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산업뉴스요약

‘신’ 모빌리티 사회를 확립한다 -- MaaS∙전기차 보급 위해 민관 협력
  • Category스마트카/ 항공·우주/ 부품
  • 기사일자 2019.8.15
  • 신문사 일간공업신문
  • 게재면 1면
  • Writerhjtic
  • Date2019-08-24 20:58:54
  • Pageview329

신’ 모빌리티 사회를 확립한다
MaaS∙전기차 보급 위해 민관 협력

CASE라 불리는 자동차 산업의 새로운 흐름을 찬스로 보고 일본 정부는 자동차 신시대 전략 회의에서 일본의 사회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을 내놓았다. MaaS의 사회 보급 및 전기차 보급 확대가 핵심이다. 이동 약자 제로 및 환경 부하 저감을 실현하는 새로운 모빌리티 사회의 확립을 위해 민관의 도전이 시작되었다.

“자동차와 사회의 융합을 목표로 기업과 지자체의 협조적인 시도를 지원하고 싶다.”(세코 경제산업상) 경제산업성과 국토교통성은 6월 MaaS의 사회 보급을 위한 프로젝트 ‘스마트 모빌리티 챌린지’를 시작했다. 전국 지자체가 민간기업과 연계해 ‘자가용 자동차 중심 중규모도시’, ‘교외∙과소지’라는 지역 특성에 맞추어 maaS의 실증 실험을 실시한다. 각 지역의 실증 성과는 널리 공유해 MaaS의 전국 보급으로 연결한다.

동일본 대지진으로 피해를 입은 후쿠시마현은 이 프로젝트에 참가하는 지자체의 일각이다. 민간기업과 연계해 자율주행 및 온 디맨드 교통, 배송 로봇의 실증을 실시하며 여러 교통 수단을 일괄로 예약∙결제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한다. 지진 피해로 인해 생활 환경의 지반 침하 및 교통 기관의 운전자 부족이 심각해지고 있어 MaaS의 도입으로 피난처로부터의 귀환 주민 및 관광객들의 이동 수단을 확보한다. 신규 정주 인구의 확대를 목표로 한다.

한편 환경 부하 저감을 위해 경제산업성은 2050년에 일본계 제조사의 신차 판매를 모두 전기차(EV)로 하는 목표 수치를 공표했다. 이로 인해 자동차 1대 당 온실효과가스 배출량을 2010년 대비 80%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전기차를 ‘움직이는 축전지’로 활용해 재해 시 전력 공급원 등 새로운 에너지 인프라로 활용하는 구상도 들었다.

다만 일본에서는 EV의 보급이 그다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최대 이유는 배터리로 비싼 가격과 짧은 항속거리를 이유로 소비자가 EV를 멀리하고 있다. 나아가 중고 배터리의 잔존가치가 여전히 정해지지 않아 소비자가 EV를 중고로 내놓아도 비싸게 팔 수 없다고 생각해 구입에 망설이는 경우도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일본 정부는 전부터 실시해 온 배터리의 기술혁신 지원에 더해 중고 배터리의 성능 평가 시스템 마련을 추진하기로 했다. 경제산업성 주도로 출범한 민관 협의회 ‘전동차 활용 사회 추진 협의회’ 안에 자동차 관련 기업이 참가하는 워킹 그룹을 곧 출범해 논의를 시작한다. 중고 배터리의 가치를 명확하게 나타냄으로써 중고 EV의 가격이 정해져 신차 EV의 구입 욕구가 커진다. 산업용 축전지 등 차량 이외의 용도가 확산된다면 중고 EV의 가치가 더욱 향상될 거라고 기대된다.

일본은 최근 고령 운전자의 중대사고 및 호우 재해가 증가 경향으로 이동 약자 제로와 환경 부하 저감은 긴급한 과제다. 특히 고령화는 일본이 전 세계에 앞서 직면하고 있는 사회 과제라고 할 수 있다. 과제 선진국으로써 일련의 시도로 성과를 낼 수 있을지. 일본의 역할은 크다.

-- 끝 --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