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산업뉴스요약

미국, 베이비붐 세대 4,200만명 퇴직 -- 미국∙유럽도 인력부족, 성력화
  • Category비즈니스/ 기타
  • 기사일자 2019.8.19
  • 신문사 일본경제신문
  • 게재면 3면
  • Writerhjtic
  • Date2019-08-27 20:30:35
  • Pageview320

ECONO FOCUS
미국, 베이비붐 세대 4,200만명 퇴직
미국∙유럽도 인력부족, 성력화(省力化)에서 앞서

구미(歐美) 노동시장이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인력부족에 고심하는 일본과 비슷한 양상을 띄고 있다. 미국에서는 앞으로 10년 정도 안에 베이비붐세대 4,200만명의 노동자들이 퇴직. 단카이(団塊)세대(1947~1949년)의 대규모 퇴직이 진행되고 있는 일본을 따라가고 있다. 인력부족에 대응하기 위해 새로운 성력화 기술을 활용하는 움직임도 활성화되고 있어, ‘과제 선진국’이라고 불리는 일본을 과제 해결에서 앞지를 가능성이 있다.

-- AI와 자율주행로봇 등 신기술 적극 활용 --
“항상 바쁘다”. 일요일 오후, 미국 최대 소매업체 월마트 뉴욕 주 점포에서 한 여성 종업원이 진열대 앞에서 캔 수프를 보충하고 있었다. 그녀는 스마트폰으로 각 상품의 영상과 가격, 진열대에 없는 상품이 창고에 있는지 등을 확인했다. 빅스 CFO(최고재무책임자)는 “창고에 찾으러 가는 수고가 줄어들어 보다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다”라고 말한다.

월마트는 업무 효율을 한 층 더 높이기 위한 실험을 추진하고 있다. 천정에 3천개에 이르는 카메라와 센서를 설치. 진열대의 부족한 상품을 보다 빨리 발견할 수 있도록 카메라 영상을 AI로 분석하는 것이 실험의 목표이다.

전미에서 150만명을 고용하고 있는 월마트. 현장의 성력화에 주력하고 있는 것은 인건비를 낮춰 가격 경쟁을 높인다는 목적 때문만은 아니다. 인력부족이라는 구조적 문제에 대비할 필요도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베이비붐 세대는 1946~1964년생으로, UN의 인구 추계로 약 7,300만명. 미국 전체 인구(약 3억 2,900만명)의 22%이다. 이 중 현역세대라고 할 수 있는 64세 이하는 약 4,200만명으로, 앞으로 10년 안에 그 절반 이상이 노동시장에서 빠져나가게 된다.

출생률이 저하된 젊은 세대 인구로는 이를 보충하기 어려운 실정으로,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생산 연령(15~64세) 비율은 10년간 65%에서 62%까지 급격히 하락. 피크였던 2008년(67%)보다 5포인트나 저하된다. 일본의 노동시장에서 1947~1949년생의 단카이세대가 빠져나갔던 약 20년 전의 상황과 비슷해지는 것이다.

인력부족이 심각해지고 있는 것에 대해 미국에서도 ‘운송 및 제조 현장 등에서 임금 인상 추세가 강해지면서 기업 실적을 압박하게 될 것’(미국 조사회사 컨퍼런스보드의 레바논 씨)이라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인력을 줄이기 위한 업무혁신이 확대되면서 새로운 기술의 실용화에서는 일본보다 더 적극적이다.

미국 배송업체 페덱스(FedEx)는 자율주행 로봇을 이용해 ‘라스트원마일’이라고 하는 개인의 집까지의 근거리에서 사람 손을 거치지 않는 배송망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월마트처럼 카메라와 AI로 점포 내 상황을 점검해 성력화에 활용하려는 시도는 세계적으로 미국과 중국이 앞서있다. 미국 아마존닷컴은 이러한 기술을 이용한 무인계산대 점포 ‘아마존고’를 우선 국내 4개 도시에 확대하고 있다.

생산연령인구 비율 저하는 유럽에서도 진행되고 있다. 2030년 시점의 OECD 주요국을 살펴보면 일본이 58%로 특히 낮지만, 독일도 2019년의 65%에서 60%로 급격히 하락. 프랑스도 2포인트 하락해 60%이다. 독일과 프랑스 모두 일본처럼 고령화가 진행될 것이다.

독일은 젊은 세대와 장기 실업자 고용을 우선시하기 위해 중∙고령층에게 조기 퇴직을 권장해왔지만 최근에는 고령자 취업 촉진으로 방향을 바꿨다. 메르켈 정권은 인력부족 해소를 위해 기술을 가진 외국인 인재 영입을 확대하려 하고 있다.

일본의 기업 관계자들과 전문가들은 저출산∙고령화의 ‘과제 선진국’으로서 국내에서 키워온 노하우가 기업의 해외 진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해왔다. 하지만 미국과 유럽의 정부와 기업들도 인력부족 위기를 직시하며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다. 그들이 일본을 모델로 삼는다는 보장은 없다.

 -- 끝 --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