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산업뉴스요약

음성인식 AI의 사회 설치 진전 --일본, BtoB 분야에서 우세
  • CategoryAI/ 로봇·드론/ VR
  • 기사일자 2019.1.23
  • 신문사 일간공업신문
  • 게재면 7면
  • Writerhjtic
  • Date2019-01-30 15:45:20
  • Pageview354

음성인식 AI의 사회 설치 진전
일본, BtoB 분야에서 우세

INCJ(산업혁신기구) 벤처그로스투자그룹 모리이 노부타케(森井伸武) 디렉터

-- 향후 응용은? --
로봇과 사람이 협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음성인식 인공지능(AI)’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 배경으로 음성인식∙합성, 자연언어처리, 뇌 신경회로를 모방한 알고리즘 ‘DNN(Deep Neural Network)’과 빅데이터에 의해 최근에 클라우드 연계기술이 진화한 것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로봇 이외의 응용은 앞으로 어떻게 될 것인가?

-- AI 스피커 --
최근의 응용사례는 AI 스피커다. 예를 들면 미국 아마존닷컴의 ‘아마존에코’는 음악 감상이나 뉴스, 에어컨 등의 홈 IoT(사물인터넷)기기의 조작, e-커머스(전자상거래) 등의 입출력에서 음성 AI가 사용되고 있다. 미국의 AI 스피커 보급률은 40~50%로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의 보완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것 같다.

한편 일본에서의 보급률은 10% 정도다. 이것은 기계에 말을 건다는 사실에 대한 저항감이 배경에 있다. 업계 점유율을 보면 아마존과 구글의 2강 구도다. 이것이 가능했던 이유는, 하드를 저가에 보급시키기 위해서는 하드로 수익을 올리는 것이 아니라 e-커머스나 검색으로 수익을 올리는 비즈니스 모델, 글로벌 규모의 클라우드 플랫폼이 열쇠였기 때문이다. 일본에서는 야후, 라쿠텐, LINE 등이 AI 스피커와 사업상의 친화성을 갖고 있지만 아마존과 구글과 어깨를 나란히 하기 위해서는 유니크한 어플리케이션이나 비즈니스 모델이 필수다.

-- VB 참여 --
음성인식 AI에 있어서 두 번째로 유력한 응용은 ‘자동음성번역’이다. 이는 해외 관광객의 증가라는 기회를 포착한 것으로 벤처기업도 참여하고 있다.

그 외의 응용은 BtoB 분야로, 예를 들면 콜센터 고객정보관리(CRM), 의사록 작성 지원, 인사 지원, 교육이나 채팅봇 등이 유력하다. 이 분야에서는 일본의 음성인식 관련 플레이어의 기술력이 상당히 높다. 이유는 그들의 기술 레벨은 일본어를 중심으로 하면 충분히 높다. 또한 요소기술 이외에 정확한 고객요구 사양, 커스터마이제이션, 업무에 대한 적용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벤처기업의 주요 플레이어로는 INCJ의 투자처인 Nextremer, Retrieva, 에이치엠컴(Hmcomm), 음성감정인식 벤처기업인 Empath, 음성환경인식 벤처기업인 하이라블(Hylable)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독자의 인식엔진인 AI 스피커를 제공하는 Fairy Devices는 TIS, 돗판인쇄와 협업하여 JR동일본이 설립한 ‘모빌리티 변혁 컨소시엄’의 일환으로 AI 스피커를 이용한 인바운드용 서비스의 실증실험을 실시하고 있다.

글로벌화는 여전히 과제지만 이처럼 벤처기업도 참가한 실증실험이 증가하면서 이노베이션의 가속을 기대할 수 있다.

 -- 끝 --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