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산업뉴스요약

유럽에서 3대에 1대가 팔리는 '하이브리드 시프트' -- 재검토가 불가피한 EV 시프트 계획
  • 카테고리스마트카/ 항공·우주/ 부품
  • 기사일자 2024.1.25
  • 신문사 Nikkei X-TECH
  • 게재면 online
  • 작성자hjtic
  • 날짜2024-02-04 21:57:13
  • 조회수174

Nikkei X-TECH_2024.1.25

유럽에서 3대에 1대가 팔리는 '하이브리드 시프트'
재검토가 불가피한 EV 시프트 계획

신차 판매의 3대 중 1대가 ‘하이브리드 차’. 유럽에서 하이브리드차가 팔리고 있다. 2017년부터 2023년까지 6년간 신차 판매에서 하이브리드차의 비중은 30.7%나 증가했다. 한편으로 전기자동차(EV)는 13.1% 증가하는 데 그쳤다. 유럽 각국은 보조금을 비롯한 각종 우대책을 쏟아냈지만 유럽위원회가 추진해 온 ‘EV 시프트’에는 여전히 힘이 실리지 않고 있다.

유럽은 2035년까지 모든 신차를 제로 에미션으로 하는 기본방침을 제시했다(합성연료 ‘e-fuel’만을 사용하는 차량은 제외). 그 때문에 여기서는 엔진을 탑재한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차(PHEV)를 하이브리드차에 추가했다. 즉, 이른바 HEV(스트롱 하이브리드차와 마일드 하이브리드차)와 PHEV를 합계한 것을 하이브리드차로서 계산한다.

다만 ACEA(유럽자동차공업협회)가 20년까지 PHEV를 EV에 추가해 ‘ECV(외부 충전 가능 차)’로 분류하고 있었기 때문에 여기서 제시한 EV 데이터는 17~20년은 EV+PHEV, 21~23년은 EV뿐이다. 따라서 하이브리드차는 17~20년까지는 HEV만, 21~23년은 HEV+PHEV다.

17년에 2.8%였던 하이브리드차는 23년에 33.5%까지 비중을 높였다. 연평균 약 5.1%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대해 17년 1.5%였던 EV는 23년에 14.6%까지 비중을 높였다. 하지만 연평균으로 보면 약 2.2%의 성장에 머무르고 있다.

이들 숫자를 통해 지난 6년간 유럽에서는 ‘하이브리드 시프트’가 보다 분명해졌다. 유럽 위원회가 주도해 온 EV 밀어주기 정책에, 시장(고객)의 반응은 여전히 미지근한 상태다.

-- 가솔린차의 하락세는 멈춘 것일까? --
반면 ‘엔진차 이탈’은 더 가속화되고 있다. 여기서 엔진차란 가솔린차와 디젤차를 모두 가리킨다. 17년에 94.3%였던 엔진차 비율은 23년에 48.9%까지 급락했다. 무려 45.4%나 떨어진 것이다. 그 중에서도 디젤차의 비인기는 명확하다. 디젤차 비중은 17년 44.0%에서 23년 13.6%로 30.4%나 떨어졌다.

가솔린차도 17년 50.3%에서 23년 35.3%까지 15.0% 떨어졌다. 그런데 최근 변화를 보면 흥미롭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포인트 하락 폭이 7.6→3.5→1.1로 급속히 축소되고 있다는 것이다(20년: 47.5%, 21년: 39.9%, 22년: 36.4%, 23년 35.3%). 이는 곧 유럽에서 가솔린차의 판매는 계속해서 하락하고 있다는 의미일 수도 있다.

그리고 엔진차와 하이브리드차를 합한 '엔진 탑재 차'로 보면 엔진의 꾸준한 수요를 알 수 있다. 분명 엔진 탑재 차량 비율은 17년 97.1%에서 23년 82.4%까지 떨어졌다. 14.7% 하락했다.

하지만 이산화탄소(CO2)를 배출하는 엔진의 폐지를 위해 지금까지 유럽위원회가 EV 시프트를 소리 높여 주장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신차 판매의 80% 이상의 자동차가 엔진을 탑재하고 있다는 것이 유럽의 현실인 것이다.

지금부터 35년까지 남은 12년 동안 제로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연평균 6.9%를 낮춰 나가야 한다. 하지만 가장 인기가 없는 디젤차조차 최근 1년(22~23년)의 하락폭은 2.7%까지 축소됐다.

아무리 봐도 유럽위원회가 밀고 있는 ‘2035년 제로 에미션’ 계획은 무너지고 있다. 계획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독일이 보조금 정지, EV 시프트는 무산 가능성 --
실은 최근 1년(22년~23년)의 변화만 보면, 하이브리드차의 성장은 1.5%인데 비해 EV의 성장은 2.5%로 EV의 손이 올라간다. 이는 PHEV가 -1.7%로 발목을 잡았기 때문이다. 그런데 하이브리드차를 HEV와 PHEV로 분리하면 흥미로운 사실을 알 수 있다. 최근 1년의 HEV 성장은 3.1%로 EV의 성장을 웃돌고 있는 것이다. 즉, HEV는 EV보다 기세가 있다는 말이다.

유럽에서 가장 큰 시장인 독일은 23년 12월에 EV에 대한 보조금 지급을 중단했다. 독일은 16년부터 보조금 지급을 개시해, 100억 유로(약 1조 6,200억 엔)라는 거액의 보조금을 지출했다. 이것이 210만대의 EV 구입을 지탱했다. 아울러 독일은 EV에 앞서 23년 1월부터 PHEV에 대한 보조금 지급도 중단했다. 위에서 언급한 PHEV의 성장세가 감속한 데는 이 영향도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대로 유럽 각국에서 보조금의 지급 정지나 감액이 계속되면 유럽위원회가 그린 EV 시프트는 실현은 고사하고 좌절할 가능성도 있다.

게다가 EV는 ‘환경차’로서의 위치 설정도 미묘해지고 있다. 제조할 때 CO2 배출량이 가솔린차에 비해 상당히 많다. 폐차시의 배터리 리사이클 기반이 충분히 구축되어 있지 않는 등, 탄소중립(온난화 가스의 배출량 실질 제로)을 비롯해 환경 부하 경감으로 이어진다고 단언할 수 없다는 사실이 일반에까지 퍼지고 있기 때문이다. EV가 탄소중립에 기여하려면 재생에너지를 쓴다는 조건이 필수다. 그 정비가 충분히 진행된 국가/지역이 아니면 EV의 환경차로서의 가치는 떨어진다.

독일 폭스바겐은 세계에서 EV의 판매 비율을 30년까지 50%(유럽에서 70%, 미국과 중국은 50%)로 끌어올린다는 의욕적인 목표를 제시했다. 그런데 23년의 EV 판매 비중은 8.3%. 목표를 달성하려면 남은 7년 동안 40% 이상, 연평균 약 6%나 늘려 나가야 한다.

대수를 크게 벌기 위해서는 가격을 억제한 EV를 시장 투입할 수밖에 없지만 비용 구조를 생각하면 가격이 300만엔대 이하의 양판 타입의 EV로 충분한 이익을 내는 것은 매우 어렵다. 상당히 혁신적인 제조 방법을 고안하지 않는 한 저비용을 실현하기는 어렵다. 자칫 잘못하면 적자가 될 우려도 크다.

가격을 낮추려면 배터리 용량을 최대한 줄이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그러면 항속거리가 너무 짧아 차량으로서 매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큰 폭의 판매량 증가는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유럽위원회와 보조를 맞춰서 EV 시프트를 추진하며, 탄소중립의 실현과 자동차 업계에서의 복권을 노린 폭스바겐. 하지만 아직도 판매 대수의 약 90%를 엔진 탑재차가 차지하고 있어, EV로 큰 이익을 창출하겠다는 것은 얼토당토 않은 이야기다. 폭스바겐의 EV 시프트 계획도 조만간 재검토를 해야 할 것이다.

 -- 끝 --

Copyright © 2020 [Nikkei XTECH] / Nikkei Business Publications, Inc. All rights reserved.

목록