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산업뉴스요약

‘FAMGA의 신흥 기업 인수 -- 미국 거대 IT기업이 입도선매(立稻先賣)
  • Category비즈니스/ 기타
  • 기사일자 2019.8.15
  • 신문사 일경산업신문
  • 게재면 12면
  • Writerhjtic
  • Date2019-08-24 21:19:42
  • Pageview369

Start Up Innovation / Science
‘FAMGA의 신흥 기업 인수
미국 거대 IT기업이 입도선매(立稻先賣)

-- 음악 스트리밍 및 데이터 분석 스타트업 750사 인수 --
실리콘밸리를 중심으로 미국에서는 현재도 IT(정보기술)의 스타트업 기업이 잇따라 탄생해 이노베이션의 주역이 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한 발 먼저 몸집을 키운 거대 IT 기업들이 스타트업 기업을 ‘입도선매’함으로써 혁신의 싹을 잘라버리고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그렇다면 거대 IT기업은 어떤 스타트업을 인수하고 있는 것일까?

뛰어난 인재들이 모여있는 스타트업 중에는 거대 자본에 의해 크게 성장한 기업도 있고 쇠퇴한 기업도 있다.

미국 5대 IT기업 ‘FAMGA(facebook, Amazon, Microsoft, Google, Apple)’가 과거 30년 간 인수한 기업 수는 총 750사 가까이 된다.

-- 인수 중에는 계산 착오의 사례도 --
FAMGA의 5사는 풍부한 자본력을 자랑하고 있다. 인수 금액이 높은 안건에는 비즈니스용 SNS(교류 사이트) 대기업인 링크드인(LinkedIn, 마이크로소프트가 262억달러에 인수) 및 대화 앱 왓츠업(페이스북이 220억달러에 인수), 동영상 스트리밍 사이트인 유튜브(구글이 17억에 인수)와 같은 유명 기업들이 이름을 올리고 있다.

그러나 이런 대형 인수가 전부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72억달러에 인수한 노키아의 디바이스 서비스 부문을 감원 처리해야 하는 상황에 이르렀고 구글은 미국 휴대폰 대기업인 모토로라 모빌리티를 인수하는데 125억달러를 지불. 당시 구글의 역대 최대 인수였으나 2년 뒤에는 4분의 1의 가격에 매각했다.

이 글에서는 CB인사이트의 M&A(인수∙합병) 데이터를 사용해 FAMGA에 의한 10억달러 이상의 인수를 시각적으로 나타낸 비주얼 타임라인을 작성했다.

-- 인수 최고액은 262억달러 --
10억달러 이상의 인수 건수가 가장 많은 것은 마이크로소프트의 10건이었다. 한편, 10억달러 이상의 인수 건수가 가장 적은 것은 애플의 1건으로, 정액제 무제한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를 하는 미국 비츠일렉트로닉스를 30억달러에 인수했다.

인수 가격이 가장 높은 것은 마이크로소프트가 262억달러에 인수한 링크드인. 2위는 페이스북에 의한 왓츠업의 인수(220억달러)였다.

FAMGA에 의한 첫 10억달러가 넘는 인수 안건은 마이크로소프트가 1999년에 취득한 미국 소프트웨어 회사인 ‘비지오(VIIZIO)’이다. 가장 최근에 이뤄진 10억달러 이상의 인수 안건은 구글이 올해 26억달러에 인수한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인 미국의 ‘루커(Looker)’이다.

FAMGA 각 사의 대형 인수 TOP 5는 다음과 같다.

■ 페이스북
1위: 왓츠업 (인수 비용 220억달러)
2위: 미국 오큘러스(Oculus) VR -- VR(가상현실)용 단말기 개발 (20억달러)
3위: 미국 인스타그램 -- 사진공유 앱 (10억달러)
4위: 미국 라이브레일(LiveRail) -- 동영상 광고 업체 (5억달러)
5위: 오나보(Onavo) -- 이스라엘의 데이터 관리 앱 (2억 달러)

■ 아마존
1위: 미국 홀푸드마켓(Whole Foods Market) -- 고급 슈퍼 (137억달러)
2위: 미국 링(Ring) -- 지능형 도어폰 (12억달러)
3위: 미국 잡포스(Zappos) -- 인터넷 신발 판매 (12억달러)
4위: 미국 필팩(Pillpack) -- 처방약 인터넷 판매 (10억달러)
5위: 미국 트위치 인터렉티브(Twitch Interactive) -- 비디오 게임의 실황 플랫폼 (9억 7,000만달러)

■ 마이크로소프트
1위: 링크드인 (262억달러)
2위: 스카이프 테크놀로지 -- 룩셈부르크 (85억달러)
3위: 기트허브(GitHub) -- 소프트웨어 소스 관리 (75억달러)
4위: 노키아(핀란드) -- 디바이스 서비스 부문 (72억달러)
5위: 미국 에이퀀티브(aQuantive) -- 인터넷 광고회사 (63억달러)

■ 구글
1위: 모토로라 모빌리티 (125억달러)
2위: 네스트 랩(Nest Labs) -- 스마트 서모스탯 제조, (32억달러)
3위: 미국 더블 클릭 -- 인터넷 광고 (31억달러)
4위: 루커 (26억달러)
5위: 유튜브 (17억달러)

■ 애플
1위: 비츠일렉트로닉스 (30억달러)
2위: 영국 다이얼로그 세미컨덕터(Dialog Semiconductor) -- 반도체 대기업 (6억달러)
3위: 아노비트(Anobit) 테크놀로지 -- 이스라엘 플래시 메모리용 반도체 (5억달러)
4위: 영국 샤잠 엔터테인먼트(Shazam Entertainment) -- 음악 인식 서비스 앱 (4억달러)
5위: 미국 넥스트 컴퓨터 (4억달러)

 -- 끝 --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