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7년 ‘AI 전략’ 승부의 한 해 -- 일본, 정부 부처의 협력과 외부의 도움 필요
-
- CategoryAI/ 로봇·드론/ VR
- 기사일자 2017.4.21
- 신문사 일간공업신문
- 게재면 8면
- Writerhjtic
- Date2017-04-27 10:36:20
- Pageview531
2017년 ‘AI 전략’ 승부의 한 해
정부 부처의 협력과 외부의 도움 필요
일본의 인공지능(AI) 전략이 실현될지 아닐지, 2017년도는 고비 될 전망이다. 경제산업성과 문부과학성, 총무성이 협력하는 인공지능기술전략회의에서, 정밀한 개발 계획과 산업화로의 로드맵이 작성되었다. 세 부서의 공존이 아닌, 각각의 성과를 통합하여 일본의 종합적인 힘을 높이는 전략을 그린다. 다만 문부과학성으로부터는 산업계와 규제 관련 부서와의 협력을 보기 어렵다. 2017년도 예산 규모도 미국 거대 IT 기업과 경쟁하기에는 불안하다. 정부개발원조(ODA) 예산 등, 세 부서에서 외부 힘을 끌어들일 필요가 있다.
-- 세 부서 공동작업 --
3월 31일 신년도에 들어서기 전에 ‘인공지능기술전략’이 공개되었다. 이 전략에서는 2030년에 AI가 실현되는 사회상을 그렸으며, 필요한 기술 군과 그 개발 공정을 나타냈다. 산학관이 기술과 비즈니스 모델을 각자 가져와 AI 사회를 실현해 나가는 로드맵이다.
예를 들어 서비스 분야에서는 산업기술종합연구소가 고객 행동을 분석하여 예측∙개입하는 기술을 구축하고, 이화학연구소는 불완전한 데이터에서 최적 해답을 구하는 해석 플랫폼, 정보통신연구기구는 다국어 음성 번역 시스템을 개발한다. 이러한 기술들이 갖춰지면 외국인 관광객의 소비행동을 예측하여 앞서서 서비스를 제안할 수 있게 된다. 각 계획은 2017년도 예산과도 대응하고 있어 실제로 개발 프로젝트가 진행된다. 세 부서의 직할과 협력 부분은 허사가 되지 않는다.
안자이 의장은 “(예년 예산을 경쟁하는)세 부서가 공동 작업을 계속해 온 것은 기적에 가깝다. 다음에는 전략을 실현해 나가는 단계이다.”라고 설명한다. 과제는 법 제도를 담당하는 규제 부서와 산업계가 보조를 맞출 수 있을 지가 불투명하다는 점이다. 기업에게 있어서 AI는 앞다투어 사업화를 추진하고 있는 치열한 전장이다. 각 회사, 투자규모는 공개하지만 개발과 사업화의 계획은 밝히지 않는다. 기술 개발은 짧으면 2주간, 길어도 반년 정도로 계획이 갱신되어 간다.
-- 확약 단계 --
규제 부서는 자율주행과 드론 대응에 쫓기는 국토교통성과 경찰청, AI의 의료 대응을 추진하는 후생노동성 등, 언제, 어디까지 규제 개혁을 실현할지 확약 가능한 단계는 아니다. 때문에 전략 회의는 산업화 로드맵의 연대에 여유를 두었다. 전략 회의의 구성원도 “기업의 커밋을 담지 못해 난처하다.”라며 한숨을 쉰다. 안자이 의장은 “세 부서의 협력은 잘 되고 있다. 다음은 세 부서에서 다른 부서와 산업계를 끌어들일 것이다.”라고 강조한다.
또한 예산규모의 과제도 있다. AI는 알고리즘만이 아닌, 센싱과 데이터 인프라, 보안, 대형계산기 등 구성요소의 거의 모든 것이 차별화 요인이다. 국가 차원에서 연구를 중단한다면 그게 바로 약점이 된다.
그에 반해 미국은 상위 6tro 사의 연구개발비가 5조 엔을 넘는다. 그 중 20분의 1이 연구비라고 하여도 일본 정부의 AI 개발 예산보다 한 자릿수가 더 많다. 선택과 집중이 불가능한 단계에서 미국을 추격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 ODA 예산 주목 --
그래서 주목 받는 것이 ODA 예산이다. AI는 미래에 인프라 기술이 될 수 있다. 수시로 원격 갱신 가능한 인프라로 패키지 수출을 할 수 있다면 상대국과 긴 호흡의 관계를 구축할 수 있다. 안자이 의장은 “AI를 인프라 수출의 노선에 태우는 것은 유망하다. 다만 기업의 전략과 정책을 조정하여 클라우드 디자인을 할 수 있는 인재가 있는가.”라고 지적한다. 세 부서는 산업계와 다른 부서를 끌어들일 수 있을지, 중요한 한 해가 될 전망이다.
--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