰의 GPS와 지역의 해저드맵을 연동시켜 피난 유도나 가족의 안부 확인을 할 수 있도록 한다. 21년 2월에 테스트 가동을 예정하고 있다.

스마트시티에서의 개인정보 취급을 둘러싼 문제는 이미 해외에서 현재화되고 있다. 캐나다 토론토에서는 미국 알파벳 산하의 Sidewalk Labs가 개인정보 수집을 둘러싸고 근린 주민으로부터 극심한 반발을 받으면서 스마트시티 사업을 단념했다.

그래도 액센추어가 20년 3월에 발표한 세계 11개국 약 6,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는 “보다 퍼스널라이즈된 공공서비스를 얻을 수 있다면 행정기관에 대해 개인정보를 공유해도 상관없다”라고 대답한 응답자가 세계에서 84%, 일본에서 79%를 차지했다.

“슈퍼시티나 스마트시티의 역할은, 개인정보를 공유하며 당사자로서 시티 조성에 참가하는 것이 지역을 위해서도 자신을 위해서도 도움이 된다는 시민의 마인드 체인지를 촉구하는 것이다. 그러한 의식이 확대된다면 일본 전체의 디지털화도 성공할 것이다”라고 나카무라 씨는 말한다.

 -- 끝 --

Copyright © 2020 [Nikkei XTECH] / Nikkei Business Publications, Inc. All rights reserved.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