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산업뉴스요약

‘비밀 계산’으로 항공기의 정시 출발 및 도토(道東)의 관광 촉진을 지원 -- JAL과 도코모, 공동으로 실증 사업 추진
  • Category스마트카/ 항공·우주/ 부품
  • 기사일자 2025.7.22
  • 신문사 Nikkei X-TECH
  • 게재면 online
  • Writerhjtic
  • Date2025-08-07 11:10:39
  • Pageview128

‘비밀 계산’으로 항공기의 정시 출발 및 도토(道東)의 관광 촉진을 지원
JAL과 도코모, 공동으로 실증 사업 추진

일본항공(JAL)과JAL카드가 NTT도코모와 공동으로 비밀 계산(Secure Computing) 기술의 실증 사업에 나섰다. 항공기의 정시 출발이나, 홋카이도 동부인 도토 관광 촉진 등의 업무 지원에 대해 실증한다.

JAL 등이 데이터 분석에 이용한 것은 도코모가 개발한 ‘비닉(秘匿) 크로스 통계 기술’. 데이터를 암호화한 채로 복호화하지 않고 계산 처리하는 비밀 계산 기술과 계산 처리에 지장을 주지 않을 정도의 노이즈를 주입해 개인을 특정하기 어렵게 하는 ‘차분(差分) 프라이버시’를 조합한 것이다.

분석에 이용한 데이터는 JAL의 탑승객 데이터와 도코모 고객이 이용하는 휴대전화의 위치 및 속성 데이터이다. JAL과 도코모는 각각의 데이터를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상태(개인정보가 아닌 상태)로 가공한 뒤 서로의 데이터를 공개하지 않고 탑승객의 어느 정도 비율이 어디로 이동했는지에 대한 통계 정보를 작성했다.

이러한 일련의 처리는 사람의 눈에 노출되지 않고 컴퓨터가 실시하는 것을 기술적으로 보증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통계 정보를 복수의 기업간에 안전하게 작성할 수 있다. 이 일련의 처리에서 얻을 수 있는 데이터를 ‘미니 통계’라고도 부른다.

-- 항공기의 정시 출발을 지원 --
JAL은 항공편의 예약 및 탑승, 웹사이트 열람 데이터 등과 같은 고객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어 탑승객이 이용한 출발 공항·도착 공항에 대해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출발 공항에 어떻게 왔는지, 도착 공항에서 어디로 이동했는지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는 데 있어 자사의 데이터만으로는 한계가 있는 것이다. 그래서 도코모는 JAL에 은닉 크로스 통계 기술을 이용하는 것을 제안. JAL이 이를 수락하는 형태로 2022년 11월에 실증 실험이 개시되었다.

은닉 크로스 통계 기술을 이용해 JAL이 가장 먼저 한 것은 항공기의 정시 출발률 향상이다. 도쿄 하네다(羽田)공항을 대상으로 탑승일 전날이나 당일, 출발 60분 전, 또는 40분 전이나 20분 전에 탑승객의 거주 지역이나 공항 주변 등의 위치에 대해 통계 정보를 작성하여 탑승객이 출발 시각으로부터 몇 시간 전에 공항에 도착하는지에 대한 경향을 가시화했다.

그 결과, 많은 탑승객들이 적절한 시간에 공항에 도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오히려 공항 내에서의 탑승 수속이나 보안 검색대에서 탑승구까지의 이동에 시간이 걸리는 것이 지연 요인이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래서 JAL은 출발 공항의 보안 검사장부터 탑승구까지의 거리가 먼 항공편의 탑승객 일부를 랜덤하게 추출. 2023년 2월 일정 기간 동안 출발 전날에 메일로 예상 소요 시간 및 공항 내부 안내도를 보냈다. 그 결과, 메일을 받은 탑승객의 탑승 시각이 빨라지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고 한다.

-- 은닉 크로스 통계 기술로 이용객 늘려 --
또한 JAL은 그룹사인 홋카이도에어시스템(HAC)이 홋카이도 동부의 네무로나카시베츠(根室中標津)공항으로의 노선을 개설한 것을 계기로 “이용객을 늘릴 수 있는 프로젝트를 시작했다”(JAL 고객·익스피리언스본부의 나카하라(中原) 그룹장).

도토에는 네무로나카시베츠, 메만베츠(女満別), 구시로(釧路) 등 3개 공항이 있다. 홋카이도를 방문하는 관광객은 이 중 한 곳의 공항만을 이용하거나, 네무로나카시베쓰 공항에 도착해서 구시로공항을 통해 돌아가는 경우도 있다. JAL은 2023년부터 2년간의 실증 실험을 통해 탑승객들이 실제로 어떤 경로로 관광하고 있는지 등의 특징을 파악했다.

실증 실험에서는 은닉 크로스 통계기술을 이용해 도토의 3개 공항에 도착한 탑승객이 도착 하루 뒤와 이틀 뒤에 어느 지점에 있는지를 정량적으로 밝혀냈다. 더 나아가 항공기 이외의 교통 수단을 이용한 방문자 수를 확인하기 위해 도코모의 ‘모바일 공간 통계’를 이용해 정량적인 분포를 파악했다. 모바일 공간 통계는 도코모의 휴대 전화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위치 데이터나 속성 데이터 등을 기반으로 개인을 특정할 수 없도록 통계 처리한 것으로, 일정한 구역 내에 있는 인구를 추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JAL의 탑승객들이 도착한 공항에서 어느 방면으로 많이 갔는지 알 수 있다. 실증 실험에서는 탑승객을 관광 목적인지, 동행자는 있는지, 이전에 방문한 적이 있는지 등, 속성으로 나누어 시행착오를 겪으며 분석했다.

그 결과, 공항에서 먼 지역일수록 항공기의 이용 비율이 '멱법정칙'이라 불리는 일정한 법칙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공항에 도착하여 방문하는 지역을 조사하자, 3개 공항으로부터의 방문자 수가 거의 비슷하다는 사실과 어느 공항을 이용하기 쉬운지의 경계가 되는 지역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마슈 호(摩周湖) 등이 위치하고 있는 데시카가쵸(弟子屈町) 주변에 구시로공항과 메만베츠공항을 통해 온 관광객이 거의 비슷하게 많았다. 즉, 데시카가쵸는 ‘구시로공항권’과 ‘메만베쓰공항권’이 겹치는 방문지인 것이다.

JAL은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데시카가쵸 주변의 범위를 뛰어넘는 관광 코스를 제안하면 관광객들이 더 멀리 갈 수 있지 않겠느냐는 가설을 세웠다. 당초 목적지에서의 관광뿐 아니라, 그 주변 지역의 매력도 느낄 수 있는 코스를 제안하면 넓은 범위의 관광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생각에서였다.

JAL은 자사의 관광가이드 웹사이트’ OnTrip JAL’에서 데시카가쵸가 포함된 모델 플랜을 만들어 고객용 광고 메일에 활용했다. 같은 방법을 다른 지역에도 응용하거나, 한층 더 데이터를 분석해 노하우를 심화시킬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 데이터의 성질에 따라 적용 범위에 한계도 있어 --
JAL과 도코모가 은닉 크로스 통계 기술을 이용한 실증에 나선 것은 서로의 데이터가 다루기 쉬운 상태로 정비되어 있었다는 배경도 있다. JAL은 JAL 마일리지 뱅크 회원번호 등을 통해 탑승객의 예약 정보를 관리하고 있다. JAL의 IT 자회사가 실행 환경 설계 및 보안 확인, 데이터의 대조 처리 등의 서포트를 담당. JAL과 도코모의 데이터를 쉽게 대조할 수 있는 퍼블릭 클라우드 환경도 있었다고 한다.

한편, 은닉 크로스 통계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대상에는 한계도 있다고 한다. 개인이 특정되지 않는 데이터 분석을 하려면 어느 정도의 모수(Parameter)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특정 지역을 대상으로 한 통계 데이터를 얻으려면 모수를 확보하기 위해 장기간의 데이터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

그러나 장기간의 데이터가 되면, 계절 변동 등의 영향으로 인해 얻을 수 있는 힌트가 적어질 가능성이 있어 은닉 크로스 통계 기술의 특징을 살릴 수 있는 용도를 찾아야 한다고 한다. 나카하라 그룹장은 “앞으로도 보다 효과적인 사용법을 모색해 나가고 싶다”라고 말한다.

 -- 끝 --

 

Copyright © 2025 [Nikkei XTECH] / Nikkei Business Publications, Inc. All rights reserved.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