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산업뉴스요약

국토교통성의 '플래토(PLATEAU)'로 수해 해저드 맵 재현 -- 3D 도시 모델의 위력
  • Category사물인터넷/ ICT/ 제조·4.0
  • 기사일자 2021.2.26
  • 신문사 Nikkei X-TECH
  • 게재면 online
  • Writerhjtic
  • Date2021-03-06 09:20:33
  • Pageview564

Nikkei X-TECH_2021.2.26

국토교통성 '플래토(PLATEAU)'로 수해 해저드 맵 재현
3D 도시 모델의 위력

지난 번 칼럼에서 소개한 국토교통성이 주도하는 3D 도시 모델의 정비 프로젝트 ‘Project PLATEAU(플라토)’에 관한 기사는 큰 반향을 일으켰다. 많은 독자가 PLATEAU의 잠재력을 알아봤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PLATEAU의 3D 도시 모델은 전용 사이트에서 일부 공개가 시작되었다(https://www.mlit.go.jp/plateau/). 웹 기반의 뷰어 ‘PLATEAU VIEW(플라토 뷰)’ (베타판)를 사용하면 누구라도 볼 수 있다. 관심 있는 분들은 꼭 체험해 보길 바란다.

한 예로서 지난번 칼럼에서는 PLATEAU의 전자 지도에 갖춰져 있는 ‘건물의 높이’와 같은 의미 정보(시맨틱)와 하천이 범람했을 때의 침수 랭크를 나타낸 해저드 맵의 정보를 결합시킨 케이스를 들었다. 건물의 높이라고 하는 의미 정보를 PLATEAU에서는 ‘CityGML’라고 하는 기술 언어로 기입하고 있다.

이번에는 필자가 직접 PLATEAU VIEW를 조작해 정비가 선행되어 있는 도쿄 23구의 3D 도시 모델을 실제로 이용해 보았다. 필자가 선택한 제재(題材)는 도내에서 수해의 위험성이 지적되고 있는 에도가와 구의 분석이다. PLATEAU VIEW에서는 어떻게 표시되는지를 확인했다.

에도가와 구는 2019년 5월에 최신판 ‘에도가와 구 수해 해저드 맵’을 공개했다. 그 내용은 당시 큰 화제가 되었다.

에도가와 구는 아라카와(荒川)나 에도가와(江戸川)라고 하는 하천의 가장 낮은 유역에 위치해 있다. 그 끝으로는 도쿄만(東京湾)이 펼쳐져 있다. 관동(関東)지방에 내린 비의 대부분이 최종적으로 에도가와 구에 모인다고 한다. 에도가와 구의 토지 면적의 70%는 만조 시의 수면보다 낮은 ‘해발 제로 미터 지대’로 이뤄져 있다. 이 때문에 2019년 공개된 해저드 맵에서는 수해가 상정될 때 ‘구내에 머무르는 것은 위험합니다!’ ‘이곳에 있으면 안 됩니다!’라는 과감한 표현으로 구민들에게 주의를 당부했다.

아래의 5가지 이미지는 필자가 PLATEAU VIEW를 사용해 가져온 화면이다. 에도가와 구는 화면 왼쪽을 흐르는 아라카와(荒川)와 중앙을 흐르는 구(舊) 에도가와(江戸川), 화면 오른쪽의 에도가와로 사방이 둘러싸인 지역에 위치한다. 하천이 범람했을 때의 ‘침수 상정 구역도’를 이용해, 수해 시의 침수 등급으로 에도가와 구의 3D 도시 모델을 색으로 분류해보았다.

실제로 이러한 표시 결과는 에도가와 구의 수해 해저드 맵에 기재된 정보와 같은 것이다. 다만 해저드 맵이 2차원(2D)인 지도인데 반해, PLATEAU VIEW는 3D로 표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물의 높이 또한 정확하다.

PLATEAU VIEW를 보고 있노라면 3D 도시 모델에 기술된 정보들은 어떻게 수집했을 지가 궁금해진다. 다음에 자세히 소개할 예정이지만, 여기서는 ‘도시계획 기본도’와 ‘항공 측량’을 조합한 다음, 거기에 ‘도시계획 기초조사 정보’ 등을 반영시켜 3D 도시 모델이 생성되고 있다고만 이해해 두기 바란다.

-- PLATEAU VIEW는 누구나 쉽게 조작할 수 있어 --
PLATEAU VIEW는 조작 가이던스나 도움말 화면을 보면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다. 필자는 이전 페이지의 화면 조작을 망설이지 않고 실행할 수 있었다.

관공서 주도의 서비스 중에는 아무래도 사용하기 어려운 것들이 있다. 국토교통성은 PLATEAU VIEW는 사용이 편리한 점이 보급의 열쇠라고 판단해, 개발 초기부터 민간 기업에 '아트 디렉션'을 위탁하고 있다. UI(유저 인터페이스)의 디자인 등은 파노라마틱스(라이조마틱스가 21년 1월말에 회사명을 변경한 ‘앱스트럭트 엔진’ 안의 건축 팀이며, 책임자는 파노라마틱스 사장이기도 한 사이토 씨)가 하고 있다.

이번에는 지요다(千代田) 구의 3D 도시 모델을 이용해 해당 구에 건설되는 건물에 대해 높이를 기준으로 색 분류를 해보았다. 간단한 조작으로 실행이 가능하다.

국토교통성은 2021년 4월부터 순차적으로 PLATEAU의 3D 도시 모델의 정보를 오픈 데이터로서 공개해 나갈 예정이다.

 -- 끝 --

Copyright © 2020 [Nikkei XTECH] / Nikkei Business Publications, Inc. All rights reserved.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