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V 중고 배터리 평가∙인정 제도 마련 -- 경제산업성, 가격∙안전성 명확하게
-
- Category스마트카/ 항공·우주/ 부품
- 기사일자 2019.8.14
- 신문사 일간공업신문
- 게재면 1면
- Writerhjtic
- Date2019-08-23 14:06:37
- Pageview317
EV 중고 배터리 평가∙인정 제도 마련
경제산업성, 가격∙안전성 명확하게
경제산업성은 전기차(EV) 용 폐 리튬이온 배터리의 성능 및 안전성을 평가∙인정하는 제도 조성에 나선다. 자동차 제조사 등이 참가하는 워킹그룹(WG)을 곧 발족하여 논의를 시작한다. EV는 배터리 비용이 비싼 한편 중고차는 중고 배터리의 잔존 가치 및 안전성이 불명확해 중고차 가격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평가∙인정 제도의 정비로 인해 중고 배터리의 가치 및 안전성을 명확하게 보여줄 수 있게 하여 EV의 보급 확대로 연결한다.
경제산업성의 주도로 7월에 출범한 민관 협의회 ‘전동차 활용 사회 추진 협의회’ 안에 WG를 설치한다. 자동차 제조사 등 이 협의회에 참가하는 관련 기업이 참가한다. 충방전의 반복으로 배터리의 노후 정도 등 중고 배터리의 잔존 가치 및 안전성 평가 방법, 성능 보증 방법 등을 논의∙검토한다.
제조 비용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EV용 배터리를 둘러싸고는 현재 중고 배터리의 잔존 가치 및 안전성의 평가 방법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EV를 중고로 내놓을 때에 가격이 낮아져 버리는 경향이 있다. 소비자는 EV를 비싸게 매각할 수 없다고 판단해 신차 EV의 구입을 주저하는 등 전동차의 보급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중고 배터리의 잔존 가치 및 안전성이 명확하게 된다면 중고차의 가치가 상승해 소비자의 신차 EV 구입 욕구가 높아진다. 산업용 축전지 및 지게차 등 EV 이외의 용도에서의 재활용 촉진도 기대할 수 있어 중고차 가치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경제산업성이 설립한 전동차 활용 사회 추진 협의회는 전동차의 활용∙보급을 위한 민관 협의회로 96개의 기업, 지자체, 업계단체가 참가한다. 협의회에서는 배터리의 재활용 촉진 등 분산 전원 등 전동차의 활용 사례의 공유 및 업무용 차량 등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매뉴얼 작성을 검토한다. 전국 지자체의 전동차 구입 시 우대 방안 등도 전용 웹 사이트를 통해 배포한다.
--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