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산업뉴스요약

성전력으로 구동 가능한 시스템 개발 -- 게이오대학, 전력 소비 55% 감소
  • 카테고리화학/ 신소재/ 환경·에너지
  • 기사일자 2017.12.8
  • 신문사 일간공업신문
  • 게재면 29면
  • 작성자hjtic
  • 날짜2017-12-15 16:01:22
  • 조회수644

성()전력으로 구동 가능한 시스템 개발
전력 소비 55% 감소, 고속 경로 전환이 가능한 광스위치 이용

게이오대학 이공학부의 야마나카(山中) 교수 연구팀은 고속으로 경로를 전환할 수 있는 광스위치를 사용하여, 성(省)전력으로 구동이 가능한 데이터센터 네트워크용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기존의 전기 스위치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전력 소비를 약 55% 삭감할 수 있었다. 데이터센터 안에서 교환하는 보다 많은 데이터를 광회선을 경유하게 함으로써 성전력화를 실현하였다. 데이터센터 안에서 처리하는 데이터양의 급속한 확대와 함께 그 소비 전력도 증가하고 있다. 조기의 실용화를 목표로 한다.

15일에 도쿄국제포럼에서 열린 ‘제18회 게이오 과학기술전’(일간공업신문사 후원)에서 발표한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전송 시의 경로 전환에는 전기 스위치가 사용되고 있다. 전기 신호로 변환하지 않는 ‘MEMS 광스위치’를 사용하면 전력 소비는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전환 속도가 늦기 때문에 광회선 능력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해 실용적이지 않았다.

새로운 시스템에는 나노초(나노는 10억분의 1) 오더로 전환 가능한 ‘PLZT 광스위치’를 채용하였다. 전환 속도는 MEMS 광스위치와 비교하여 1,000배 이상 빠르고, 전환 시의 대기 시간을 없앨 수 있다.

그리고 전송하는 데이터의 플로우 크기를 자동적으로 판별하는 시스템을 구축. 플로우 별로 스위치를 전환, 같은 전송처에는 데이터를 한번에 보낼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전기 스위치는 패킷 단위로 전환하기 때문에 큰 데이터의 경우는 같은 경로를 통해 반복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많은 전력을 소비하고 있었다.

신에너지산업기술총합개발기구(NEDO)의 지원 사업인 ‘전략적 성(省)에너지 기술혁신 프로그램’의 일환이다. OA 연구소, EpiPhotonics와의 공동 연구다.

  -- 끝 --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